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풍수적(風水的) 자각의 현대시, 혹은 그 환경 인식 = The Modern poetry of self-awakening as pung-su, and Its environmental aware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199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y thesis is concerned with tools that help in poetic writing application that provide good interactivity in the face of widely variable or unknown thoughts of pung-su. The literal meaning of the word pung-su is wind and water. The first part of th...

      My thesis is concerned with tools that help in poetic writing application that provide good interactivity in the face of widely variable or unknown thoughts of pung-su. The literal meaning of the word pung-su is wind and water.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addresses a poetic archetype about pung-su and a poetic discourse anti-pung-su.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addresses a ecological consciousness appeared in poetry which became the Cheongyecheon-subject matter for writing. The third part of this paper addresses traces of thoughts as shown in the recent poems by poet Kim-jih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머리 : 풍수적 사유의 시적 담론
      • 2. 풍수의 시적 원형과, 반(反)풍수의 시적 담론
      • 3. 청계천 소재의 시에 나타난 풍수적인 생태의식
      • 4. 김지하의 최근 시에 나타난 풍수적 사유의 자취
      • 5. 마무리 : 약론 및 앞으로의 전망
      • 1. 들머리 : 풍수적 사유의 시적 담론
      • 2. 풍수의 시적 원형과, 반(反)풍수의 시적 담론
      • 3. 청계천 소재의 시에 나타난 풍수적인 생태의식
      • 4. 김지하의 최근 시에 나타난 풍수적 사유의 자취
      • 5. 마무리 : 약론 및 앞으로의 전망
      • 인용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하, "흰그늘의 산알 소식과 산알의 흰그늘 노래" 천년의시작 202-, 2010

      2 김지하, "흰그늘의 미학을 찾아서" 실천문학사 15-, 2005

      3 권선정, "풍수, 그 삶의 지리 생명의 지리" 푸른 나무 235-, 1993

      4 한면희, "초록문명론" 동녘 295-300, 2004

      5 진단시동인, "청계천은 흐른다" 시문학사 104-105, 2006

      6 이지연, "청계천은 다시 흐른다" 마을 13-, 2008

      7 조흥섭, "지속가능한 토지 관리 풍수는 과학이다"

      8 최창조, "좋은 땅이란 어디를 말함인가" 서해문집 178-, 1990

      9 김두규, "우리 풍수 이야기" 북하우스 199-, 2003

      10 민영, "용인 지나는 길에" 창작과비평사 22-23, 1977

      1 김지하, "흰그늘의 산알 소식과 산알의 흰그늘 노래" 천년의시작 202-, 2010

      2 김지하, "흰그늘의 미학을 찾아서" 실천문학사 15-, 2005

      3 권선정, "풍수, 그 삶의 지리 생명의 지리" 푸른 나무 235-, 1993

      4 한면희, "초록문명론" 동녘 295-300, 2004

      5 진단시동인, "청계천은 흐른다" 시문학사 104-105, 2006

      6 이지연, "청계천은 다시 흐른다" 마을 13-, 2008

      7 조흥섭, "지속가능한 토지 관리 풍수는 과학이다"

      8 최창조, "좋은 땅이란 어디를 말함인가" 서해문집 178-, 1990

      9 김두규, "우리 풍수 이야기" 북하우스 199-, 2003

      10 민영, "용인 지나는 길에" 창작과비평사 22-23, 1977

      11 이봉래, "역광의 신" 서문당 55-57, 1982

      12 김지하, "시김새 ․ 2" 신생 34-, 2012

      13 김지하, "생명학(1)" 화남 79-, 2003

      14 김지하, "생명과 자치" 솔 103-, 1996

      15 김윤식, "박경리와 토지" 강 202-, 2009

      16 고은, "만인보 ․ 1" 창작사 99-, 1986

      17 김용욱, "도올의 청계천 이야기" 통나무 46-47, 2003

      18 문광훈, "김우창의 인문주의" 한길사 328-, 2006

      19 김두규, "김두규 교수의 풍수 강의" 비봉출판사 219-, 2008

      20 김우창, "103인의 현대 사상" 민음사 56-57,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7 0.783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