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삶의 균형을 위한 예술교육 = Challenges of Arts Education For Balanced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23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perspective of arts for life,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 and obstacles of arts participation caused by work hours reduction. Also, the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of arts education in order to reestablish the value of art in response to work-life balance trends. Despite the increase in leisure time caused by work hours reduction, there still exist psychological barriers to public participation in the arts. To remove these barriers, we need to shift arts and cultural policy away from an educational instrumental perspective governed by professional experts. At the same time, we need to direct our attention towards an expressive perspective to respect for both elite and popular tastes. In order to facilitate arts participation in everyday life, arts education in schools should provide participatory cultural literacy programs, which are customized to fit each development stage of child and youth. And also, it is needed to realize the centrality of the art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schools. In addition to this, arts and cultural institutions should make endeavor not only to redefine art, but also move from a model of provision to a model of enabling. It is because they can help us to make use of them to create new values of art and culture in everyday life.
      번역하기

      From the perspective of arts for life,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 and obstacles of arts participation caused by work hours reduction. Also, the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of arts education in order to reestablish the value of art in response to...

      From the perspective of arts for life,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 and obstacles of arts participation caused by work hours reduction. Also, the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of arts education in order to reestablish the value of art in response to work-life balance trends. Despite the increase in leisure time caused by work hours reduction, there still exist psychological barriers to public participation in the arts. To remove these barriers, we need to shift arts and cultural policy away from an educational instrumental perspective governed by professional experts. At the same time, we need to direct our attention towards an expressive perspective to respect for both elite and popular tastes. In order to facilitate arts participation in everyday life, arts education in schools should provide participatory cultural literacy programs, which are customized to fit each development stage of child and youth. And also, it is needed to realize the centrality of the art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schools. In addition to this, arts and cultural institutions should make endeavor not only to redefine art, but also move from a model of provision to a model of enabling. It is because they can help us to make use of them to create new values of art and culture in everyday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삶을 위한 예술의 관점에서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예술참여의 양상과 장애요인을 살펴보고, 일과 삶의 균형 속에서 예술의 가치를 재정립하기 위한 미술교육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근로시간이 단축되면서 여가시간이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중들의 예술참여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존재한다. 이러한 장벽을 허물기 위해서는 학교 안과 밖의 미술교육이 보다 실제적인 예술참여의 경험을 제공하는 참여적 문화소양교육을 강화하고 학교 환경 속에서 예술의 중심성을 확보하는 것이 긴요하다. 그리고 예술정책이 전문가의 지배를 받는 교육적ㆍ도구적 관점에서 벗어나 엘리트와 대중의 취향을 같이 존중하고 공존하는 표현적 관점으로 바뀌어야 한다. 또한 미술관, 박물관 등 예술기관 차원에서는 미디어의 디지털화에 대응하여 예술을 재규정하고 서비스 전달방식을 기존의 제공모델에서 촉진모델로 전환하는 등 공공의 예술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이 다각적으로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삶을 위한 예술의 관점에서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예술참여의 양상과 장애요인을 살펴보고, 일과 삶의 균형 속에서 예술의 가치를 재정립하기 위한 미술교육의 과제를 제시하고...

      본 연구는 삶을 위한 예술의 관점에서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예술참여의 양상과 장애요인을 살펴보고, 일과 삶의 균형 속에서 예술의 가치를 재정립하기 위한 미술교육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근로시간이 단축되면서 여가시간이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중들의 예술참여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존재한다. 이러한 장벽을 허물기 위해서는 학교 안과 밖의 미술교육이 보다 실제적인 예술참여의 경험을 제공하는 참여적 문화소양교육을 강화하고 학교 환경 속에서 예술의 중심성을 확보하는 것이 긴요하다. 그리고 예술정책이 전문가의 지배를 받는 교육적ㆍ도구적 관점에서 벗어나 엘리트와 대중의 취향을 같이 존중하고 공존하는 표현적 관점으로 바뀌어야 한다. 또한 미술관, 박물관 등 예술기관 차원에서는 미디어의 디지털화에 대응하여 예술을 재규정하고 서비스 전달방식을 기존의 제공모델에서 촉진모델로 전환하는 등 공공의 예술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이 다각적으로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연희, "창조적 노화를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측정 및 관리방안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7 (17): 1-25, 2019

      2 매일경제신문, "직장인 절반, 재미 없는 일상 해소하려고 혼자서…"

