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 실태와 어머니의 인식에 관한 한국과 미국 비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36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 유아의 가정 내 전자미디어 사용 실태와 이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 개입방법, 요구가 어떠한 특성과 차이를 보이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전자미디어 이용에 대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 유아의 가정 내 전자미디어 사용 실태와 이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 개입방법, 요구가 어떠한 특성과 차이를 보이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전자미디어 이용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의 경인지역과 미국의 중동부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4,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유아는 미국유아에 비해 TV는 보다 빨리, 컴퓨터는 보다 늦게 경험하기 시작하여 보다 장시간 지속하여 이용하고 있었다. 한국어머니는 미국어머니에 비해 자녀의 전자미디어 이용 지도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고 부모 변인 외에 또래나 법규 등의 요인도 함께 자녀의 전자미디어 이용에 작용한다고 인식하여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가정 내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의 실태와 어머니 인식의 특성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가정 내 유아의 바람직한 전자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and compares the ways 3- and 4-year-old children use TV and computers at home and the types of perceptions and intervention their mothers use in relation to the children’s electronic media use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 su...

      This study analyses and compares the ways 3- and 4-year-old children use TV and computers at home and the types of perceptions and intervention their mothers use in relation to the children’s electronic media use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00 mothers in Korea and 370 mother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chi-square 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children use TV and computer at home for a longer time than American children. Second, Korean children use TV and computers primarily with their parents or peers, but American children use electronic media with their parents or on their own. Finally, most of the Korean mot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guiding their children's electronic media use by contrast American mothers tended not to have any difficulties in making decision in relation to their children’s use of TV and computer.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of media education programs intended for parents as well as young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희, "컴퓨터와 또래간의 사회인지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발달적으로 적합한 유아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방향 모색" 16 (16): 87-107, 1996

      2 이재연, "취업모 가정의 유아 컴퓨터 활동 환경 연구" 14 (14): 137-160, 2000

      3 정보통신부, "정보화 실태조사"

      4 정보통신부, "정보화 실태조사"

      5 곽금주, "전자게임에 몰입한 아동의 심리 진단적 특성(2):사례 중심으로" 4 (4): 1-17, 1997

      6 김선우, "인터넷 중독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소외를 중심으로.미간행" 서울대학교 2002

      7 조경자, "유아의 전자게임 이용과 사회성에 관한 연구" 40 (40): 35-46, 2002

      8 이현주, "유아 컴퓨터 활동 현황 및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미간행" 이화여자대학교 2002

      9 김민정, "연령에 따른 유아의 전자 미디어의 이용 관련 현황과 어머니의 인식의 차이" 11 (11): 247-268, 2007

      10 문혁준,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TV/비디오 시청 중재와 아동발달특성" 25 (25): 47-60, 2004

      1 박선희, "컴퓨터와 또래간의 사회인지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발달적으로 적합한 유아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방향 모색" 16 (16): 87-107, 1996

      2 이재연, "취업모 가정의 유아 컴퓨터 활동 환경 연구" 14 (14): 137-160, 2000

      3 정보통신부, "정보화 실태조사"

      4 정보통신부, "정보화 실태조사"

      5 곽금주, "전자게임에 몰입한 아동의 심리 진단적 특성(2):사례 중심으로" 4 (4): 1-17, 1997

      6 김선우, "인터넷 중독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소외를 중심으로.미간행" 서울대학교 2002

      7 조경자, "유아의 전자게임 이용과 사회성에 관한 연구" 40 (40): 35-46, 2002

      8 이현주, "유아 컴퓨터 활동 현황 및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미간행" 이화여자대학교 2002

      9 김민정, "연령에 따른 유아의 전자 미디어의 이용 관련 현황과 어머니의 인식의 차이" 11 (11): 247-268, 2007

      10 문혁준,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TV/비디오 시청 중재와 아동발달특성" 25 (25): 47-60, 2004

