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論語"
2 鄭載圭, "老柏軒集"
3 박기용, "진주의 누정문화" 월인 2010
4 이해준, "조선후기 ‘문중화’ 경향과 친족조직의 변질" 한국역사연구회 (48) : 169-190, 2003
5 김해허씨 승산대종중, "우리의 뿌리 우리의 고향, 勝山" 남성인쇄사 1996
6 강정화, "누정기에 나타난 하동 누정의 공간 인식" 경남문화연구원 (34) : 211-242, 2012
7 朱林方, "補王政所窮: 範氏義莊與宗法制帝國修復機制" (3) : 135-136, 2014
8 田愚, "艮齋集"
9 지신종중, "止愼亭 許駿 遺稿帖" 예옥출판사 2008
10 강정화, "晉州 道統祠의 출판 활동과 그 의의" 동양한문학회 43 (43): 5-29, 2016
1 "論語"
2 鄭載圭, "老柏軒集"
3 박기용, "진주의 누정문화" 월인 2010
4 이해준, "조선후기 ‘문중화’ 경향과 친족조직의 변질" 한국역사연구회 (48) : 169-190, 2003
5 김해허씨 승산대종중, "우리의 뿌리 우리의 고향, 勝山" 남성인쇄사 1996
6 강정화, "누정기에 나타난 하동 누정의 공간 인식" 경남문화연구원 (34) : 211-242, 2012
7 朱林方, "補王政所窮: 範氏義莊與宗法制帝國修復機制" (3) : 135-136, 2014
8 田愚, "艮齋集"
9 지신종중, "止愼亭 許駿 遺稿帖" 예옥출판사 2008
10 강정화, "晉州 道統祠의 출판 활동과 그 의의" 동양한문학회 43 (43): 5-29, 2016
11 "後漢書"
12 "小學"
13 洪邁, "容齋隨筆"
14 "大學"
15 김윤수, "南冥集 板本 硏究上의 爭點"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6 : 11-42, 1996
16 오이환, "南冥學派 硏究" 남명학연구원출판부 2000
17 郭鍾錫, "俛宇集"
18 "中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