주산군도(舟山群島) 하치도에는 마을마다 사묘(寺廟)가 있고 무당이 활동하고 있다. 또한 오래 전에 기독교가 전파되었다. 마을 형성과 사묘의 관계, 이차장제(二次葬制)의 내용, 의례의 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676978
2007
Korean
해양민속 ; 해양신앙 ; 민속신앙 ; 의례생활 ; 세시풍속 ; 해양문화 ; sea folklore ; sea faith ; sea culture ; folk faith ; ritual life ; seasonal festivals and customs
91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39-192(5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주산군도(舟山群島) 하치도에는 마을마다 사묘(寺廟)가 있고 무당이 활동하고 있다. 또한 오래 전에 기독교가 전파되었다. 마을 형성과 사묘의 관계, 이차장제(二次葬制)의 내용, 의례의 변...
주산군도(舟山群島) 하치도에는 마을마다 사묘(寺廟)가 있고 무당이 활동하고 있다. 또한 오래 전에 기독교가 전파되었다. 마을 형성과 사묘의 관계, 이차장제(二次葬制)의 내용, 의례의 변화 양상 등을 주목해서 관찰했다.
마을 사묘의 기능은 평안을 비는 일반적 목적 외에 어로 안전과 풍어 기원이 부각된다. 사묘는 마을 가운데나 바닷가에 자리하고 있는데, 어민들은 어로 활동의 평안과 풍어를 빌기 위해 사묘를 찾는다. 해양신앙적 기능을 잘 보여주는 것이 사묘에 모셔진 신주(神舟)다.
세시의례는 일년 열두달에 걸쳐져 있지만, 대부분의 의례가 12월 말과 정초에 집중되어 있다. 12월 말에 의례가 모여 있는 현상이 주산군도 일대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므로 도서적 특징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장례를 통해 의례생활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2~3년 전까지만 해도 초협관재(草夾棺材)라고 부르던 이차장제가 널리 행해졌으나, 최근 들어 화장(火葬)과 기독교식 장례가 등장했다. 화장은 정부 차원에서 매장을 금지하고 화장 정책을 추진하면서 널리 수용되고 있다. 그리고 기독교식 장례는 선자들을 중심으로 공개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하치도의 사례를 한국의 경우와 비교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다. 네 가지 비교 연구 주제를 살펴보았다. 첫째, 도서지역 마을신앙의 형성과 전승 과정의 비교, 둘째, 해양신앙의 비슷하고 다른 점 비교, 셋째, 도서적 환경에 대한 의례의 문화적 적응 양상 비교, 넷째, 이차장제의 비교 등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a shrine and a shaman in every town in Hachido in Jusan Archipelago. Also, Christianity has been preached in this island a long time ago. The formation of towns, relationship with the shrine, the contents of secondary burial ritual, and the c...
There is a shrine and a shaman in every town in Hachido in Jusan Archipelago. Also, Christianity has been preached in this island a long time ago. The formation of towns, relationship with the shrine, the contents of secondary burial ritual, and the changes in ritual have been closely observed.
The town shrines not only serve the general purpose of wishing peace but also for safe fishing and abundant catch. Shrines are normally located in the center of a town or in the near proximity of sea, and fishers pay a visit to the shrine to pray for the peaceful fishing and a good catch. One example of sea-religious function is the sacred ship which is in the shrine.
Seasonal festivals and customs occur throughout the year, however, most of the ceremonies are concentrat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December. The phenomena of concentration of ceremonies at the end of December is commonly seen all over Jusan Archipelago, thus, it can be regarded as an islets characteristic.
It is able to explore in the concrete the changes of ceremonies through funerals. Only 2~3 years ago, secondary burial ritual also called as Chohyupkwanjae was carried out commonly, however, recently cremation and Christian funeral ceremonies have been increasingly seen. Cremation has been accepted broadly due to the government ban on interment. Christian funeral services are openly carried out by Christians residents.
The comparison between the case of Hachido with that of Korea remains to be researched. There are four topics: first, the formation of town faith in the islets regions and the comparison of transmission; seco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sea faith; third, the comparison of cultural adaptation of rituals on islets environment; fourth, the comparison of secondary burial ritua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엽 외, "중국의 섬과 민속 1 주산군도 승사도의 해양민속" 민속원 2007
2 "중국 주산군도의 해양민속 학술대회자료집"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005
3 郭振民, "중국 주산군도 승사현의 생태와 문화"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6 : 73-132, 2005
4 曲金良, "중국 주산군도 승사현의 사찰과 해양신앙"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6 : 177-235, 2005
5 이윤선, "중국 주산군도 승사현 사람들의 가족관념 고찰"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6 : 255-288, 2005
6 이경엽 외, "중국 발해만의 해양민속" 민속원 2005
7 趙成國, "주산군도 승사현의 역사와 문화전통"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6 : 1-46, 2005
8 이경엽, "주산군도 승사사람들의 의례생활"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6 : 133-176, 2005
9 "海中洲蝦峙專號" 2002
1 이경엽 외, "중국의 섬과 민속 1 주산군도 승사도의 해양민속" 민속원 2007
2 "중국 주산군도의 해양민속 학술대회자료집"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005
3 郭振民, "중국 주산군도 승사현의 생태와 문화"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6 : 73-132, 2005
4 曲金良, "중국 주산군도 승사현의 사찰과 해양신앙"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6 : 177-235, 2005
5 이윤선, "중국 주산군도 승사현 사람들의 가족관념 고찰"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6 : 255-288, 2005
6 이경엽 외, "중국 발해만의 해양민속" 민속원 2005
7 趙成國, "주산군도 승사현의 역사와 문화전통"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6 : 1-46, 2005
8 이경엽, "주산군도 승사사람들의 의례생활"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6 : 133-176, 2005
9 "海中洲蝦峙專號" 2002
중국 주산군도(舟山群島)의 음식 조리법에 대한 소고(小考)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6-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도서문화연구소 -> 도서문화연구원영문명 : THE INSTITUTE OF ISLAND CUL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ion for Marine & Island Cultur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7-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55 | 0.87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