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구술아카이브 기반 스토리텔링체험시스템 연구 = A Study of Storytelling Experience System based on Local Oral Archiv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구술의 원형 특징인 ‘집단창작성’, ‘쌍방향성’, ‘장소성’이 아카이브 과정에서 고정된 단순정보로 변하여 디지털 아카이브화 된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기존의 아카이브가 단순히 수집과 보존, 이용자들의 효율적인 정보 접근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구술이야기가 본질적으로 가지는 구연상황에 의한 쌍방향성과 집단창작성을 효과적으로 전달시킬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구술 자료의 특성 및 공공 구술아카이브의 현황과 한계를 살펴보고, 구술아카이브 기반 스토리텔링체험시스템 제안을 위한 벤치마킹 사례로 일본 오노미치시 유비쿼터스 박물관, 히스토리핀, 커뮤니티 매핑을 들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렇게 도출된 분석 내용 및 시사점을 가지고 구술 상황에서 현대 생활세계에 대한 개인적 회상과 집단의 기억을 통합적으로 살리기 위하여 장소적 전경의 가치를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구현하여 공간적 기억모델의 가능성을 실제적 서비스 체험체계로 설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한 장소스토리텔링의 실현 가능성을 새롭게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아카이브의 구축과정에서 참여적 구술이 가능한 상황을 시론적으로 연구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구술의 원형 특징인 ‘집단창작성’, ‘쌍방향성’, ‘장소성’이 아카이브 과정에서 고정된 단순정보로 변하여 디지털 아카이브화 된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기존의 아카...

      본 연구는 구술의 원형 특징인 ‘집단창작성’, ‘쌍방향성’, ‘장소성’이 아카이브 과정에서 고정된 단순정보로 변하여 디지털 아카이브화 된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기존의 아카이브가 단순히 수집과 보존, 이용자들의 효율적인 정보 접근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구술이야기가 본질적으로 가지는 구연상황에 의한 쌍방향성과 집단창작성을 효과적으로 전달시킬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구술 자료의 특성 및 공공 구술아카이브의 현황과 한계를 살펴보고, 구술아카이브 기반 스토리텔링체험시스템 제안을 위한 벤치마킹 사례로 일본 오노미치시 유비쿼터스 박물관, 히스토리핀, 커뮤니티 매핑을 들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렇게 도출된 분석 내용 및 시사점을 가지고 구술 상황에서 현대 생활세계에 대한 개인적 회상과 집단의 기억을 통합적으로 살리기 위하여 장소적 전경의 가치를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구현하여 공간적 기억모델의 가능성을 실제적 서비스 체험체계로 설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한 장소스토리텔링의 실현 가능성을 새롭게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아카이브의 구축과정에서 참여적 구술이 가능한 상황을 시론적으로 연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s out from being digital archiving in the process of archiving the features of the original oral form: collective creativity, interactivity, placeness are changed to simple information. From the fact that existing archive is focused on preservation of collection and efficient information access for users, it aims to develop measures to effectively deliver interactive and collective creativity by storytelling. For this, it analyzed the feature of Oral History Material, the current status, and limit of public oral archive. Also, an implication for storytelling experience system was planned based on oral archive via benchmarking instances; Onomichi Ubiquitous Museum, Historypin, Community mapping. By using it, we were to implement value of landscape based on the digital map for making an integrated recollection of personal memories about modern life orally. Then, realistic possibility of spatial storytelling based on digital map in this process was newly reviewed. Finally, through the results, possibility of participatory oral statement was studied as introductory study in the process of contructing archives of everyday life.
      번역하기

      This study sets out from being digital archiving in the process of archiving the features of the original oral form: collective creativity, interactivity, placeness are changed to simple information. From the fact that existing archive is focused on p...

