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毅堂 朴世和에게 있어서 ‘求仁’의 문학적 실천 = Realizing Ren(仁) and Literary Practice ofUidang(毅堂) Park Se-hwa(朴世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11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ideas and literature of Uidang(毅堂) Park Se-hwa(朴世和), who is a patriotic martyr to the Korean Empire.
      First I analyzed Park Se-hwa's views on how to realize Ren(仁). He suggested the removing private desire as a way of realizing Ren, and that stressed the need for firmness mind to do this. The uniqueness of his ideas lies in hi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firmness mind in the practice of Ren.
      Next I looked at the two aspects of his realizing Ren through prose creation. Uidang developed a strong will to live as a man of heroic and noble mind by creating prose that was wary of him. He also exhorted friends and students to realize Ren based on a strong spirit in his writings given to them. In short, for him, the creation of prose was a way to realize Ren and foster a firmness mind.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ideas and literature of Uidang(毅堂) Park Se-hwa(朴世和), who is a patriotic martyr to the Korean Empire. First I analyzed Park Se-hwa's views on how to realize Ren(仁). He suggested the removing private desire as a...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ideas and literature of Uidang(毅堂) Park Se-hwa(朴世和), who is a patriotic martyr to the Korean Empire.
      First I analyzed Park Se-hwa's views on how to realize Ren(仁). He suggested the removing private desire as a way of realizing Ren, and that stressed the need for firmness mind to do this. The uniqueness of his ideas lies in hi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firmness mind in the practice of Ren.
      Next I looked at the two aspects of his realizing Ren through prose creation. Uidang developed a strong will to live as a man of heroic and noble mind by creating prose that was wary of him. He also exhorted friends and students to realize Ren based on a strong spirit in his writings given to them. In short, for him, the creation of prose was a way to realize Ren and foster a firmness mi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말의 학자이자 순국열사인 毅堂 朴世和(1834~1910)의 求仁 사상을 분석하고, 산문을 중심으로 求仁의 문학적 실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仁問答」․「克己復禮爲仁說」 등의 분석을 통해 의당이 程朱와 마찬가지로 인을 우주 만물의 생명 원리로 이해하였으며 인을 행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사욕을 제거함[去私]’을 제시한 점을 확인하였다. 다만 의당은 求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剛明’한 자질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는데, 이 점이 求仁에 관한 의당 사상의 특징이었다.
      의당의 산문 창작은 求仁의 실천과 强忍한 자질의 함양에 있었는데, 크게 두 가지 양상을 보였다. 하나는 自警의 글을 지어서 서세동점의 난세에 의당 스스로가 仁人과 志士로서의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강인한 의지를 함양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지인과 제자들에게 送序나 記文을 지어주며 강인한 정신을 바탕으로 求仁去私의 실천을 권면한 것이다. 이러한 강인함이 의당으로 하여금 殺身成仁과 捨生取義의 결행을 가능하게 하였던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말의 학자이자 순국열사인 毅堂 朴世和(1834~1910)의 求仁 사상을 분석하고, 산문을 중심으로 求仁의 문학적 실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仁問答」․「克己復禮爲仁說」 등의 분...

      본고는 한말의 학자이자 순국열사인 毅堂 朴世和(1834~1910)의 求仁 사상을 분석하고, 산문을 중심으로 求仁의 문학적 실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仁問答」․「克己復禮爲仁說」 등의 분석을 통해 의당이 程朱와 마찬가지로 인을 우주 만물의 생명 원리로 이해하였으며 인을 행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사욕을 제거함[去私]’을 제시한 점을 확인하였다. 다만 의당은 求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剛明’한 자질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는데, 이 점이 求仁에 관한 의당 사상의 특징이었다.
      의당의 산문 창작은 求仁의 실천과 强忍한 자질의 함양에 있었는데, 크게 두 가지 양상을 보였다. 하나는 自警의 글을 지어서 서세동점의 난세에 의당 스스로가 仁人과 志士로서의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강인한 의지를 함양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지인과 제자들에게 送序나 記文을 지어주며 강인한 정신을 바탕으로 求仁去私의 실천을 권면한 것이다. 이러한 강인함이 의당으로 하여금 殺身成仁과 捨生取義의 결행을 가능하게 하였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철, "한문운문문체의 이해와 분석" 청문각 출판사 2003

      2 정경훈, "한말 유교지식인의 문학에 나타난 현실대응 모습-毅堂 朴世和의 재래적 문명인식-" 동방한문학회 (71) : 301-332, 2017

      3 임준철, "한국 畵像自贊의 典型과 變奏" 한국한문교육학회 (38) : 237-278, 2012

      4 김종수, "의당(毅堂) 박세화(朴世和)의 『자경록(自警錄)』 연구" 인문학연구원 (57) : 101-135, 2015

      5 "의당 박세화의 학문세계" (사)병산영당 2018

      6 "의당 박세화의 학문세계" (사)병산영당 2016

      7 안세현, "누정기를 통해 본 한국한문산문사"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2015

      8 강민구, "韓國漢文學 箴銘의 特徵과 展開樣相" 동방한문학회 (31) : 141-180, 2006

      9 "近思錄集解"

      10 임준철, "畵像自贊類 문학의 존재양상과 자아형상화 방식의 특징" 한국고전문학회 (36) : 259-300, 2009

      1 김종철, "한문운문문체의 이해와 분석" 청문각 출판사 2003

      2 정경훈, "한말 유교지식인의 문학에 나타난 현실대응 모습-毅堂 朴世和의 재래적 문명인식-" 동방한문학회 (71) : 301-332, 2017

      3 임준철, "한국 畵像自贊의 典型과 變奏" 한국한문교육학회 (38) : 237-278, 2012

      4 김종수, "의당(毅堂) 박세화(朴世和)의 『자경록(自警錄)』 연구" 인문학연구원 (57) : 101-135, 2015

      5 "의당 박세화의 학문세계" (사)병산영당 2018

      6 "의당 박세화의 학문세계" (사)병산영당 2016

      7 안세현, "누정기를 통해 본 한국한문산문사"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2015

      8 강민구, "韓國漢文學 箴銘의 特徵과 展開樣相" 동방한문학회 (31) : 141-180, 2006

      9 "近思錄集解"

      10 임준철, "畵像自贊類 문학의 존재양상과 자아형상화 방식의 특징" 한국고전문학회 (36) : 259-300, 2009

      11 朴世和, "毅堂集" 奈堤文化資料叢書 2002

      12 최식, "毅堂 朴世和의 處義觀과 絶命詩" 한국한문고전학회 33 (33): 241-273, 2016

      13 정경훈, "毅堂 朴世和의 文集과 文學 一考" 한국고전번역원 44 : 213-248, 2014

      14 이군선, "毅堂 朴世和의 「柳聖邇傳」에 대한 연구" 동방한문학회 (72) : 93-116, 2017

      15 강민구, "毅堂 朴世和와 門人의 文學에 대한 연구" 동방한문학회 (72) : 7-50, 2017

      16 "朱子大全"

      17 "性理大全"

      18 宋時烈, "宋子大全, 韓國文集叢刊 113"

      19 "四書集註"

      20 金直淵, "品山漫筆(필사본 20권 20책)"

      21 "周易本義"

      22 "周易傳義"

      23 이동환, "仁의 문학과 생명"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0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