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문자 생활과 불교계의 기여 = The development of writing system in Korea and the contribution of Buddh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368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라와 고려시대에 사용된 ‘향찰’과 ‘구결’, 그리고 1443년 ‘훈민정음’ 창제 직후까지 한국의 문자 생활에 대해 살펴보고, 승려들이 우리의 문자 발전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를 밝혔다.
      향찰은 ‘자형’에 있어서는 한자를 그대로 사용하지만 ‘자음’을 변형시키거나 한자에서 ‘자의’를 제거하기도 하는 독창적인 방식을 통해 한국어를 전면적으로 표기할 수 있는 문자 체계이다. 향찰은 표의-표음 복합체계를 통해 의미 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 고, 종성자의 인식과 초성/중성/종성으로의 음절 분리 의식이 반영된 문자 시스템이다. 이런 향찰을 가장 능숙하게 사용했던 집단이 불교 승려 계층이었다는 사실과 이런 문자를 오늘날까지 전해지도록 애쓴 집단 역시 승려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구결은 향찰에서와 마찬가지로 자음을 변형하거나 자의를 제거한 방식을 사용하지 만 한자의 ‘자형’을 변형한 구결자를 사용하거나 점이나 선에 해당하는 구결점을 이용하여 한국어를 표기한다는 점에서 향찰과는 차이를 보인다. 특히 종성 표기 문자를 초성의 표기에도 이용한 것, 또 구결점의 형태ㆍ위치와 음운ㆍ문법이 체계적인 대응을 보이는 것은 구결자ㆍ구결점의 대표적인 문자적 특징이다. 이러한 구결자와 구결점의 성립과 전승에는 한국 불교의 뛰어난 학승(學僧)이 큰 역할을 하였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한글은 조선신록을 통해 세종의 친제임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다. 다만 최근에 신미대사가 훈민정음의 모음자 창제에 도움을 주었으리라는 주장이 소수 의견으로 등장한 바 있다. 그러나 문자란 창제한 것만큼이나 새로운 문자를 잘 사용하는 일이 중요하다. 바로 신미와 학조 같은 당대의 조선 고승들은 이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했었다. 창제된 새 문자를 누구보다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언해 작업에 대대적으로 참여하면서 정서법과 표기법, 어휘의 기본형 설정 등 뛰어난 어학자의 면모를 보인다.
      지금까지 신라와 고려, 조선시대 승려들은 종교인과 수행자, 또는 정치인이나 문학가, 아니면 의병과 같은 면모만이 부각되어 왔다. 그러나 한국의 승려들에 대해서는 한국의 문자를 발전시킨, 뛰어난 문자 사용자와 전승자로서의 면모에 대해서도 높게 평가받아야 한다.
      번역하기

      신라와 고려시대에 사용된 ‘향찰’과 ‘구결’, 그리고 1443년 ‘훈민정음’ 창제 직후까지 한국의 문자 생활에 대해 살펴보고, 승려들이 우리의 문자 발전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를 밝혔다....

