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온저장 온도 및 저장기간이 키위 "골드"의 품질 유지에 미치는 효과 = Temperature and length of cold storage affect the Quality Maintenance of fresh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544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length of cold storage on the quality maintenance of fresh "Gold" kiwifruit were investigated. Physi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in kiwifruit held at $2^{\circ}C$ and $6^{\circ}C$ temperatures compared to fruit at...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length of cold storage on the quality maintenance of fresh "Gold" kiwifruit were investigated. Physi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in kiwifruit held at $2^{\circ}C$ and $6^{\circ}C$ temperatures compared to fruit at room temperature ($20{\sim}28^{\circ}C$) during 8 weeks of storage. Low temperatures ($2^{\circ}C$ and $6^{\circ}C$) significantly delayed softening and soluble solids content (SSC) accumulation compared to higher temperature ($20{\sim}28^{\circ}C$).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uits, including weight losses, firmness, SSC, titratable acidity (TA), SSC/TA ratio, and flesh color properties were monitored during storage. Fast firmness loss was detected in fruit stored at higher temperatures compared to low temperature ($2^{\circ}C$).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for acidity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nd length of cold storage, whereas SSC increased to the limited values (%Brix) during storage. The soluble solids content (SSC) increased markedly during the first 60 days of storage and remained almost constant thereafter for all treatments. SSC accumulation rates decreased from 5 weeks after storage probably due to differences between initial and ripe kiwifruits, and SSC decreased with each passing week due to natural starch conversion over time. The SSC/acid ratio increased from 18 to 27 until 5 weeks after storage and then slowly declined in all kiwifruit stored at different low temperatures.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no differences in kiwifruit flesh color stored at two storage temperatures of $2^{\circ}C$ and $6^{\circ}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키위 과일의 수출 시 최적 수송온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같은 수송조건을 설정한 시물레이션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송온도로 $2^{\circ}C$와 $6^{\circ}C$ 조건을 설정하고 이와 비교한 실...

      본 연구는 키위 과일의 수출 시 최적 수송온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같은 수송조건을 설정한 시물레이션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송온도로 $2^{\circ}C$와 $6^{\circ}C$ 조건을 설정하고 이와 비교한 실험군으로 변온조건으로 상온($20{\sim}28^{\circ}C$)을 두어 과실의 여러 물리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실의 경도는 $2^{\circ}C$에서 가장 높게 유지되었고 이와 유기산 함량의 유지에서도 같은 결과였다. 가용성 당함량은 저온 저장 5주까지 완만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였는데 저온 처리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에 비하여 상온에서의 가용성 당함량은 저장 3주후에 과실이 부패하여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키위 과실의 당산비는 저온저장 5주 까지 18에서 27까지 크게 증가하여 과실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다가 그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 결과로 키위는 전형적인 수확 후 호흡급등형 과실의 패턴을 보였고 저온처리 간에는 차이가 크지 않았다. 관능검사를 통하여 저장중인 키위 과육의 색을 조사한 결과, 저온처리($2^{\circ}C$와 $6^{\circ}C$)에서 차이가 크지 않았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