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춘향전〉 이본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과 그 가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2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춘향전〉 이본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과 그것이 지닌 가치를 고찰한 것이다. 〈춘향전〉 이본에는 충청지역의 지리·명소, 토산물, 지명, 기녀 등과 관련된 내용이 적잖이 개입되어 있다. 이런 양상은 〈춘향전〉 이본 중 필사본에서 더욱 두드러진 양상을 보여준다. 〈춘향전〉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은 작품 내에서 향토적 현실성을 강화시켜주는 문학적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충청 관련 내용의 확대·변이와 추가적 수용은 주로 〈춘향전〉의 필사본에서 나타난다. 이 이본들의 필사자는 충청지역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많은 자라고 보아지며, 이 이본들은 주로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춘향전〉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은 이 작품이 전승되던 당시의 충청지역의 실상과 충청지역에 대한 당대인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충청학 연구를 위한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춘향전〉 이본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과 그것이 지닌 가치를 고찰한 것이다. 〈춘향전〉 이본에는 충청지역의 지리·명소, 토산물, 지명, 기녀 등과 관련된 내용이 적잖이 개...

      이 논문은 〈춘향전〉 이본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과 그것이 지닌 가치를 고찰한 것이다. 〈춘향전〉 이본에는 충청지역의 지리·명소, 토산물, 지명, 기녀 등과 관련된 내용이 적잖이 개입되어 있다. 이런 양상은 〈춘향전〉 이본 중 필사본에서 더욱 두드러진 양상을 보여준다. 〈춘향전〉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은 작품 내에서 향토적 현실성을 강화시켜주는 문학적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충청 관련 내용의 확대·변이와 추가적 수용은 주로 〈춘향전〉의 필사본에서 나타난다. 이 이본들의 필사자는 충청지역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많은 자라고 보아지며, 이 이본들은 주로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춘향전〉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은 이 작품이 전승되던 당시의 충청지역의 실상과 충청지역에 대한 당대인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충청학 연구를 위한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and the value related Chungcheong appeared in a different version of 〈Chunhyangjeon〉.
      Some details involved geography, famous place, local produce, nomination and ginyeo are pretty implicated in this version of 〈Chunhyangjeon〉. This aspect is shown remarkably in the manuscript one among different versions.
      Substance on Chungcheong has made literary effect in the work, which stiffens indigenous reality. These additional acceptances and expansions, transitions about Chungcheong are usually appeared in the manuscript. The writer of the manuscript is seen as a person who has lots of interest in Chungcheong area. And it seemed quite probable that these different versions were distributed centering around Chungcheong.
      Because details on Chungcheong in 〈Chunhyangjeon〉 reflects the reality of area and the recognition, so these have value as a critical data of Chungcheong studie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and the value related Chungcheong appeared in a different version of 〈Chunhyangjeon〉. Some details involved geography, famous place, local produce, nomination and ginyeo are pretty implicated in this version of ...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and the value related Chungcheong appeared in a different version of 〈Chunhyangjeon〉.
      Some details involved geography, famous place, local produce, nomination and ginyeo are pretty implicated in this version of 〈Chunhyangjeon〉. This aspect is shown remarkably in the manuscript one among different versions.
      Substance on Chungcheong has made literary effect in the work, which stiffens indigenous reality. These additional acceptances and expansions, transitions about Chungcheong are usually appeared in the manuscript. The writer of the manuscript is seen as a person who has lots of interest in Chungcheong area. And it seemed quite probable that these different versions were distributed centering around Chungcheong.
      Because details on Chungcheong in 〈Chunhyangjeon〉 reflects the reality of area and the recognition, so these have value as a critical data of Chungcheong stud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문
      • 1. 머리말
      • 2. 충청 관련 내용의 수용 실상
      • 3. 충청 관련 내용이 지닌 가치
      • 4. 맺음말
      • 한글요약문
      • 1. 머리말
      • 2. 충청 관련 내용의 수용 실상
      • 3. 충청 관련 내용이 지닌 가치
      • 4. 맺음말
      • 참고 문헌
      • Abstrac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