      3 정연희, "중등미술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환경 요인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30 (30): 1-34, 2016

      4 정연희, "주 52시간 근무제와 문화예술교육" 대전문화재단 (2) : 2019

      5 신승환, "우리말 철학사전" 서울지식산업사 201-226, 2006

      6 박일호, "예술과 리얼리티 그리고 일상적인 삶"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143-152, 2009

      7 한병철, "시간의 향기" 문학과 지성사 2013

      8 서울특별시, "서울시민의 여가생활과 휴식 빅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

      9 박정애, "비평적 교수법: 삶의 텍스트 안에서의 의미 만들기"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0 (10): 119-136, 2009

      10 Sorrell, J., "문화예술교육은 왜 중요한가" 열린책들 2014

      1 정연희, "창조적 노화를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측정 및 관리방안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7 (17): 1-25, 2019

      2 매일경제신문, "직장인 절반, 재미 없는 일상 해소하려고 혼자서…"

      3 정연희, "중등미술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환경 요인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30 (30): 1-34, 2016

      4 정연희, "주 52시간 근무제와 문화예술교육" 대전문화재단 (2) : 2019

      5 신승환, "우리말 철학사전" 서울지식산업사 201-226, 2006

      6 박일호, "예술과 리얼리티 그리고 일상적인 삶"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143-152, 2009

      7 한병철, "시간의 향기" 문학과 지성사 2013

      8 서울특별시, "서울시민의 여가생활과 휴식 빅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

      9 박정애, "비평적 교수법: 삶의 텍스트 안에서의 의미 만들기"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0 (10): 119-136, 2009

      10 Sorrell, J., "문화예술교육은 왜 중요한가" 열린책들 2014

      11 김재인, "들뢰즈의 예술론을 통해 본 예술가적 배움 ― 초기 프루스트론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5 (15): 1-20, 2014

      12 Rifkin, J., "노동의 종말" 민음사 1996

      13 Warhurst, C., "Work less, Live more? Critical Analysis of the Work-Life Boundary" Palgrave Macmillan 2008

      14 Ren, X., "Women's experiences of work and family conflict in a Chinese airline" 17 (17): 325-341, 2011

      15 Ro, C., "With less work to go around, will people twiddle their thumbs or find better things to do with their time?"

      16 Deleuze, G., "What is philoso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1

      17 NEA, "U.S. Trends in arts attendance and literary reading: 2002-2017"

      18 Juncker, B., "The value of art and culture in everyday life: Towards an expressive cultural democracy" 46 (46): 231-242, 2016

      19 Lepinteur, A., "The shorter workweek and worker wellbeing: Evidence from Portugal and France" Paris School of Economics 2016

      20 Hohr, H., "The concept of experience by John Dewey revisited: Conceiving, feeling and “enliving”" 32 (32): 25-38, 2013

      21 Greenhaus, J. H.,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10 (10): 76-88, 1985

      22 Bunting, C, "Public value and the arts in England: Discussion and conclusions of the arts debate"

      23 Fingeret, H. A., "Leadership for literacy: The agenda for the 1990s" Jossey-Bass, Inc 1990

      24 Mattern, M., "John Dewey, art and public life" 61 (61): 54-75, 1999

      25 Jensen, J., "Is art good for us? Beliefs about high culture in American life" Rowmann and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02

      26 Jensen, J., "Expressive logic: A new premise in arts advocacy" 33 (33): 65-80, 2003

      27 Ivey, B., "Expressive lives, Demos, collection 27" Demos 2009

      28 Jones, S., "Expressive lives, Demos, collection 27" Demos 2009

      29 Shusterman, R., "Entertainment : A question for aesthetics" 43 (43): 289-307, 2003

      30 Conner, L., "Engaging art: The next great transformation of American cultural life" Routledge 103-126, 2008

      31 Jenkins, H., "Engaging art. The next great transformation of American cultural life" Routledge 171-195, 2008

      32 Mulcahy, K., "Cultural policy: Definitions and theoretical approaches" 35 (35): 319-330, 2006

      33 Australia Council for the Arts, "Connecting Australians: Results of the National Arts Participation Survey"

      34 Dewey, J., "Art as experience" Wideview/Perigree 1980

      35 Shiff, R., "Art and life : A metaphoric relationship" 5 (5): 107-122, 1978

      36 Brown, A. S., "A fresh look at arts participation"

      37 문화관광체육부, "2018 문화향수 실태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5 0.897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