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idang Yun Eung‐seon wrote “Dokyijesipbyeon” and “Yijehubyeon” based on “Yiijesipbyeon” written by wáng zhí in Ming. In “Dokyijesipbyeon”, Hoidang has a certain meaning that wáng zhí's “Yijesipbyeon” points out the errors of...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11949
이군선 (원광대학교)
2020
Korean
晦堂 尹膺善 ; 伯夷叔齊 ; 衛正斥邪 ; 毅堂 朴世和 ; 王直 ; 殉國 ; 殉道. ; Hoidang Yun Eung‐seon ; Baekyisukje ; Movement to Reject Heterodoxy ; Uidang Park Se‐hwa ; wáng zhí ; martyrdom ; pure path.
KCI등재
학술저널
85-104(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idang Yun Eung‐seon wrote “Dokyijesipbyeon” and “Yijehubyeon” based on “Yiijesipbyeon” written by wáng zhí in Ming. In “Dokyijesipbyeon”, Hoidang has a certain meaning that wáng zhí's “Yijesipbyeon” points out the errors of...
Hoidang Yun Eung‐seon wrote “Dokyijesipbyeon” and “Yijehubyeon” based on “Yiijesipbyeon” written by wáng zhí in Ming. In “Dokyijesipbyeon”, Hoidang has a certain meaning that wáng zhí's “Yijesipbyeon” points out the errors of “Baekyiyeoljeon” of SimaQian's “Shiji”, but Baekyisukje's criticisms of “Holding the reins and reporting” and “Hungered in Mountain Shouyang” were found to be out of the discussions that Zhu Xi had already concluded, and criticized clause by clause. In this paper, it is found that the fact that Hoidang criticized wáng zhí is because it wa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Zhu Xi determined it as a right path that cannot be changed.
Hoidang also assessed in “Yijehubyeon” that Baekyisukje's death as martyrdom with which a law was established that two kings wouldn’t be served. Jajeong of Uidang said that it is a pure path for protecting a right path, and this paper identified Hoidang's evaluation as giving Hoidang more sublime value to Ujeong's Jajeong than Baekyisukje's death.
In conclusion, Hoidang's “Dokyijesipbyeon” is a criticism of wáng zhí's objection to orthodox as confirmed by Zhu Xi, and “Yijehubyeon” gave Uidang's value to Jajeong,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Movement to Reject Heterodoxy's thought of seeing Zhu Xi's Sung Confucianism as the right path and protecting it.
국문 초록 (Abstract)
晦堂 尹膺善은 明의 王直이 지은 「夷齊十辨」을 바탕으로 「讀夷齊十辨」과 「夷齊後辨」을 지었다. 「독이제십변」에서 회당은 왕직의 「이제십변」에서 사마천의 『사기』 「백이열전...
晦堂 尹膺善은 明의 王直이 지은 「夷齊十辨」을 바탕으로 「讀夷齊十辨」과 「夷齊後辨」을 지었다. 「독이제십변」에서 회당은 왕직의 「이제십변」에서 사마천의 『사기』 「백이열전」 오류를 지적한 것은 일정한 의미를 지니지만 백이숙제가 ‘말고삐를 잡고 간한 것’과 ‘수양산에서 굶어 죽은 것’ 등에 대한 비판은 주자가 이미 확정한 논의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파악하고 조목조목 비판하였다. 본고는 회당이 이렇게 왕직을 비판한 것은 주자가 확정한 도는 바뀔 수 없는 정도라는 인식이 바탕에 있었기 때문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회당은 「이제후변」에서 백이숙제의 죽음은 순국으로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는 법을 세웠다는 점에서 평가를 하였고 의당의 자정은 정도 수호를 위한 순도라고 하였는데 본고는 회당의 이러한 평가를 통해 회당이 백이숙제의 죽음보다 의당의 자정에 더 숭고한 가치를 부여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결론적으로 회당의 「독이제십변」은 주자가 확정한 정론에 왕직이 이의를 제기한 것에 대한 비판이고, 「이제후변」은 의당의 자정에 대한 가치를 부여한 것으로 이는 주자가 정립한 성리학을 정도로 보고 이를 지키고자 한 위정척사의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朱子語類"
3 尹膺善, "晦堂集"
4 王直, "抑菴文集"
5 "小學"
6 "孟子"
7 司馬遷, "史記"
1 "論語"
2 "朱子語類"
3 尹膺善, "晦堂集"
4 王直, "抑菴文集"
5 "小學"
6 "孟子"
7 司馬遷, "史記"
제천의 의병장 李康秊의 衛正斥邪 의식과 문학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6 | 0.74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