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남호, "현대국어의 파생접미사 연구 -생산력이 높은 접미사를 중심으로 국어연구" 1988
2 시정곤, "현대국어 형태론의 탐구" 도서출판 월인 2006
3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의 단어구조 연구" 1998
4 고영근, "현대국어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 아세아연구 535-571에 다시 실림" 1972
5 국립국어연구원, "편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6 하치근, "파생법에서 어휘화한 단어의 처리 문제 우리말연구" 33-57, 1992
7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2000
8 고영근,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1993
9 이광호, "연결망 기반의 형태론" 1-17, 2004
10 김성규, "어휘소 설정과 음운현상 국어연구" 1987
1 조남호, "현대국어의 파생접미사 연구 -생산력이 높은 접미사를 중심으로 국어연구" 1988
2 시정곤, "현대국어 형태론의 탐구" 도서출판 월인 2006
3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의 단어구조 연구" 1998
4 고영근, "현대국어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 아세아연구 535-571에 다시 실림" 1972
5 국립국어연구원, "편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6 하치근, "파생법에서 어휘화한 단어의 처리 문제 우리말연구" 33-57, 1992
7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2000
8 고영근,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1993
9 이광호, "연결망 기반의 형태론" 1-17, 2004
10 김성규, "어휘소 설정과 음운현상 국어연구" 1987
11 시정곤, "명사성 불구어근의 형태, 통사론적 연구" 14 : 205-234, 2001나
12 시정곤, "등재소 설정 기준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회 (22) : 185-214, 2004
13 이호승, "단어형성과정의 공시성과 통시성" 3 (3): 113-120, 2001
14 임홍빈, "기술보다는 설명을 중시하는 형태론의 정립을 위하여" 168-192, 1982
15 시정곤, "규칙은 과연 필요 없는가?" 1 (1): 261-283, 1999
16 고영근, "국어형태론연구,증보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17 송철의, "국어의 파생어형성 연구" 1990/1992
18 시정곤, "국어의 어휘부 사전에 대한 연구 언어연구" 17 (17): 163-184, 2001가
19 이선영, "국어의 어간복합어에 대한 통시적 연구" 2002
20 시정곤, "국어의 단어형성원리" 1994
21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태학사 1996
22 김명광, "국어 접사 ‘-음’, ‘-기’에 의한 단어 형성 연구" 2004
23 송원용,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체계에 대한 연구" 2002
24 민현식, "국어 문법론의 이해" 1994
25 김정은, "국어 단어형성법 연구" 1995
26 Cole, "Words and morphemes as units for lexical acces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7" 312-330, 1993
27 Aronoff, "Word formation in generative grammar The MIT Press" 1976
28 해스펠매스(M. Haspelmath), "Understanding morphology" London 2002
29 해스펠매스(M. Haspelmath), "Understanding morphology" London 2002
30 바우어(L. Bauer), "Morphological produc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1 A, "Lexical representation of derivational relation The MIT Press" 37-55, 1980
32 Amsterdam, "A corpus-based approach to morphological productivity" Free University 1989
33 국립국어원, "2004 신어" 국립국어원 2004
34 구본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