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이은숙과 정정화라는 민족운동가의 아내들을 통해서 일제 강점기 식민적 디아스포라 상황이 여성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 보았다. 이은숙과 정정화는 조선 말기 지배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854361
2015
Korean
001
KCI등재
학술저널
79-112(34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이은숙과 정정화라는 민족운동가의 아내들을 통해서 일제 강점기 식민적 디아스포라 상황이 여성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 보았다. 이은숙과 정정화는 조선 말기 지배층...
이 글은 이은숙과 정정화라는 민족운동가의 아내들을 통해서 일제 강점기 식민적 디아스포라 상황이 여성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 보았다. 이은숙과 정정화는 조선 말기 지배층 명문가 출신의 여성들로서 가부장제하에서도 나름대로 여성적 지위를 누릴 수 있는 사람들이었다. 그러나 각 배우자가 모두 민족운동에 뛰어 들자, 여성 자신 지위와 역할에도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다. 지배층 여성에서 디아스포라 난민적 지위로, 난민적 상황에서 민족 저항적 의식을 수용하게 되고, 때에 따라서는 남성 중심적 인식에도 도전하기도 하였다.
두 여성 가운데 정정화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아, 그의 일제강점기 활동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애국활동으로 공식적 인정받았다. 그러나 이은숙은 사회적으로 기억되지 않고, 기억된다 하더라도 이회영의 아내의 위치에 머물러 있다. 물론 이은숙의 일제 난민적 삶과 활동을 민족운동으로 정의내리기에는 부족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회영의 민족운동 활동에는 이은숙의 희생과 헌신이 빠질 수 없다는 점에서 간접적이나마 이은숙의 활동은 민족운동에 협력하고 기여했던 점을 누락시킬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민족운동을 했던 많은 남성들의 뒤에는 가난과 고통을 참고, 수많은 희생을 감내하면서 협력을 했던 여성들의 삶이 있을 것이다. 민족운동의 여성 리더들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것도 대단히 중요하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아내로서의 위치 속에서 활동했던 여성들의 경험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접근할 때, 일제 강점기 역사의 지평은 확장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tries to find how the diasporic situation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ffected Korean women, focusing on Eun-Sook Lee(1889~1979) and Jeong-hwa Jeong(1900-1991) as the wives of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Even after Chosun dynasty en...
The paper tries to find how the diasporic situation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ffected Korean women, focusing on Eun-Sook Lee(1889~1979) and Jeong-hwa Jeong(1900-1991) as the wives of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Even after Chosun dynasty ended, they were women of the ruling class and had enjoyed their upper class position in patriarchal system. But as their spouse jumped into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drastic changes occurred in their status, roles, and identities. They were turned into diasporic refugees from women of ruling class. They came to have the resistant consciousness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and they also sometimes challenged male-dominated culture.
In 1990, Jeong-hwa Jeong received the Order of Merit for National Foundation, which means that her activitie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was officially recognized as patriotic activities to support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大韓民國臨時政府). But Eun-sook Lee is not remembered well in Korean society. Even if she is so, she remains in the position of the wife of famous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Hui-young Lee(李會榮, 1867-1932). I don’t think that all her activists and experiences could be evaluated as part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Because her sacrifice and commitment were essential to the Hui-young Lee’s patriotic activities, however, we must recognize that her activities indirectly cooperated with and contributed to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The women had to endure poverty and suffering, sacrificing their comfortable life, and directly or indirectly made part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It is very important to research the women leaders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When we try to find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contributed to the national movement as wives,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Japanese occupation and on the history of Korean women will be extend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부자, "황해문화" 2007
