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다운 우리말 서산사투리』(증보판)의 체재상 특징과 서산 방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다운 우리말 서산사투리』(증보판)은 서산 지역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고자 발간된 비전문가의 방언자료 결과물이다. 여기에 실린 방언 자료는 서산지역에서 살았던, 지금도 살고 있는 지역민들의 삶과 정서가 담겨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이 『자료집』의 체재 및 방언상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이 『자료집』은 표제어를 방언형으로 제시하고 대응하는 표준어, 품사 정보와 뜻풀이, 그리고 용례를 들었다. 아울러 추가적인 정보는 부연 설명(※)하는 방식이다. 즉 방언형을 표제어로 하고 표준어 색인을 둠으로써 방언자료집의 활용 가치를 제고하는 체재이다.
      이와 같은 체재에서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표제어는 고유어뿐만 아니라 한자어, 그리고 외래어에 이르기까지 어종에 있어 다양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언어 단위에 있어서도 단어가 중심이되 문법 형태소인 조사와 어미, 접사 그리고 관용 표현인 구나 문장까지 표제어 방언형으로 제시하고 있다. 표제어 방언형 제시의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자료집』의 방언형은 서산 지역방언의 음운, 형태, 어휘상의 특징을 연구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둘째, 방언 형태소의 다양한 변이형태와 정확한 의미, 용법을 알 수 있도록 문장 단위로 용례가 제시되어 있다는 점과 속담과 같은 관용 표현을 사용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문장 단위라고 하더라도 표제어 방언형만 서산 방언으로 제시한 점, 용례의 양에 있어 소략하다는 점 등은 단점이 될 수 있다.
      셋째, 표제어 방언형을 부연 설명하는 부분이 특징적이다. 이곳에서는 서산지역의 언어와 문화, 역사, 지리, 지형적인 특징까지 부연 설명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사전류 방언자료집 형태의 이 『자료집』은 서산 지역 방언의 특징적인 모습도 담고 있다. 특히 어휘 측면에서, 표제어인 서산 지역의 방언형이 대응하는 표준어가 없는 경우와 대응하는 표준어의 의미나 용법이 다른 경우이다. 즉 전자는 표준어에 없는, 서산 지역의 고유의 방언형으로 우리말을 풍부하게 하고 우리말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문화유산인 것이다. 그리고 후자는 방언 분화의 관점에서 고찰의 가능성을 보인 것이고, 서산 방언의 어휘 체계를 고찰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있는 것이었다.
      번역하기

      『정다운 우리말 서산사투리』(증보판)은 서산 지역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고자 발간된 비전문가의 방언자료 결과물이다. 여기에 실린 방언 자료는 서산지역에서 살았던, 지금도 살고 있...

      『정다운 우리말 서산사투리』(증보판)은 서산 지역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고자 발간된 비전문가의 방언자료 결과물이다. 여기에 실린 방언 자료는 서산지역에서 살았던, 지금도 살고 있는 지역민들의 삶과 정서가 담겨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이 『자료집』의 체재 및 방언상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이 『자료집』은 표제어를 방언형으로 제시하고 대응하는 표준어, 품사 정보와 뜻풀이, 그리고 용례를 들었다. 아울러 추가적인 정보는 부연 설명(※)하는 방식이다. 즉 방언형을 표제어로 하고 표준어 색인을 둠으로써 방언자료집의 활용 가치를 제고하는 체재이다.
      이와 같은 체재에서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표제어는 고유어뿐만 아니라 한자어, 그리고 외래어에 이르기까지 어종에 있어 다양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언어 단위에 있어서도 단어가 중심이되 문법 형태소인 조사와 어미, 접사 그리고 관용 표현인 구나 문장까지 표제어 방언형으로 제시하고 있다. 표제어 방언형 제시의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자료집』의 방언형은 서산 지역방언의 음운, 형태, 어휘상의 특징을 연구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둘째, 방언 형태소의 다양한 변이형태와 정확한 의미, 용법을 알 수 있도록 문장 단위로 용례가 제시되어 있다는 점과 속담과 같은 관용 표현을 사용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문장 단위라고 하더라도 표제어 방언형만 서산 방언으로 제시한 점, 용례의 양에 있어 소략하다는 점 등은 단점이 될 수 있다.
      셋째, 표제어 방언형을 부연 설명하는 부분이 특징적이다. 이곳에서는 서산지역의 언어와 문화, 역사, 지리, 지형적인 특징까지 부연 설명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사전류 방언자료집 형태의 이 『자료집』은 서산 지역 방언의 특징적인 모습도 담고 있다. 특히 어휘 측면에서, 표제어인 서산 지역의 방언형이 대응하는 표준어가 없는 경우와 대응하는 표준어의 의미나 용법이 다른 경우이다. 즉 전자는 표준어에 없는, 서산 지역의 고유의 방언형으로 우리말을 풍부하게 하고 우리말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문화유산인 것이다. 그리고 후자는 방언 분화의 관점에서 고찰의 가능성을 보인 것이고, 서산 방언의 어휘 체계를 고찰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있는 것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vised edition of Jeongdaun Urimal Seosansaturi (Friendly Korean Language – Seosan Dialect) is a collection of dialect materials collected by non-experts to preserve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Seosan region. The book can be said to reflect the lives and emotions of the Seosan people. This paper thus focused on the format and dialectal characteristics of this dialect sourcebook.
      First, this sourcebook presents the dialectal form as the headword, which is followed by the standard expression, the part-of-speech, and usages, thus improving its usage as a dialect sourcebook.
      This format of this sourcebook displays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it presents various word types of the headword and content unrelated to the words, such as grammatical morphemes and phrases. Second, this sourcebook covers sentence-based usages and idiomatic expressions. Third, the book provides explanations for the dialectal forms of the headwords.
      This material has the following values. First, this book is a cultural asset that introduces the dialectal forms unique to the Seosan region which cannot be found in the standard language. This book enriches the Korean language and may contribute to future Korean language research. Second, this sourcebook provides usages of dialects that differ from their corresponding standard expressions and can be used to study dialect differentiation.
      번역하기

      The revised edition of Jeongdaun Urimal Seosansaturi (Friendly Korean Language – Seosan Dialect) is a collection of dialect materials collected by non-experts to preserve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Seosan region. The book can be said to reflect...

      The revised edition of Jeongdaun Urimal Seosansaturi (Friendly Korean Language – Seosan Dialect) is a collection of dialect materials collected by non-experts to preserve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Seosan region. The book can be said to reflect the lives and emotions of the Seosan people. This paper thus focused on the format and dialectal characteristics of this dialect sourcebook.
      First, this sourcebook presents the dialectal form as the headword, which is followed by the standard expression, the part-of-speech, and usages, thus improving its usage as a dialect sourcebook.
      This format of this sourcebook displays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it presents various word types of the headword and content unrelated to the words, such as grammatical morphemes and phrases. Second, this sourcebook covers sentence-based usages and idiomatic expressions. Third, the book provides explanations for the dialectal forms of the headwords.
      This material has the following values. First, this book is a cultural asset that introduces the dialectal forms unique to the Seosan region which cannot be found in the standard language. This book enriches the Korean language and may contribute to future Korean language research. Second, this sourcebook provides usages of dialects that differ from their corresponding standard expressions and can be used to study dialect differenti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문
      • 1. 머리말
      • 2. 서산사투리 자료집과 방언적 특징
      • 3. 결론
      • 참고 문헌
      • 한글요약문
      • 1. 머리말
      • 2. 서산사투리 자료집과 방언적 특징
      • 3. 결론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