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기온은 과거 백년간 0.6~0.74℃ 상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부 간 협의체(IPCC) 4차보고서에서는 2100년까지 1.8℃~6.4℃가 더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기후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지구의 기온은 과거 백년간 0.6~0.74℃ 상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부 간 협의체(IPCC) 4차보고서에서는 2100년까지 1.8℃~6.4℃가 더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기후변...
지구의 기온은 과거 백년간 0.6~0.74℃ 상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부 간 협의체(IPCC) 4차보고서에서는 2100년까지 1.8℃~6.4℃가 더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기후변화에서 기상 요소들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그로 인한 건강영향도 다양한 영역에서 다양한 질병 혹은 건강 이상으로 나타나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 평가를 위해서는 그동안 공중보건 분야에서 사용된 여러 감시체계를 활용하거나, 감시 체계와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감시체계를 개발하여 기상 요소들과 연계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폭염과 기상재해에 의한 건강영향, 절지동물/설치류매개와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심혈관질환과 알레르기/천식 등의 만성질환 감시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각 연구팀은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로 연구팀을 구성하여 각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기존의 감시체계와 자료원을 파악하여 기상자료와 연계 분석하여 감시체계로서의 가능성과 유용성, 타당성 등을 검토하였다. 필요한 경우는 새로운 감시체계를 개발하여 시범 실시를 시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감시체계로서의 가능성과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감시체계 별로 추가 개발하여야 할 감시체계와 개선하여야 할 부분들을 파악하여 제안하였으며, 종합하여 감시체계의 청사진을 제안하였다. 이 내용을 도표화하여 제시하면 아래의 그림과 같다. 위 그림에서 회색 음영의 부분은 2011년도에 개발하여 운영한 감시체계이고, 음영 아래는 2011년 이후의 감시체계를 운영하여 자료들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속 가능하여야 하는 체계이다. 기후변화 영향 평가를 위한 감시체계는 활용가능한 과거의 자료들을 확보하여야 하는데, 음영 위 부분은 과거 자료를 검토하여 감시 자료로 확보하는 부분을 표시한 것이다. 향후 감시체계에서 수집된 자료를 정리/종합하고, 분석과 해석을 거쳐 일반인과 전문가를 위한 결과물을 환류하고, 관련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수집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감시체계 주체의 필요성에 대하여도 제안하였다. 이 감시체계는 여러 부처와 부서의 협력이 필요 하므로 감시체계 운영주체는 운영위원회와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emperature of earth have increased 0.6~0.74 during past 100 ℃ years and be expected to increase 1.8℃~6.4℃ until 2100 according to the 4th report of IPCC. In other to prepare and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health field, the first step is t...
The temperature of earth have increased 0.6~0.74 during past 100 ℃ years and be expected to increase 1.8℃~6.4℃ until 2100 according to the 4th report of IPCC. In other to prepare and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health field, the first step is to develop the surveillance systems which are integrated with climate databases and surveillance databases of climate-related health outcomes. We have carried out the studies to develop the surveillance systems for temperature-related illness and death, extreme weather-related disasters, water- and food-borne diseases, vector and rodent-borne diseases, and chronic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s, allergy and asthma. We made 5 research teams which are composed of professionals of in various fields. Each team have reviewed and selected databases and surveillance systems which could be used for assessing the health impact caused by climate change. Each team integrated the data of each health surveillance data with climate data, and then analysed the associations between climate change and health outcome, and then checked the availibility, utility and validity as a surveillance system for health impacts of climate change. During this study, each research team suggested the tasks to develop the existing surveillance system and the new surveillance systems to be needed. The overall results of this project is presented in the below figure. We suggested the surveillance systems which can initiated in 2012 and the tasks to maintain surveillance system after initiated. We also suggested the projects to review the past data and integrated with present database, and the new systems to be develop in the future. The central agency should be organized or strengthened to systematically gather the various data, to make the integrated databases, to analysis and interpret data, and to distribute the surveillance results. The central agency should operate the advisory and steering committees, because this surveillance systems have the intersectorial and interdepartmental n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