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毅堂 朴世和의 移居와 擧義 활동 = Study on Uidang Park, se-hwa of Moving and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11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writing about Park, sehwa of moving and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ctivities. Park, se-hwa was born in Hamheung of North Korea and moved up the school to the south. At that time, tradition and enlighten coincided with each other. He was unable to take firm root in an area due to frequent movements. And they formed a school late in the day. The students were also scattered,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 school before they were centered in a special area. He traveled a total of 13 locations and 1,000 kilometers. The study identified an area where he had not been sure until now.
      In the meantime, there has been no study of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ctivities. Therefore,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ctivities of Park se-hwa and the Uidang School were organized through records of 『Uidangjip』, 『Giyeun』, 『Giryesupil』, 「Eulsadongbunangi」. In particular, the book, 「Eulsadongbunangi」 revealed an unknown fact so far. And through 「Eulsadongbunangi」, Park se-hwa was communicating with independence fighters such as Lee, si-young.
      번역하기

      This paper is writing about Park, sehwa of moving and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ctivities. Park, se-hwa was born in Hamheung of North Korea and moved up the school to the south. At that time, tradition and enlighten coincided with each othe...

      This paper is writing about Park, sehwa of moving and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ctivities. Park, se-hwa was born in Hamheung of North Korea and moved up the school to the south. At that time, tradition and enlighten coincided with each other. He was unable to take firm root in an area due to frequent movements. And they formed a school late in the day. The students were also scattered,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 school before they were centered in a special area. He traveled a total of 13 locations and 1,000 kilometers. The study identified an area where he had not been sure until now.
      In the meantime, there has been no study of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ctivities. Therefore,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ctivities of Park se-hwa and the Uidang School were organized through records of 『Uidangjip』, 『Giyeun』, 『Giryesupil』, 「Eulsadongbunangi」. In particular, the book, 「Eulsadongbunangi」 revealed an unknown fact so far. And through 「Eulsadongbunangi」, Park se-hwa was communicating with independence fighters such as Lee, si-you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毅堂 朴世和의 행적 가운데, 그의 이동과 擧義활동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박세화는 빈번한 이동으로 특정 지역에 견고하게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늦은 시기에 의당학파를 형성하였다. 함경도, 강원도, 충청도로 이어지는 빈번한 이동은 의당학파의 실체를 규명하는데 큰 장애였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그동안 확실치 않았던 박세화의 이거 지역을 문헌자료와 수십 차례의 답사를 통해 이동 경로를 확인하였다. 본고에서 이들 장소를 모두 찾아낸 결과, 고향 함경남도 고원군 남흥리에서 마지막 순국한 충북 음성까지 그가 이주한 총 거리 1,000km에 근접하고 13곳으로 이동한 고난한 여정임을 알 수 있다.
      박세화는 한말 최초 의병의 발생지인 제천에서 처음 학단을 구성한 이래로 화서학파의 고제인 의암 유인석과 돈독한 사이를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박세화는 유인석이 이끈 호좌의진에 직접 방문하여 격려하며 후원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毅堂集』과 『記年』, 『驥驢隨筆』, 「乙巳冬赴難記」 등의 기록을 통해 박세화와 의당학파의 거의 활동을 정리하였다. 특히 「을사동부난기」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찾았다. 첫째, 불억산에서 거의는 박세화의 독단적인 명령이나 지시가 아닌 박세화와 의당학파 문인들의 합작 계획이었으며 둘째, 전국규모로 의병 모집을 계획했다. 셋째, 실제 불억산 인근에 있는 수 십인을 의병으로 모집을 했고 넷째, 의당학파 문인들도 국제 정세를 인지하고 있었다. 다섯째, 박세화가 피체된 후 서울의 유력정치인인 이유승 등을 만나 상소를 통한 거의 방법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중요 독립운동가였던 이회영 등과 소통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고는 毅堂 朴世和의 행적 가운데, 그의 이동과 擧義활동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박세화는 빈번한 이동으로 특정 지역에 견고하게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늦은 시기에 의당학파를 형성...

