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등교원양성기관 학생의 임용시험 대비 사교육비 지출 실태를 보다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중등교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에 합격하고 대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572896
2017
-
372
KCI등재
학술저널
215-240(26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교원양성기관 학생의 임용시험 대비 사교육비 지출 실태를 보다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중등교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에 합격하고 대전...
본 연구는 중등교원양성기관 학생의 임용시험 대비 사교육비 지출 실태를 보다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중등교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에 합격하고 대전광역시 교육청, 대구광역시 교육청, 전라북도 교육청 그리고 경상북도 교육청 등의 4개 시‧도 교육청 교원 연수원에서 직무연수를 받고 있는 신규교사 772명 중 61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졸업 후 임용시험 합격까지 평균 4년이 소요되었으며, 1인당 총사교육비는 평균 111,010천원으로 나타났다. 총사교육비 지출 차이에서는 연령이 높고, 개인 소득이 많은 집단일수록 그리고 사립대학과 비사범계열이 더 많은 사교육비를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재학 중 1인당 사교육비는 54,550천원, 졸업 후는 56,460천원으로 나타났다. 대학 재학 중에는 성별, 졸업연도, 대학소재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으며, 졸업 후에는 연령별, 졸업연도, 개인소득, 대학설립유형, 임용시험준비방법과 학원등록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지출항목별 사교육비 지출 규모에서도 항목별, 집단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expenditure scale practically in private education expenses(PEE) concerned with Korea second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exam(KSSTEE) from the student of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stitu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expenditure scale practically in private education expenses(PEE) concerned with Korea second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exam(KSSTEE) from the student of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under the congestion situation of appointment new teachers placed on the waiting lis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survey with 614 appointed new teachers who was receiving
new teacher training in 4 education offices 2017. The important research result is the same as the next. Firs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it takes normally 4 years to pass KSSTEE after graduation, and the total PEE(TPEE) per person is average 111,010,000 won to pass the KSSTEE. In the sense of TPEE until passing a teacher employment exam, the gap between after and before graduation shows that new teacher’s group with high age, large an individual income, a private University and non education college spent more private education expenses. Second, in the sense of differences in PEE during University year and after graduation, the PEE per person during University year was 54,550,000 won, and after graduation it was 56,460,000 won. There appea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not only in gender, year of graduation, and University location during University year, but also age, graduation year, individual incom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type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preparation
methods for the Teacher Employment Exam, and academy enrollment period after graduation. Third, the amount of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by expenditure items also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depending on item and group.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흥주, "한국의 교육비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2 공은배, "한국의 교육비 수준"
3 천세영, "한국교육재정 현상탐구Ⅰ" 학지사 2005
4 박수정, "한국 사범대학 제도의 형성"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135-157, 2003
5 반상진, "초·중등학교 자율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정책의 점검과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89-117, 2009
6 박선형, "중등교원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원자격기준의 체계화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307-334, 2005
7 김영우, "우리나라 초등교원양성의 제도적 변천에 관한 역사적 연구" 춘천교육대학 4 : 1989
8 남수경, "사범대학 학생의 임용고사 관련 사교육비 지출 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337-362, 2006
9 김현진, "사교육비 지출 결정 변인 구조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27-46, 2004
10 김일혁, "사교육비 조사 방법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1 김흥주, "한국의 교육비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2 공은배, "한국의 교육비 수준"
3 천세영, "한국교육재정 현상탐구Ⅰ" 학지사 2005
4 박수정, "한국 사범대학 제도의 형성"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135-157, 2003
5 반상진, "초·중등학교 자율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정책의 점검과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89-117, 2009
6 박선형, "중등교원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원자격기준의 체계화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307-334, 2005
7 김영우, "우리나라 초등교원양성의 제도적 변천에 관한 역사적 연구" 춘천교육대학 4 : 1989
8 남수경, "사범대학 학생의 임용고사 관련 사교육비 지출 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337-362, 2006
9 김현진, "사교육비 지출 결정 변인 구조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27-46, 2004
10 김일혁, "사교육비 조사 방법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11 김미숙, "사교육 실태조사 및사교육비 경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12 최상근, "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규모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13 이정미, "대학의 교육비와 수익률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14 박지윤, "대학생의 취업사교육 참여와 사교육비 지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1 (21): 285-308, 2012
15 천세영, "대학생의 사교육비 규모와 차이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3 (13): 1-24, 2004
16 이정미, "대학생의 과외 사교육 참여와 사교육비 지출 규모의 계열별 차이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9 (19): 65-94, 2010
17 노태익, "대학생들의 사교육비에 관한 연구" 33 : 5-28, 2004
18 민주홍, "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과 교육투자 수익률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2
19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유‧초‧중등 교육통계편"
20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유‧초‧중등 교육통계편"
21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학 백과사전" 하우동설 2001
22 공은배, "교육비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1
23 천세영, "교육비 개념 및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국제비교의 관점"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0 (10): 221-250, 2001
24 백일우, "교육경제학" 학지사 2009
25 교육 50년사, "교육 50년사 편찬위원회" 교육부 1998
26 김이경, "교원자격‧양성자격 개편 방안 연구" 교원자격양성제도 개편추진위원회 2004
27 김명수, "교원양성체제와 신규임용" 한국교원교육학회 (3) : 30-, 2003
28 박상완, "교원교육에 대한 대안적 관점과 교원교육의 체제"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31-54, 2002
29 교육부, "2016년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지방교육재정의 변화추이 분석에 따른 문재인정부의 정책 과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7 | 0.97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9 | 1.2 | 1.113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