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해 도서지역의 구비전승물과 해양정서 = Oral Heritages and Marine Atmosphere in Isles Regions - Focused on a Yellow Corv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77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민속의 관점에서, 도서 · 해양문화의 생태적 생명성, 자연적 적응성, 개방적 다양성, 진취적 의식성에 주목했다. 그리고 바다와 연안에서 조기잡이를 하는 서해 도서민들의 구비전승물을 보고, 해양정서를 살폈다. 그 결과 도서의식 이, 도서적 인식과 해양적 실천의 산물인 구비전승불을 매개로 해양 정서화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작업은 부정적인 해양정서를 긍정적으로 선양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보았다.<br/>
        1) 구비전승물의 형성과 해양정서의 유통은 어장의 현재적 상황에서 구비 전승물이 구연되고, 이를 통해 해양정서가 구현된다. 그러나 시대 • 지역 · 상황면에서 볼 때 문화소통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서해 도서지역민의 해양정서를 긍정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어장의 현재적 상황’을 인식하는 도서정신의 구현과 해양문화장치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br/>
        2)①생태적 생명성의 측면에서, 임경업 장군(위도지역)·최영 장군(추자도지역), ‘재수가 좋다, 재수가 나쁘다’(추자도지역)의 자료는 신앙의 상상을 통해 형성되었는데, 임경업 장군과 조기잡이의 논리적 신격화를 보여주었다.<br/>
        ②자연적 적응성의 측면에서, 어장운세(추자도지역), ‘고기는 돈’(추자도지역)의 자료는 의례의 꿈을 통해 형성되었는데,선장과 어장일의 논리적 인격화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br/>
        ③개방적 다양성의 측면에서, 영광군 법성포 · 진도군 의신면의 칠산어장놀이(법성지역)와 띠뱃놀이(부안군 위도지역), ‘법성포 굴비’(법성지역)의 자료는 놀이의 언어를 통해 형성되었는데, 조기 잡는 사람과 조기 파는 사람의 교차적 교류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br/>
        ④진취적 의식성의 측면에서,황도붕기풍어제 배치기(태안군 안면도지역)·조도의 닻배노래[조기잡이노래](진도군 조도지역), ‘물반 고기반’(서남권, 남해 및 제주권) . ‘물 한 말에 고기가 석 섬’(서해권)의 자료는 노동의 소리를 통해 형성되었는데,서남권 조도와 서해권 안면도의 문화적 확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br/>
        3) 서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은 해양문화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구비전승물에서 해양정서가 구현되기 때문이고,구비전승물은 문화소통체계의 구축이 전제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특히 도서[섬]중심의 구비전승물은 들[평야] 중심 문화와의 협력과 교류를 가능케 할 것이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필자는 민속의 관점에서, 도서 · 해양문화의 생태적 생명성, 자연적 적응성, 개방적 다양성, 진취적 의식성에 주목했다. 그리고 바다와 연안에서 조기잡이를 하는 서해 도서민들의 구...

        필자는 민속의 관점에서, 도서 · 해양문화의 생태적 생명성, 자연적 적응성, 개방적 다양성, 진취적 의식성에 주목했다. 그리고 바다와 연안에서 조기잡이를 하는 서해 도서민들의 구비전승물을 보고, 해양정서를 살폈다. 그 결과 도서의식 이, 도서적 인식과 해양적 실천의 산물인 구비전승불을 매개로 해양 정서화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작업은 부정적인 해양정서를 긍정적으로 선양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보았다.<br/>
        1) 구비전승물의 형성과 해양정서의 유통은 어장의 현재적 상황에서 구비 전승물이 구연되고, 이를 통해 해양정서가 구현된다. 그러나 시대 • 지역 · 상황면에서 볼 때 문화소통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서해 도서지역민의 해양정서를 긍정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어장의 현재적 상황’을 인식하는 도서정신의 구현과 해양문화장치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br/>
        2)①생태적 생명성의 측면에서, 임경업 장군(위도지역)·최영 장군(추자도지역), ‘재수가 좋다, 재수가 나쁘다’(추자도지역)의 자료는 신앙의 상상을 통해 형성되었는데, 임경업 장군과 조기잡이의 논리적 신격화를 보여주었다.<br/>
        ②자연적 적응성의 측면에서, 어장운세(추자도지역), ‘고기는 돈’(추자도지역)의 자료는 의례의 꿈을 통해 형성되었는데,선장과 어장일의 논리적 인격화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br/>
        ③개방적 다양성의 측면에서, 영광군 법성포 · 진도군 의신면의 칠산어장놀이(법성지역)와 띠뱃놀이(부안군 위도지역), ‘법성포 굴비’(법성지역)의 자료는 놀이의 언어를 통해 형성되었는데, 조기 잡는 사람과 조기 파는 사람의 교차적 교류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br/>
        ④진취적 의식성의 측면에서,황도붕기풍어제 배치기(태안군 안면도지역)·조도의 닻배노래[조기잡이노래](진도군 조도지역), ‘물반 고기반’(서남권, 남해 및 제주권) . ‘물 한 말에 고기가 석 섬’(서해권)의 자료는 노동의 소리를 통해 형성되었는데,서남권 조도와 서해권 안면도의 문화적 확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br/>
        3) 서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은 해양문화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구비전승물에서 해양정서가 구현되기 때문이고,구비전승물은 문화소통체계의 구축이 전제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특히 도서[섬]중심의 구비전승물은 들[평야] 중심 문화와의 협력과 교류를 가능케 할 것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cological vitality, the natural adoptability, the open diversity, and the vigorous consciousness in isles/marine culture were watched within the framework of folklore. Further, the marine atmosphere was reviewed in view of oral heritages of people in the isles regions in the Seohae, in other words, the Yellow Sea who catch yellow corvinas. In result, the isles consciousness seemed to be become emotionalized through the oral heritage which is the fruit of isles consciousness and marine practice. In addition, this procedure was expected to be the momentum to transform the pessimistic marine atmosphere to optimistic one.<br/>
      1) As for the formation of oral heritages and the circulation of marine atmosphere, the heritage is narrated in the current situation of fisherie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age/region/circumstance, the cultural communication device does not seem to be in operation. Therefore, the realization of isles spirit and the establishment of marine cultural device which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of fisheries' are required to positively activate marine atmosphere of isles people in the Yellow Sea.<br/>
      2) )①In a viewpoint of ecological vitality, the documents regarding the general Yim, Gyeong-Up (Wido regions)/the general Choi, Young(Chujado regions), ’fortune’, ’misfortune(Chujado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imagination of religion, which demonstrated the logical deification of the general Yim.<br/>
      ②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ural adoptability, the documents of the fortune of fisheries (Chujado regions), ‘Fish is fortune. (Chujado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a ceremony, which shows the logical personification of the captain and fisheries.<br/>
      ③ In the sense of the open diversity, the documents of Chilsan Fisheries Festival (Bupseon regions) and the group boating (Wido regions in Buan-gun) at Bupseongpo in Younggwang-gun/Eusin-myeon in Jindo-gun and ’A dried yellow coriva (Bupseong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language of play, which presents the human intersectional interchange between fishermen catching yellow corvinas and people selling yellow corvinas.<br/>
      ④ In the angle of vigorous consciousness, the documents of Hwangdo Island Bunggi Pungeoje (Anmyeondo regions in Taean-gun)/Datbae song (a song for catching a yellow corvina: Jodo regions in Jindo-gun), ‘Half the water, half the fish’ (southwest regions, Namhae, or the South Sea and Jeju regions)/’Three sacks of fishes in one mal of the water' (the Yellow Sea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labor songs, which demonstrates the cultural expansion of Jodo in southwest regions and Anmyeondo in the Yellow Sea regions.<br/>
      3) The oral heritages in the Yellow isles regions can be said to maintain the marine cultural value, from which marine atmosphere is realize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communication system is originated. Moreover, especially, the isles (islands)-oriented heritage seems to enable the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a field (a plain)-oriented culture.<br/>
      번역하기