      본고는 毅堂 朴世和의 행적 가운데, 그의 이동과 擧義활동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박세화는 빈번한 이동으로 특정 지역에 견고하게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늦은 시기에 의당학파를 형성하였다. 함경도, 강원도, 충청도로 이어지는 빈번한 이동은 의당학파의 실체를 규명하는데 큰 장애였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그동안 확실치 않았던 박세화의 이거 지역을 문헌자료와 수십 차례의 답사를 통해 이동 경로를 확인하였다. 본고에서 이들 장소를 모두 찾아낸 결과, 고향 함경남도 고원군 남흥리에서 마지막 순국한 충북 음성까지 그가 이주한 총 거리 1,000km에 근접하고 13곳으로 이동한 고난한 여정임을 알 수 있다.
      박세화는 한말 최초 의병의 발생지인 제천에서 처음 학단을 구성한 이래로 화서학파의 고제인 의암 유인석과 돈독한 사이를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박세화는 유인석이 이끈 호좌의진에 직접 방문하여 격려하며 후원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毅堂集』과 『記年』, 『驥驢隨筆』, 「乙巳冬赴難記」 등의 기록을 통해 박세화와 의당학파의 거의 활동을 정리하였다. 특히 「을사동부난기」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찾았다. 첫째, 불억산에서 거의는 박세화의 독단적인 명령이나 지시가 아닌 박세화와 의당학파 문인들의 합작 계획이었으며 둘째, 전국규모로 의병 모집을 계획했다. 셋째, 실제 불억산 인근에 있는 수 십인을 의병으로 모집을 했고 넷째, 의당학파 문인들도 국제 정세를 인지하고 있었다. 다섯째, 박세화가 피체된 후 서울의 유력정치인인 이유승 등을 만나 상소를 통한 거의 방법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중요 독립운동가였던 이회영 등과 소통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경훈, "한말 유교지식인의 문학에 나타난 현실대응 모습-毅堂 朴世和의 재래적 문명인식-" 동방한문학회 (71) : 301-332, 2017

      2 김강산, "태백시지명지" 태백문화원 2014

      3 구완회, "인물로 보는 제천의병"

      4 "의당 박세화의 학문세계" 사단법인 병산영당 2018

      5 "의당 박세화의 학문세계" 사단법인 병산영당 2016

      6 구완회, "의당 박세화의 학문세계" 사단법인 병산영당 2016

      7 정경훈, "용하구곡, 의당 박세화의 사유공간" 사단법인 병산영당, 대유문화출판사 2017

      8 정경훈, "박세화, 순도의 길과 의당학파의 여정" 사단법인 병산영당, 대유문화출판사 2019

      9 안동독립운동기념관, "경북지역의병자료" 선인 2012

      10 宋相燾, "驥驢隨筆"

      1 정경훈, "한말 유교지식인의 문학에 나타난 현실대응 모습-毅堂 朴世和의 재래적 문명인식-" 동방한문학회 (71) : 301-332, 2017

      2 김강산, "태백시지명지" 태백문화원 2014

      3 구완회, "인물로 보는 제천의병"

      4 "의당 박세화의 학문세계" 사단법인 병산영당 2018

      5 "의당 박세화의 학문세계" 사단법인 병산영당 2016

      6 구완회, "의당 박세화의 학문세계" 사단법인 병산영당 2016

      7 정경훈, "용하구곡, 의당 박세화의 사유공간" 사단법인 병산영당, 대유문화출판사 2017

      8 정경훈, "박세화, 순도의 길과 의당학파의 여정" 사단법인 병산영당, 대유문화출판사 2019

      9 안동독립운동기념관, "경북지역의병자료" 선인 2012

      10 宋相燾, "驥驢隨筆"

      11 정경훈, "韓末 忠北 四郡지역 儒林의 동향 - 朴世和와 毅堂學派를 중심으로 -" 한국동서철학회 (81) : 103-125, 2016

      12 金永植, "重齋集"

      13 李圭命, "記年"

      14 朴世和, "毅堂集"

      15 구완회, "毅堂 朴世和의 강학활동" 조선사연구회 23 : 2014

      16 정경훈, "毅堂 朴世和의 文集과 文學 一考" 한국고전번역원 44 : 213-248, 2014

      17 이군선, "毅堂 朴世和의 「柳聖邇傳」에 대한 연구" 동방한문학회 (72) : 93-116, 2017

      18 尹膺善, "晦堂集"

      19 朴世和, "昌東日記"

      20 郭鍾錫, "俛宇先生文集"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