      11 권준모, "아동들의 전자게임 사용실태와 태도.경희대학교" 12 (12): 13-29, 1996

      12 이은미, "부모의 시청지도가 초,중생 자녀들의 텔레비전 시청 행위에 미치는 영향연구" 16 (16): 397-421, 2002

      13 정아란, "만 5세 유아의 컴퓨터게임 이용 실태 분석" 13 (13): 89-114, 2006

      14 강성단, "만 5세 유아의 온라인 게임 이용 실태 및 게임의 적절성 평가.미간행" 덕성여자대학교 2005

      15 심혜영, "가정에서의 유아 컴퓨터 사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미간행" 연세대학교 2003

      16 김승옥, "가정에서 유아 컴퓨터 활동에 대한 현황조사:어머니를 대상으로.미간행" 덕성여자대학교 2002

      17 김수영, "가정에서 유아 컴퓨터 게임 이용에 대한 현황 연구.미간행" 이화여자대학교 2001

      18 Kaiser Family Foundation, "Zero to six: Electronic media in the lives of infant, toddlers and preschoolers" Menlo Park, CA: Author 2003

      19 Walsh,D.A., "Video and computer game report card. Minneapolis" National Institute on Media and the Family 1998

      20 Brabant,S.,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mily life in the Sunday comics: Race as a consideration" 30 : 113-114, 1999

      21 Fairlie,R., "The effects of home computers on school enrollment" 24 : 533-547, 2005

      22 Stanger, J., "Television in the home: The second annual survey of parents and children in the home (Survey Series No. 2).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23 National PTA, "Taking charge of your TV: A guide to critical viewing for parents and children [The Family and Community Critical Viewing Project" Chicago: Author 1995

      24 서영숙, "TV 안보기 운동이 유아와 그 가족생활에 미친 영향" 8 (8): 1-24, 1995

      25 Cantor,J., "Ratings for program content: The role of research findings" 557 : 54-69, 1998

      26 DeBell,M., "Rates of computer and internet use by children in nursery school and students in kindergarten through twelfth grade: 2003 (NCES 2005-11)"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 2005

      27 Hogan,M.J, "Parents and other adults: Models and monitors of healthy media habits In : Handbook of children and the media" Thousand Oaks, CA: Sage. 663-680, 2001

      28 Reinking,D., "Navigating the landscape of literacy: Current theory and research in computer-based reading and writing. In J. Flood, S. Brice-Heath, & D. Lapp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literacy through the communicative and visual arts (pp. 77-97). New York: Simon & Schuster"

      29 Cantor,J., "Mommy, I'm scared: How TV and movies frighten children and what we can do to protect them" CA: Harcourt Brace 1998

      30 Kafai,Y.B., "Models of educational computing @ home: New frontiers for research on technology in learning" 20 : 52-68, 2002

      31 Desmond,R.J., "Media literacy in the home: Acquisition vs deficit models In : Media literacy in the information age" NJ: Transaction Publishing 323-345, 1997

      32 Holz,J., "Measuring the child audience: Issu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ogramming (Survey No. 3).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33 Huston,A.C., "How young children spend their time: Television and other activities" 35 : 912-915, 1999

      34 Wiecha,J.L., "Household television access: A developmental study" 61 : 934-946, 2001

      35 Atkin,D., "Home Ecology and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In : Television and the American Family (2nd ed.)" NJ: Lawrence Erlbaum 49-74, 2001

      36 Tarpley,T., "Children, the Internet, and other new technologies In : Handbook of children and the media" Thousand Oaks, CA: Sage 547-556, 2001

      37 Singer, J., "Barney & friends as entertainment and education: Evaluating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a television series for preschool children. In J. Asamen & G. Berry (Eds.), Research paradigms, television, and social behavior (pp. 305-367). Thousand Oaks, CA: Sage"

      38 Calvert,S.L., "Age, ethnicity, and socioeconomic patterns in early computer use: A national survey" 48 (48): 590-607, 2005

      39 Eisenstock,B.A., "A parent's guide to the TV ratings and V-chip" Center for Media Education and Kaiser Family Foundation 1999

      40 Center for Media Education, "A parent' guide to kids' TV" DC: Author 1995

      41 Nielsen Media Research, "1998 report on television" New York: Author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5 2.2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