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C교대 교육연구원 직무연수 사례 = A Case Study on teacher training program improvement for instructional professionality expan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75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contents and management process in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within Educational Research Center of C-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 attain this goal, I collected data regarding design,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I used a mixed method to analyze collected data. In a qualitative method, I observed teacher activities during the training period and interviewed with 10 participants. Participants in this in-service training program were confused and felt conflict by changing their views or perspectives on teaching practices. Participants in this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asked for the well-designed and well-prepared training program to the program organization staff, for the specified topics, advanced level course open, the highly qualified lectures, new information about good teaching and for secondary classroom teaching video clips. I discussed the positive effects of a university-based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reflected expectation and needs, training experienc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In conclusion, I suggested that to achieve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this type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eacher training program organizers and researchers have to fully reconsider how they can operate and develop such training programs consistently and how they can resolve the external, cultural, and systemic obstacles to teacher professional growt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contents and management process in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within Educational Research Center of C-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 attain this goal, I collected data regarding design, manag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contents and management process in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within Educational Research Center of C-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 attain this goal, I collected data regarding design,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I used a mixed method to analyze collected data. In a qualitative method, I observed teacher activities during the training period and interviewed with 10 participants. Participants in this in-service training program were confused and felt conflict by changing their views or perspectives on teaching practices. Participants in this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asked for the well-designed and well-prepared training program to the program organization staff, for the specified topics, advanced level course open, the highly qualified lectures, new information about good teaching and for secondary classroom teaching video clips. I discussed the positive effects of a university-based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reflected expectation and needs, training experienc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In conclusion, I suggested that to achieve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this type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eacher training program organizers and researchers have to fully reconsider how they can operate and develop such training programs consistently and how they can resolve the external, cultural, and systemic obstacles to teacher professional grow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C교대 교육연구원에서 실시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연구자는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기획, 운영, 평가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양적・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으로는 연수를 참여관찰하고, 10명의 참여교사들과 면담을 하였다. 참여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에 대한 고민을 해소하고 수업을 개선하고 싶어서 연수에 참여하였다. 참여교사들은 연수에서 자신의 생각과는 다른 여러 가지 수업을 보는 관점을 만나면서 혼돈과 갈등을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수업을 보는 안목이 변화하면서 자발적인 변화의 의지를 생성해내고, 초등과 중등 교사간의 상호 이해를 증진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교사들은 연수가 좀 더 내실있게 운영되어 자신들의 고민을 해소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기를 바랐으며, 연수 주제의 세분화, 심화 과정 개설, 질높은 강의와 좋은 수업과 관련한 새로운 정보 제공, 중등 수업 동영상 제시 등을 프로그램 개선에 필요한 것으로 요구하였다. 연구자는 학습활동의 다양화, 프로그램의 다양화・세분화, 운영의 정교화・내실화, 홍보 강화, 연수 자체에 대한 메타 분석 연구 등을 연수 프로그램 개선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C교대 교육연구원에서 실시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연구자는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기획, 운영, 평가에 ...

      본 연구의 목적은 C교대 교육연구원에서 실시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연구자는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기획, 운영, 평가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양적・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으로는 연수를 참여관찰하고, 10명의 참여교사들과 면담을 하였다. 참여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에 대한 고민을 해소하고 수업을 개선하고 싶어서 연수에 참여하였다. 참여교사들은 연수에서 자신의 생각과는 다른 여러 가지 수업을 보는 관점을 만나면서 혼돈과 갈등을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수업을 보는 안목이 변화하면서 자발적인 변화의 의지를 생성해내고, 초등과 중등 교사간의 상호 이해를 증진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교사들은 연수가 좀 더 내실있게 운영되어 자신들의 고민을 해소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기를 바랐으며, 연수 주제의 세분화, 심화 과정 개설, 질높은 강의와 좋은 수업과 관련한 새로운 정보 제공, 중등 수업 동영상 제시 등을 프로그램 개선에 필요한 것으로 요구하였다. 연구자는 학습활동의 다양화, 프로그램의 다양화・세분화, 운영의 정교화・내실화, 홍보 강화, 연수 자체에 대한 메타 분석 연구 등을 연수 프로그램 개선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흠, "학습자 만족도 확인을 위한 교육ㆍ훈련 프로그램 반응평가" 교육과학사 2005

      2 정진구, "원격교육연수원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3 (13): 135-144, 2009

      3 이혁규, "수업 비평을 만나다; 수업 비평으로 여는 수업 이야기" 11-29, 2007

      4 유솔아, "반성을 통한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교사 교육: PDS"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97-122, 2005

      5 구원회, "교육대학과 초등학교간 협력(PDS) 프로그램 운영의 쟁점에 관한 내부자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91-220, 2011

      6 전제상, "교원연수체제 개선 요구조사 분석"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23, 2010

      7 조대연, "교원 연수프로그램 개발 전략 : 교원능력개발평가지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63-182, 2010

      8 김정희, "교사의 전문적 능력개발을 위한 현직연수제도의 발전방향 탐색" 한국정책과학학회 7 (7): 411-436, 2003

      9 김찬종, "교사 연수와 수업 전문성 발달" 75 : 67-90, 2009

      10 Teitel, L,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handbook" A Sage Publications Company 2003

      1 이성흠, "학습자 만족도 확인을 위한 교육ㆍ훈련 프로그램 반응평가" 교육과학사 2005

      2 정진구, "원격교육연수원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3 (13): 135-144, 2009

      3 이혁규, "수업 비평을 만나다; 수업 비평으로 여는 수업 이야기" 11-29, 2007

      4 유솔아, "반성을 통한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교사 교육: PDS"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97-122, 2005

      5 구원회, "교육대학과 초등학교간 협력(PDS) 프로그램 운영의 쟁점에 관한 내부자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91-220, 2011

      6 전제상, "교원연수체제 개선 요구조사 분석"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23, 2010

      7 조대연, "교원 연수프로그램 개발 전략 : 교원능력개발평가지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63-182, 2010

      8 김정희, "교사의 전문적 능력개발을 위한 현직연수제도의 발전방향 탐색" 한국정책과학학회 7 (7): 411-436, 2003

      9 김찬종, "교사 연수와 수업 전문성 발달" 75 : 67-90, 2009

      10 Teitel, L,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handbook" A Sage Publications Company 2003

      11 Clark, D. C,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Jossey-Bass Publishers 1999

      12 Gordon, S. P,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chool improvement; empowering learning communities" Person Education, Inc 2004

      13 Abdal-Haqq, I,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Weighting the evidence" Corwin Press 1998

      14 박영희, "PDS 구축을 위한 교사전문성 논의 검토;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청주교대 243-261,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