      This study sets out from being digital archiving in the process of archiving the features of the original oral form: collective creativity, interactivity, placeness are changed to simple information. From the fact that existing archive is focused on preservation of collection and efficient information access for users, it aims to develop measures to effectively deliver interactive and collective creativity by storytelling. For this, it analyzed the feature of Oral History Material, the current status, and limit of public oral archive. Also, an implication for storytelling experience system was planned based on oral archive via benchmarking instances; Onomichi Ubiquitous Museum, Historypin, Community mapping. By using it, we were to implement value of landscape based on the digital map for making an integrated recollection of personal memories about modern life orally. Then, realistic possibility of spatial storytelling based on digital map in this process was newly reviewed. Finally, through the results, possibility of participatory oral statement was studied as introductory study in the process of contructing archives of everyday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공공 구술아카이브의 현황과 한계
      • 3. 구술아카이브 스토리텔링체험시스템 벤치마킹
      • 4. 구술아카이브 기반 스토리텔링체험시스템 구축 방안 제안
      • 국문초록
      • 1. 서론
      • 2. 공공 구술아카이브의 현황과 한계
      • 3. 구술아카이브 스토리텔링체험시스템 벤치마킹
      • 4. 구술아카이브 기반 스토리텔링체험시스템 구축 방안 제안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아름, "히스토리핀을 활용한 전주한옥마을의 근현대 기억 디지털아 카이브 구축 방안"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7) : 229-245, 2014

      2 "히스토리핀 홈페이지"

      3 "커뮤니티매핑이야기 홈페이지"

      4 "커뮤니티매핑센터 홈페이지"

      5 김기덕, "창조경제시대 스토리텔링 다시보기" 북코리아 2014

      6 김현주,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7 김상철, "문화지도 : 지도를 매체(media)로 한 문화의 이해와 표현"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1) : 2008

      8 설문원,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 (32) : 3-44, 2012

      9 문화재청, "디지털문화유산 영상관 전시운영방안연구보고서" 2013

      10 설문원,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1 (11): 207-230, 2011

      1 최아름, "히스토리핀을 활용한 전주한옥마을의 근현대 기억 디지털아 카이브 구축 방안"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7) : 229-245, 2014

      2 "히스토리핀 홈페이지"

      3 "커뮤니티매핑이야기 홈페이지"

      4 "커뮤니티매핑센터 홈페이지"

      5 김기덕, "창조경제시대 스토리텔링 다시보기" 북코리아 2014

      6 김현주,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7 김상철, "문화지도 : 지도를 매체(media)로 한 문화의 이해와 표현"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1) : 2008

      8 설문원,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 (32) : 3-44, 2012

      9 문화재청, "디지털문화유산 영상관 전시운영방안연구보고서" 2013

      10 설문원,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1 (11): 207-230, 2011

      11 김명훈, "디지털 구술 아카이빙에 관한 연구" 한국구술사학회 4 (4): 2013

      12 정남영, "다중" 세종서적 2008

      13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출판부 2003

      14 태지호, "기억문화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5 민유기, "국가기억 대 민간기억의 갈등과 대안적 기념문화의 모색- 프랑스 방데 퓌뒤푸의 경우" 한국사회사학회 (78) : 65-95, 2008

      16 한국구술사연구회, "구술사: 방법과 사례" 도서출판 선인 2005

      17 윤택림,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아르케 2010

      18 이정연, "구술사 기록물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모델링 및 표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6 (26): 163-184, 2009

      19 조용성, "구술기록의 수집과 아카이브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 (25) : 233-278, 2010

      20 장노현, "구술 생애사 스토리텔링의 분절과 결합 구조" 대중서사학회 (23) : 217-243, 2010

      21 앙리 르페브르,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22 구동회,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23 "UNESCO 홈페이지"

      24 "New Jersey Pothole Map 홈페이지"

      25 "IMKorea(Interactive Mapping Korea) 홈페이지"

      26 Mark Baggett, "Historypin and Pinterest for Digital Collections :Measuring the Impact of Image-Based Social Tools on Discovery and Access" 54 (54): 2014

      27 Natasha Armstrong, "Historypin : Bringing Generations Together Around a Communal History of Time and Place" 10 (10): 2012

      28 Dong-hwan Yoo, "Folk Tale Narration Places of the Digital Era: A Study on the Plans to Design Folk Tale Story Banks" 8 (8): 2014

      29 "Behaviour Change(We Are What We Do) 홈페이지"

      30 Michael Wood, "Art of the Western World" Summit Books 1989

      31 Dong-hwan Yoo, "Analysis on Fairy Tales in Terms of Exhibition Material for Exhibitions at Literature Museums" 9 (9): 2014

      32 윤택림, "2000년 주민 생애사를 통해 본 20세기 서울 현대사"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