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영재교육에 관한 초등미술영재 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연구 = A Study of Teachers’ Demands and Perceptions of Art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Elementary art education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37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of teachers of elementary art classes for gifted students regarding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The study aimed to reveal these teachers’ perceptions through an analysis of survey results related to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subsequently use the analysis results to draw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directions of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For this purpose, 64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Art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belong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eaching elementary art classes for the gifted, were surveyed; 53 (82.8%)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significant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irst, teachers indicated that creativity is one of the primary considerations when identifying gifted children in ar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alized program for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Third,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opportunities of teachers’ study and training in order to enhance the ability of teachers responsible for art classes for the gifted. Finally,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the gifted in art is urgently needed to activate art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of teachers of elementary art classes for gifted students regarding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The study aimed to reveal these teachers’ perceptions through an analysis of survey results re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of teachers of elementary art classes for gifted students regarding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The study aimed to reveal these teachers’ perceptions through an analysis of survey results related to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subsequently use the analysis results to draw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directions of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For this purpose, 64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Art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belong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eaching elementary art classes for the gifted, were surveyed; 53 (82.8%)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significant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irst, teachers indicated that creativity is one of the primary considerations when identifying gifted children in ar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alized program for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Third,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opportunities of teachers’ study and training in order to enhance the ability of teachers responsible for art classes for the gifted. Finally,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the gifted in art is urgently needed to activate art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미술영재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이 초등미술영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다시 말해 초등미술영재교육에 대한 설문분석을 통해교사들이 인식을 밝히고, 이를 통해 초등미술영재교육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얻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 소속 초등미술영재교육원과 초등미술영재학급에서지도하고 있는 6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배부하여 53부(82.8%)가 회수되었다.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영재 선발 시 가장 고려해야할 점은 창의성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초등미술영재교육에 특화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미술영재 지도교사를 자질을 높이기 위해 직무연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넷째, 미술영재 교육의 활성화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프로그램 개발과보급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초등미술영재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이 초등미술영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다시 말해 초등미술영재교육에 대한 설문분석을 통해교사들이 인식을 밝...

      이 연구는 초등미술영재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이 초등미술영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다시 말해 초등미술영재교육에 대한 설문분석을 통해교사들이 인식을 밝히고, 이를 통해 초등미술영재교육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얻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 소속 초등미술영재교육원과 초등미술영재학급에서지도하고 있는 6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배부하여 53부(82.8%)가 회수되었다.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영재 선발 시 가장 고려해야할 점은 창의성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초등미술영재교육에 특화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미술영재 지도교사를 자질을 높이기 위해 직무연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넷째, 미술영재 교육의 활성화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프로그램 개발과보급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애, "학동기 미술영재성 동기요인 검사도구 개발" 13 (13): 23-41, 2003

      2 구문모, "통계로 보는 문화. 문화산업의 발전방안 연구보고서 자료집" 2000

      3 박명옥,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능력검사모형 구안" 한국영재학회 20 (20): 1-30, 2010

      4 박명옥, "초등미술영재에게 나타나는 통섭적 사고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2 (42): 21-51, 2015

      5 권준범, "초등 미술영재교육에 대비한 현황 분석 연구 - 서울시교육청 미술영재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4 : 27-48, 2008

      6 이용애, "시각예술 영재성 개념 모델의 탐색" 9 (9): 22-36, 2002

      7 강주희, "미술영재성 개념 정립을 위한 문헌 고찰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7 (27): 231-260, 2013

      8 강주희, "미술영재를 위한 미술관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45) : 67-103, 2013

      9 김정희, "미술영재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미술가와 미술영재아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미술교육학회 17 : 65-100, 2003

      10 이경진,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교사 인식과 요구 : 영재교육기관 유형별 사례연구" 한국영재학회 23 (23): 537-565, 2013

      1 이용애, "학동기 미술영재성 동기요인 검사도구 개발" 13 (13): 23-41, 2003

      2 구문모, "통계로 보는 문화. 문화산업의 발전방안 연구보고서 자료집" 2000

      3 박명옥,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능력검사모형 구안" 한국영재학회 20 (20): 1-30, 2010

      4 박명옥, "초등미술영재에게 나타나는 통섭적 사고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2 (42): 21-51, 2015

      5 권준범, "초등 미술영재교육에 대비한 현황 분석 연구 - 서울시교육청 미술영재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4 : 27-48, 2008

      6 이용애, "시각예술 영재성 개념 모델의 탐색" 9 (9): 22-36, 2002

      7 강주희, "미술영재성 개념 정립을 위한 문헌 고찰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7 (27): 231-260, 2013

      8 강주희, "미술영재를 위한 미술관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45) : 67-103, 2013

      9 김정희, "미술영재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미술가와 미술영재아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미술교육학회 17 : 65-100, 2003

      10 이경진,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교사 인식과 요구 : 영재교육기관 유형별 사례연구" 한국영재학회 23 (23): 537-565, 2013

      11 김혜선, "미술영재교육 실태조사 연구: 미술 영재학습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미술교육학회 18 (18): 81-102, 2004

      12 강주희, "미술영재 진단평가 문항 개발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49) : 29-53, 2014

      13 백중열, "미술영재 육성을 위한 방안 모색" 6 : 39-54, 2007

      14 이경진,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한국영재학회 23 (23): 193-213, 2013

      15 김정희, "미술영재 교육과정 모형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1 (21): 61-82, 2007

      16 서제희, "미술 영재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1 : 18-30, 2003

      17 김정희, "미술 영재성 검사 도구에 대한 연구" 25 (25): 213-230, 2005

      18 김혜경, "미술 영재 판별 검사 검증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원 27 (27): 1-22, 2011

      19 이경진, "단위학교 예술영재학급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 및개선 방안 탐색" 한국영재학회 25 (25): 299-320, 2015

      20 원영실, "교사 관찰추천 예술영재 판별의 현황과 과제-국악·서양음악·미술 영재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학회 33 (33): 157-201, 2012

      21 서울특별시교육청, "2015학년도 영재교육 세부추진 계획"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