2 김귀옥, "한국전쟁기 남성 부재와 시집살이 여성" 역사문제연구소 (101) : 402-433, 2012
3 박명규,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 2004
4 앤 로잘린드 존즈, "한국여성연구소 기타간행물" 1990
5 최은희, "한국개화여성열전" 정음사 1985
6 한희정, "한국 여성 잡지의 모성담론 분석: <여성중앙> <여성동아> <우먼센스> <주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2 (2): 2002
7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코리언 디아스포라 연구목록" 선인 2013
8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9 박혜경, "중산층 기혼여성의 경험 세계를 통해 본 가사노동의 성격과 가사노동 가치인식" 한국여성연구소 8 (8): 159-196, 2008
10 김희곤, "중국관내 한국독립운동단체연구" 지식산업사 1995
1 김부자, "황해문화" 2007
2 김귀옥, "한국전쟁기 남성 부재와 시집살이 여성" 역사문제연구소 (101) : 402-433, 2012
3 박명규,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 2004
4 앤 로잘린드 존즈, "한국여성연구소 기타간행물" 1990
5 최은희, "한국개화여성열전" 정음사 1985
6 한희정, "한국 여성 잡지의 모성담론 분석: <여성중앙> <여성동아> <우먼센스> <주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2 (2): 2002
7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코리언 디아스포라 연구목록" 선인 2013
8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9 박혜경, "중산층 기혼여성의 경험 세계를 통해 본 가사노동의 성격과 가사노동 가치인식" 한국여성연구소 8 (8): 159-196, 2008
10 김희곤, "중국관내 한국독립운동단체연구" 지식산업사 1995
11 이배용, "중국 상해 대한애국부인회와 여성독립운동" 이화사학연구소 (30) : 343-364, 2003
12 한시준, "정정화의 생애와 독립운동" 단국대학교사학회 47 : 2013
13 신명식, "정정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안살림꾼" 역사공간 2010
14 정정화, "장강일기" 학민사 1998
15 김경일, "일제하의 신여성 연구-성과 사랑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57 : 2000
16 박용옥, "일제시기 여성인물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인물사연구소 (창간) : 2004
17 최재희, "일본과 서구의 식민통치 비교" 선인 2004
18 최재희, "일본과 서구의 식민통치 비교" 선인 2004
19 이덕일, "이회영과 젊은 그들" 역사의아침 2009
20 김삼웅, "이회영 평전" 책보세 2011
21 윤병석, "이은숙저 서간도시종기 <서평>" 서울대학교문리과대학학생회 29 : 1975
22 김귀옥, "월남민의 생활세계와 정체성"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23 박명림, "역사와 지식과 사회: 한국전쟁 이해와 한국사회" 나남 2011
24 최은희, "여성을 넘어 아낙의 너울을 벗고" 문이재 2003
25 한시준, "여성광복군과 그들의 활동" 단국대학교사학회 37 : 2005
26 허은,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민족문제연구소 2010
27 조철행, "식민지와 분단을 온몸으로 거부한 한 여인의 삶" 내일을여는역사 (창간) : 2000
28 권숙인,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 피식민 조선인과의 만남과 식민의식의 형성" 한국사회사학회 (80) : 109-139, 2008
29 권명아, "식민지 경험과 여성의 정체성–파시즘 체제하의 문학, 여성, 국가–" 한국사회사학회 80 : 2008
30 이정은, "식민제국과 전쟁, 그리고 디아스포라의 삶 - ‘우토로’ 지역 재일조선인 1세 여성의 정착과 생활 -" 한국사회학회 45 (45): 169-197, 2011
31 윤정란, "서북을 호령한 여성독립운동가 조신성" 역사공간 2009
32 이경민, "사진신분, 결혼에 올인하다1: 하와이 이민과 사진결혼의 탄생" 황해문화 (가을) : 2007
33 이송희, "박차정 여사의 삶과 투쟁" 부산경남역사연구소 (1) : 1996
34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서간도 시종기–" 정음사 1979
35 정현백, "민족과 페미니즘" 당대 2003
36 정진성, "민족 및 민족주의에 관한 한국여성학의 논의: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15 (15): 1999
37 김은실, "민족 담론과 여성: 문화, 권력, 주체에 관한 비판적 읽기를 위하여" 한국여성학회 10 : 1994
38 신주백,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사(1920~45)" 아세아문화사 1999
39 김위현, "동농 김가진" 학민사 2009
40 이준식,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여성 독립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1) : 107-141, 2009
41 국가보훈처,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
42 김성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여성들의 독립운동 : 1932∼1945" 부산경남사학회 (68) : 227-263, 2008
43 김삼웅, "단재 신채호 평전" 시대의창 2005
44 이종걸, "다시 그 경계에 서다" 옥당 2010
45 정정화, "녹두꽃" 미완 1987
46 손염홍, "근대 북경의 한인사회와 민족운동" 역사공간 2010
47 김귀옥, "구술사연구: 방법과 실천" 한울 2014
48 팽경민, "고정희와 최승자 시에 나타난 모성성" 한국비평문학회 (47) : 261-293, 2013
49 실비아 월비, "가부장제 이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50 양지혜, "‘식민자 사회’의 형성: 식민지기 하층 출신 일본인 이주자의 도시경험과 자기규제" 도시사학회 (7) : 2012
51 Safran, William, "Diasporas in Modern Societies: Myths of Homeland and Return" 1 (1): 1991
52 박환, "1920년대 중반 북경지역 多勿團의 성립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3 : 67-86, 2002
북한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특징과 통일 글쓰기 수업을 위한 제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9 | 1.222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