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 형태론에서의 ‘생산성’ 문제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productivity in Korean morph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99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build a new notion of productivity in Korean morphology and to distinguish productivity from other notions such as frequency and regularity. There are few previous studies of productivity and notions of productivity differ from one researcher to the next. In this paper, I argue against previous definitions and propose a new notion of productivity. This paper focuses on four questions; 1) What is productivity? 2) Does productivity work synchronically or diachronically? 3) Is frequency related to productivity? 4) Is regularity related to productivity? With regard to the first question, I prefer to assign productivity to morphological processes, and not affixes. With regard to the second question, I propose that productivity makes sense only in the synchrony; lexicalization is the result of diachronic change. As to frequency, I propose that neither token frequency nor hapax legomena frequency are related to productivity. Finally, this paper proposes that productivity is a continuum determined by the strength to generate new forms, and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notion of regularity.
      번역하기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build a new notion of productivity in Korean morphology and to distinguish productivity from other notions such as frequency and regularity. There are few previous studies of productivity and notions of productivity differ...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build a new notion of productivity in Korean morphology and to distinguish productivity from other notions such as frequency and regularity. There are few previous studies of productivity and notions of productivity differ from one researcher to the next. In this paper, I argue against previous definitions and propose a new notion of productivity. This paper focuses on four questions; 1) What is productivity? 2) Does productivity work synchronically or diachronically? 3) Is frequency related to productivity? 4) Is regularity related to productivity? With regard to the first question, I prefer to assign productivity to morphological processes, and not affixes. With regard to the second question, I propose that productivity makes sense only in the synchrony; lexicalization is the result of diachronic change. As to frequency, I propose that neither token frequency nor hapax legomena frequency are related to productivity. Finally, this paper proposes that productivity is a continuum determined by the strength to generate new forms, and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notion of regular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형태론에서 생산성(productivity)의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의 개념에 대해 네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1) 생산적인 형태론적 과정이란? 본고는 생산성은 단어형성 과정, 더 넓게는 형태론적 과정에 적용되는 개념으로 규정하였다. 2) 공시태/통시태와 생산성은 어떤 관계에 있는가? 본고에서는 생산성의 개념을 공시태에서만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했다. 3) 빈도가 높다고 생산적인가? 토큰 빈도수는 생산성과 무관하고 단발어 빈도도 생산성을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계열체의 유형 빈도와 생산성은 밀접한 관계가 없다는 점을 밝혔다. 4) 규칙성은 생산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생산성의 정도가 가장 높을 때를 규칙성이라 했으며 규칙성을 가진 형태론적 과정을 ‘규칙’이라고 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어학 내에서뿐만 아니라 외적으로도 많은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형태론에서 생산성(productivity)의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의 개념에 대해 네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검...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형태론에서 생산성(productivity)의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의 개념에 대해 네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1) 생산적인 형태론적 과정이란? 본고는 생산성은 단어형성 과정, 더 넓게는 형태론적 과정에 적용되는 개념으로 규정하였다. 2) 공시태/통시태와 생산성은 어떤 관계에 있는가? 본고에서는 생산성의 개념을 공시태에서만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했다. 3) 빈도가 높다고 생산적인가? 토큰 빈도수는 생산성과 무관하고 단발어 빈도도 생산성을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계열체의 유형 빈도와 생산성은 밀접한 관계가 없다는 점을 밝혔다. 4) 규칙성은 생산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생산성의 정도가 가장 높을 때를 규칙성이라 했으며 규칙성을 가진 형태론적 과정을 ‘규칙’이라고 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어학 내에서뿐만 아니라 외적으로도 많은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남호, "현대국어의 파생접미사 연구 -생산력이 높은 접미사를 중심으로 국어연구" 1988

      2 시정곤, "현대국어 형태론의 탐구" 도서출판 월인 2006

      3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의 단어구조 연구" 1998

      4 고영근, "현대국어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 아세아연구 535-571에 다시 실림" 1972

      5 국립국어연구원, "편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6 하치근, "파생법에서 어휘화한 단어의 처리 문제 우리말연구" 33-57, 1992

      7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2000

      8 고영근,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1993

      9 이광호, "연결망 기반의 형태론" 1-17, 2004

      10 김성규, "어휘소 설정과 음운현상 국어연구" 1987

      1 조남호, "현대국어의 파생접미사 연구 -생산력이 높은 접미사를 중심으로 국어연구" 1988

      2 시정곤, "현대국어 형태론의 탐구" 도서출판 월인 2006

      3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의 단어구조 연구" 1998

      4 고영근, "현대국어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 아세아연구 535-571에 다시 실림" 1972

      5 국립국어연구원, "편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6 하치근, "파생법에서 어휘화한 단어의 처리 문제 우리말연구" 33-57, 1992

      7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2000

      8 고영근,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1993

      9 이광호, "연결망 기반의 형태론" 1-17, 2004

      10 김성규, "어휘소 설정과 음운현상 국어연구" 1987

      11 시정곤, "명사성 불구어근의 형태, 통사론적 연구" 14 : 205-234, 2001나

      12 시정곤, "등재소 설정 기준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회 (22) : 185-214, 2004

      13 이호승, "단어형성과정의 공시성과 통시성" 3 (3): 113-120, 2001

      14 임홍빈, "기술보다는 설명을 중시하는 형태론의 정립을 위하여" 168-192, 1982

      15 시정곤, "규칙은 과연 필요 없는가?" 1 (1): 261-283, 1999

      16 고영근, "국어형태론연구,증보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17 송철의, "국어의 파생어형성 연구" 1990/1992

      18 시정곤, "국어의 어휘부 사전에 대한 연구 언어연구" 17 (17): 163-184, 2001가

      19 이선영, "국어의 어간복합어에 대한 통시적 연구" 2002

      20 시정곤, "국어의 단어형성원리" 1994

      21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태학사 1996

      22 김명광, "국어 접사 ‘-음’, ‘-기’에 의한 단어 형성 연구" 2004

      23 송원용,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체계에 대한 연구" 2002

      24 민현식, "국어 문법론의 이해" 1994

      25 김정은, "국어 단어형성법 연구" 1995

      26 Cole, "Words and morphemes as units for lexical acces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7" 312-330, 1993

      27 Aronoff, "Word formation in generative grammar The MIT Press" 1976

      28 해스펠매스(M. Haspelmath), "Understanding morphology" London 2002

      29 해스펠매스(M. Haspelmath), "Understanding morphology" London 2002

      30 바우어(L. Bauer), "Morphological produc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1 A, "Lexical representation of derivational relation The MIT Press" 37-55, 1980

      32 Amsterdam, "A corpus-based approach to morphological productivity" Free University 1989

      33 국립국어원, "2004 신어" 국립국어원 2004

      34 구본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orphology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형태론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87 2.42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