      The ecological vitality, the natural adoptability, the open diversity, and the vigorous consciousness in isles/marine culture were watched within the framework of folklore. Further, the marine atmosphere was reviewed in view of oral heritages of peopl...

      The ecological vitality, the natural adoptability, the open diversity, and the vigorous consciousness in isles/marine culture were watched within the framework of folklore. Further, the marine atmosphere was reviewed in view of oral heritages of people in the isles regions in the Seohae, in other words, the Yellow Sea who catch yellow corvinas. In result, the isles consciousness seemed to be become emotionalized through the oral heritage which is the fruit of isles consciousness and marine practice. In addition, this procedure was expected to be the momentum to transform the pessimistic marine atmosphere to optimistic one.<br/>
      1) As for the formation of oral heritages and the circulation of marine atmosphere, the heritage is narrated in the current situation of fisherie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age/region/circumstance, the cultural communication device does not seem to be in operation. Therefore, the realization of isles spirit and the establishment of marine cultural device which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of fisheries' are required to positively activate marine atmosphere of isles people in the Yellow Sea.<br/>
      2) )①In a viewpoint of ecological vitality, the documents regarding the general Yim, Gyeong-Up (Wido regions)/the general Choi, Young(Chujado regions), ’fortune’, ’misfortune(Chujado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imagination of religion, which demonstrated the logical deification of the general Yim.<br/>
      ②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ural adoptability, the documents of the fortune of fisheries (Chujado regions), ‘Fish is fortune. (Chujado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a ceremony, which shows the logical personification of the captain and fisheries.<br/>
      ③ In the sense of the open diversity, the documents of Chilsan Fisheries Festival (Bupseon regions) and the group boating (Wido regions in Buan-gun) at Bupseongpo in Younggwang-gun/Eusin-myeon in Jindo-gun and ’A dried yellow coriva (Bupseong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language of play, which presents the human intersectional interchange between fishermen catching yellow corvinas and people selling yellow corvinas.<br/>
      ④ In the angle of vigorous consciousness, the documents of Hwangdo Island Bunggi Pungeoje (Anmyeondo regions in Taean-gun)/Datbae song (a song for catching a yellow corvina: Jodo regions in Jindo-gun), ‘Half the water, half the fish’ (southwest regions, Namhae, or the South Sea and Jeju regions)/’Three sacks of fishes in one mal of the water' (the Yellow Sea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labor songs, which demonstrates the cultural expansion of Jodo in southwest regions and Anmyeondo in the Yellow Sea regions.<br/>
      3) The oral heritages in the Yellow isles regions can be said to maintain the marine cultural value, from which marine atmosphere is realize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communication system is originated. Moreover, especially, the isles (islands)-oriented heritage seems to enable the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a field (a plain)-oriented culture.<b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Ⅰ. 머리말
      • Ⅱ. 구비전승물과 해양정서, 그리고 문화정책
      • Ⅲ. 서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의 해양정서적 실상
      • Ⅳ. 서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의 해양문화사적 의의
      • 【논문개요】
      • Ⅰ. 머리말
      • Ⅱ. 구비전승물과 해양정서, 그리고 문화정책
      • Ⅲ. 서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의 해양정서적 실상
      • Ⅳ. 서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의 해양문화사적 의의
      • Ⅴ. 맺음말
      • 【참고 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