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누리과정 시행에 따른 시·도별 지방교육재정 세출 경향 및 격차 분석 = Analysis of Tendency and Gap among Annual Expenditures of Province s Local Education Finance after Starting Nuri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72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 시행에 따른 시·도별 지방교육재정 세출 경향과 격차를 분석하고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지방교육재정알리미에서 공시된 통계자료 및 지방교...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 시행에 따른 시·도별 지방교육재정 세출 경향과 격차를 분석하고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지방교육재정알리미에서 공시된 통계자료 및 지방교육재정분석 종합보고서 자료를 대상으로 누리과정이 시행되기 전인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지방교육재정 세출 항목별 경향을 분석하고, 변이계수와 지니계수를 활용하여 시·도간 세출 격차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1인당 교육비의 시·도교육청별 격차는 유아 1인당 교육비를 제외한, 전체 학생 1인당 교육비 및 초·중등학교 학생 1인당 교육비에서 누리과정 시행 전보다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사업별 세출격차에 있어서도 누리과정 시행 이후 교수학습지원사업과 학교교육여건개선시설의 격차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환경개선시설비는 2015년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세출액 및 세출 비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도별 통합 부채는 지속적으로 격차가 커졌으며, 누리과정 시행 이후 그 증가폭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통합부채는 누리과정 시행 전인 2011년에 비해 총액으로 약 1.8배 정도 증가하였다. 다섯째, 학교회계 전출금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으며, 특히 유치원 회계 전출금 총액과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증액없이 지방교육재정 내에서 누리과정을 지원함으로써 초·중등학교에 대한 재정이 열악해짐을 확인한 바 정부차원에서의 누리과정에 대한 재정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and find disparities of provincial expenditures in the regional education finance after starting the NURI curriculum. The data of Edu-info from 2011 to 2015 were used to analyze trends and calculate the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and find disparities of provincial expenditures in the regional education finance after starting the NURI curriculum. The data of Edu-info from 2011 to 2015 were used to analyze trends and calculat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local education expendit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gional disparities of educational expenses per student except educational expenses per child increased after starting the NURI curriculum. Second, the regional disparities of program expenses in each educational policy of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Project’ and ‘Facilities for Improving School Environment‘ increased after starting the NURI curriculum. Third, the regional disparities of the expenses and the ratios of ‘Facilities for Improving School Environment‘ to regional education finance have decreased in the following years except 2015. Fourth, province s consolidated debts have increased and showed a dramatic rise since the initiate of NURI curriculum. The regional consolidated debts showed a 180% change in 2015 from 2011. Fifth, transfer in school accounting have increased respectively, especially the total numbers and the ratios of transfer to kindergarten accounting have increased. The results showed that without increase of the regional education finance, the initiate of the NURI curriculum made all levels of school finance situations worse. Therefore,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NURI curriculum in government level needs to be mad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 고 문 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재명, "학생수 변화를 고려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지역간 형평화 효과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1 (31): 107-132, 2017

      2 이광현, "학생 수 변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교부방식 개선 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83-107, 2016

      3 반상진,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교육재정 압박, 정책적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22 (22): 109-133, 2015

      4 하봉운, "학교급식비 지원액의 지역 간 격차 분석" 경기개발연구원 14 (14): 65-89, 2012

      5 정민석, "지방교육재정의 현황과 재정확보 방안. 누리과정과 관련한 중안정부와 지방교육청 간의 갈등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2 (2): 125-145, 2015

      6 최영출, "지방교육재정의 주요쟁점과 향후 정책방안" 한국지방행정학회 11 (11): 173-214, 2014

      7 김병주, "지방교육재정의 성과와 과제" 115-151, 2015

      8 한국교육개발원, "지방교육재정분석 종합보고서" 2016

      9 송기창, "지방교육재정교부금에 의한 누리과정 지원의 문제점과 개선대책"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1-28, 2016

      10 송기창,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운용성과와 개정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5 (15): 129-164, 2006

      1 한재명, "학생수 변화를 고려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지역간 형평화 효과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1 (31): 107-132, 2017

      2 이광현, "학생 수 변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교부방식 개선 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83-107, 2016

      3 반상진,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교육재정 압박, 정책적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22 (22): 109-133, 2015

      4 하봉운, "학교급식비 지원액의 지역 간 격차 분석" 경기개발연구원 14 (14): 65-89, 2012

      5 정민석, "지방교육재정의 현황과 재정확보 방안. 누리과정과 관련한 중안정부와 지방교육청 간의 갈등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2 (2): 125-145, 2015

      6 최영출, "지방교육재정의 주요쟁점과 향후 정책방안" 한국지방행정학회 11 (11): 173-214, 2014

      7 김병주, "지방교육재정의 성과와 과제" 115-151, 2015

      8 한국교육개발원, "지방교육재정분석 종합보고서" 2016

      9 송기창, "지방교육재정교부금에 의한 누리과정 지원의 문제점과 개선대책"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1-28, 2016

      10 송기창,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운용성과와 개정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5 (15): 129-164, 2006

      11 김종순,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산정방식의 적정성 분석" 국회예산정책처 2016

      12 김병주,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배분구조의 혁신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5 (15): 217-241, 2006

      13 오세희, "지방교육재정교부 배분의 정치성과 합리성에 관한 소고"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12 (12): 101-129, 2016

      14 김병주, "지방교육재정 실태 및 수요증대 요인과 대책" 한국교육개발원 2014

      15 윤홍주, "지방교육재정 보통교부금제도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1 (21): 145-171, 2012

      16 남수경, "지방교육재정 교부금제도의 형평성 평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6 (16): 31-56, 2007

      17 이승모, "재정보전금 제도 도입의 정책효과 분석 및 함의:수평적 재정형평성의 개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0 (40): 199-218, 2006

      18 이윤조, "시・군 조정교부금제도의 개정이 재정형평성에 치는 영향 : 경기도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197-216, 2016

      19 우명숙, "시도 교육청 수준에서의 교육재정 형평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263-284, 2007

      20 김민희, "시‧도별 교육비특별회계 세출 격차 분석" 한국비교정부학회 19 (19): 179-203, 2015

      21 김병주, "사립대학 재정지원 개선방안" 71-96, 2012

      22 송기창, "누리과정 재정지원체계에 비추어 본 유보통합 재정지원체계의 설계 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6 (26): 27-44, 2017

      23 김성주, "국고보조금의 지방자치단체간 재정불균형에 대한 영향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분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24 윤정일, "교육행정학원론(6판)" 서울: 학지사 2015

      25 송기창, "교육재정, 확충방안을 마련할 때다" 3-41, 2017

      26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개괄 및 유아교육정책 추진 현황" 5-20, 2011

      27 송기창, "2012 교육재정백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2 1.11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