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춘향전〉 이본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과 그것이 지닌 가치를 고찰한 것이다. 〈춘향전〉 이본에는 충청지역의 지리·명소, 토산물, 지명, 기녀 등과 관련된 내용이 적잖이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84242
2021
Korean
〈춘향전〉 ; 충청 ; 필사본 ; 향토적 현실성 ; 이본 유통 ; 충청학 ; 〈Chunghyangjeon〉 ; Chungcheong ; Manuscript ; Indigenous reality ; Distribution of different version ; Chungcheong studies
학술저널
5-27(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춘향전〉 이본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과 그것이 지닌 가치를 고찰한 것이다. 〈춘향전〉 이본에는 충청지역의 지리·명소, 토산물, 지명, 기녀 등과 관련된 내용이 적잖이 개...
이 논문은 〈춘향전〉 이본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과 그것이 지닌 가치를 고찰한 것이다. 〈춘향전〉 이본에는 충청지역의 지리·명소, 토산물, 지명, 기녀 등과 관련된 내용이 적잖이 개입되어 있다. 이런 양상은 〈춘향전〉 이본 중 필사본에서 더욱 두드러진 양상을 보여준다. 〈춘향전〉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은 작품 내에서 향토적 현실성을 강화시켜주는 문학적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충청 관련 내용의 확대·변이와 추가적 수용은 주로 〈춘향전〉의 필사본에서 나타난다. 이 이본들의 필사자는 충청지역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많은 자라고 보아지며, 이 이본들은 주로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춘향전〉에 수용된 충청 관련 내용은 이 작품이 전승되던 당시의 충청지역의 실상과 충청지역에 대한 당대인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충청학 연구를 위한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and the value related Chungcheong appeared in a different version of 〈Chunhyangjeon〉. Some details involved geography, famous place, local produce, nomination and ginyeo are pretty implicated in this version of ...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and the value related Chungcheong appeared in a different version of 〈Chunhyangjeon〉.
Some details involved geography, famous place, local produce, nomination and ginyeo are pretty implicated in this version of 〈Chunhyangjeon〉. This aspect is shown remarkably in the manuscript one among different versions.
Substance on Chungcheong has made literary effect in the work, which stiffens indigenous reality. These additional acceptances and expansions, transitions about Chungcheong are usually appeared in the manuscript. The writer of the manuscript is seen as a person who has lots of interest in Chungcheong area. And it seemed quite probable that these different versions were distributed centering around Chungcheong.
Because details on Chungcheong in 〈Chunhyangjeon〉 reflects the reality of area and the recognition, so these have value as a critical data of Chungcheong stud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정다운 우리말 서산사투리』(증보판)의 체재상 특징과 서산 방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쌍방향 교수법(중부대학교 충청캠퍼스)
신한대학교 신종우Sources of Wisdom: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
K-MOOC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연구센터 송재윤(Jaeyoon Song)Sources of Wisdom: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
K-MOOC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연구센터 송재윤(Jaeyoon Song)Sources of Wisdom: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
K-MOOC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연구센터 송재윤(Jaeyoon 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