      신라와 고려시대에 사용된 ‘향찰’과 ‘구결’, 그리고 1443년 ‘훈민정음’ 창제 직후까지 한국의 문자 생활에 대해 살펴보고, 승려들이 우리의 문자 발전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를 밝혔다.
      향찰은 ‘자형’에 있어서는 한자를 그대로 사용하지만 ‘자음’을 변형시키거나 한자에서 ‘자의’를 제거하기도 하는 독창적인 방식을 통해 한국어를 전면적으로 표기할 수 있는 문자 체계이다. 향찰은 표의-표음 복합체계를 통해 의미 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 고, 종성자의 인식과 초성/중성/종성으로의 음절 분리 의식이 반영된 문자 시스템이다. 이런 향찰을 가장 능숙하게 사용했던 집단이 불교 승려 계층이었다는 사실과 이런 문자를 오늘날까지 전해지도록 애쓴 집단 역시 승려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구결은 향찰에서와 마찬가지로 자음을 변형하거나 자의를 제거한 방식을 사용하지 만 한자의 ‘자형’을 변형한 구결자를 사용하거나 점이나 선에 해당하는 구결점을 이용하여 한국어를 표기한다는 점에서 향찰과는 차이를 보인다. 특히 종성 표기 문자를 초성의 표기에도 이용한 것, 또 구결점의 형태ㆍ위치와 음운ㆍ문법이 체계적인 대응을 보이는 것은 구결자ㆍ구결점의 대표적인 문자적 특징이다. 이러한 구결자와 구결점의 성립과 전승에는 한국 불교의 뛰어난 학승(學僧)이 큰 역할을 하였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한글은 조선신록을 통해 세종의 친제임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다. 다만 최근에 신미대사가 훈민정음의 모음자 창제에 도움을 주었으리라는 주장이 소수 의견으로 등장한 바 있다. 그러나 문자란 창제한 것만큼이나 새로운 문자를 잘 사용하는 일이 중요하다. 바로 신미와 학조 같은 당대의 조선 고승들은 이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했었다. 창제된 새 문자를 누구보다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언해 작업에 대대적으로 참여하면서 정서법과 표기법, 어휘의 기본형 설정 등 뛰어난 어학자의 면모를 보인다.
      지금까지 신라와 고려, 조선시대 승려들은 종교인과 수행자, 또는 정치인이나 문학가, 아니면 의병과 같은 면모만이 부각되어 왔다. 그러나 한국의 승려들에 대해서는 한국의 문자를 발전시킨, 뛰어난 문자 사용자와 전승자로서의 면모에 대해서도 높게 평가받아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n before the creation of Hangul, the Korean had its own characters to represent the Korean language of the time. Typical examples are Hyangchal and Kugyeol. Hyangchal is a writing system that maximizes the efficiency of conveying meaning through a complex system of ideograms and phonograms, and reflects the perception of codas and the consciousness of separating syllables into initial, middle, and final sounds. It was the Buddhist monastic class that was most adept at using this writing system. Kugyeol is a script that not only possesses the stylistic features of Hyangchal, but also evolved to the point where it created a new shape of letters. There are two types of Kugyeol, one using letters and the other using symbols such as dots and lines, and it is clear that the creators of this system were also monks. Meanwhile, after the creation of Hangul in 1443, Koreans now have a new script that can fully express the Korean language without borrowing or modifying Chinese characters. Creating new characters is one thing, but using them well is another. The monks of the Joseon Dynasty played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use of these new scripts. So far, the monks of the Shilla, Goryeo, and Joseon dynasties have been emphasized only as religious figures and practitioners, or as visionaries, literary figures, or medics, but they should also be recognized for their role as excellent users of letters, who developed and preserved the Korean writing system.
      번역하기

      Even before the creation of Hangul, the Korean had its own characters to represent the Korean language of the time. Typical examples are Hyangchal and Kugyeol. Hyangchal is a writing system that maximizes the efficiency of conveying meaning through a ...

      Even before the creation of Hangul, the Korean had its own characters to represent the Korean language of the time. Typical examples are Hyangchal and Kugyeol. Hyangchal is a writing system that maximizes the efficiency of conveying meaning through a complex system of ideograms and phonograms, and reflects the perception of codas and the consciousness of separating syllables into initial, middle, and final sounds. It was the Buddhist monastic class that was most adept at using this writing system. Kugyeol is a script that not only possesses the stylistic features of Hyangchal, but also evolved to the point where it created a new shape of letters. There are two types of Kugyeol, one using letters and the other using symbols such as dots and lines, and it is clear that the creators of this system were also monks. Meanwhile, after the creation of Hangul in 1443, Koreans now have a new script that can fully express the Korean language without borrowing or modifying Chinese characters. Creating new characters is one thing, but using them well is another. The monks of the Joseon Dynasty played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use of these new scripts. So far, the monks of the Shilla, Goryeo, and Joseon dynasties have been emphasized only as religious figures and practitioners, or as visionaries, literary figures, or medics, but they should also be recognized for their role as excellent users of letters, who developed and preserved the Korean writing syste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