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술/기술의 패러다임과 그 담화적 실현 = 'Orally Speaking/Literally Writing' as a Paradigm and Its Application into Discursive Pract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75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 ims to d escribe how the paradigm ' Orally S peaking(口述)/Literally Writing(記述)' is applied into actual discursive practice. As analternative paradigm of existing paradigm 'Orally Transmitted'(口碑)/LiterallyRecorded'(記錄)', 'Orally Speaking/ Literally Writing' shows performativecharacteristics of discourse. It does not only perform its instrumental role, butmore widely determines various psychological,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of its message. By the way, since 'Orally speaking' and 'Literally Writing'always appear complexively in all discourses, we can not apply them intodiscourses separatively. As both 'Orally speaking' implies 'Literally writing' andvice versa', all discourses appear as a complex of these two opposite modes. In order to show how they do, we have to make clear what kind of poeticsis applied into these two modes respectively. Therefore, at first, I proposethe models of oral poetics and literary poetics respectively, and according tothem, I also create an integrative model of poetics by which oral texts thathave to be inevitably written are described. Lastly, I suggest the possibilityof expansion of this paradigm into broad cultural area by showing that it canbe applied into stylistics and rhetorics in general.
      번역하기

      This paper a ims to d escribe how the paradigm ' Orally S peaking(口述)/Literally Writing(記述)' is applied into actual discursive practice. As analternative paradigm of existing paradigm 'Orally Transmitted'(口碑)/LiterallyRecorded'(記錄)', '...

      This paper a ims to d escribe how the paradigm ' Orally S peaking(口述)/Literally Writing(記述)' is applied into actual discursive practice. As analternative paradigm of existing paradigm 'Orally Transmitted'(口碑)/LiterallyRecorded'(記錄)', 'Orally Speaking/ Literally Writing' shows performativecharacteristics of discourse. It does not only perform its instrumental role, butmore widely determines various psychological,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of its message. By the way, since 'Orally speaking' and 'Literally Writing'always appear complexively in all discourses, we can not apply them intodiscourses separatively. As both 'Orally speaking' implies 'Literally writing' andvice versa', all discourses appear as a complex of these two opposite modes. In order to show how they do, we have to make clear what kind of poeticsis applied into these two modes respectively. Therefore, at first, I proposethe models of oral poetics and literary poetics respectively, and according tothem, I also create an integrative model of poetics by which oral texts thathave to be inevitably written are described. Lastly, I suggest the possibilityof expansion of this paradigm into broad cultural area by showing that it canbe applied into stylistics and rhetorics in gener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구술/기술’의 패러다임이 담화에서 실현되는 구체적 양상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술/기술’은 기존의 ‘구비/기록’에 대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여기에는 ‘말하고 쓰는’ 연행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단지 도구적인 데 그치지 않고, 메시지의 심리적, 사회적, 역사적인 조건들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구술’과 ‘기술’은 담화에서 각기 독자적으로 실현될 수 없어 모든 담화에서 복합적으로 드러난다. 구술이 기술을, 기술이 구술을 내포함으로써, 모든 담화는 구술과 기술의 복합체로실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양상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구술과 기술 각각에서 구현되는 시학이 무엇인지를 밝힐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 글은 먼저 구술시학과 기술시학의 모델을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문자로 기술될 수밖에 없는 구술 텍스트를 시학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통합적 방법론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패러다임이 문체론과 수사학에 적용되는양상을 통해 그것이 갖는 문화적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글은 ‘구술/기술’의 패러다임이 담화에서 실현되는 구체적 양상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술/기술’은 기존의 ‘구비/기록’에 대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여기에는 ‘말하고...

      이 글은 ‘구술/기술’의 패러다임이 담화에서 실현되는 구체적 양상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술/기술’은 기존의 ‘구비/기록’에 대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여기에는 ‘말하고 쓰는’ 연행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단지 도구적인 데 그치지 않고, 메시지의 심리적, 사회적, 역사적인 조건들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구술’과 ‘기술’은 담화에서 각기 독자적으로 실현될 수 없어 모든 담화에서 복합적으로 드러난다. 구술이 기술을, 기술이 구술을 내포함으로써, 모든 담화는 구술과 기술의 복합체로실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양상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구술과 기술 각각에서 구현되는 시학이 무엇인지를 밝힐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 글은 먼저 구술시학과 기술시학의 모델을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문자로 기술될 수밖에 없는 구술 텍스트를 시학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통합적 방법론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패러다임이 문체론과 수사학에 적용되는양상을 통해 그것이 갖는 문화적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구비문학회, "현대사회와 구비문학" 박이정 1-377, 2005

      2 송효섭, "해체의 설화학" 서강대출판부 1-351, 2009

      3 신동흔, "시집살이 이야기 집성 2 파란만장, 소설 같은 삶" 박이정 1-463, 2013

      4 김정경, "시집살이 이야기 연구" 박이정 1-270, 2012

      5 송효섭, "삼국유사의 신화성과 반신화성"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1 (11): 7-27, 2007

      6 일연, "삼국유사" 솔 1-449, 1997

      7 한국고전문학회, "국문학의 구비성과 기록성" 태학사 1-500, 1999

      8 장덕순,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570, 2006

      9 Richard Baumann, "Verbal Art as Performance" Waveland Press,Inc 1-150, 1977

      10 Yuri M. Lotman, "Universe of the Mind" Indiana University Press 1-288, 2000

      1 한국구비문학회, "현대사회와 구비문학" 박이정 1-377, 2005

      2 송효섭, "해체의 설화학" 서강대출판부 1-351, 2009

      3 신동흔, "시집살이 이야기 집성 2 파란만장, 소설 같은 삶" 박이정 1-463, 2013

      4 김정경, "시집살이 이야기 연구" 박이정 1-270, 2012

      5 송효섭, "삼국유사의 신화성과 반신화성"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1 (11): 7-27, 2007

      6 일연, "삼국유사" 솔 1-449, 1997

      7 한국고전문학회, "국문학의 구비성과 기록성" 태학사 1-500, 1999

      8 장덕순,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570, 2006

      9 Richard Baumann, "Verbal Art as Performance" Waveland Press,Inc 1-150, 1977

      10 Yuri M. Lotman, "Universe of the Mind" Indiana University Press 1-288, 2000

      11 D.C. Greetham, "Textual Scholarship: An Introduction" Garland Publishing, Inc 1-561, 1994

      12 A.J. Greimas, "Sémantique structurale" Larousse 1-262, 1966

      13 Claude Lévi-Strauss, "Structural Anthropology" Penguin Books 1-410, 1963

      14 Lee T. Lemon, "Russian Formalist Criticism: Four Essay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143, 1965

      15 Louis Hjelmslev, "Prolegomena to a Theory of Language"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144, 1969

      16 Walter J. Ong, "Orality and Literacy: The Technologizing of the Word" Methuen 1-201, 1982

      17 David R. Olson, "Literacy and Or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04, 1991

      18 Roman Jakobson, "Language in Litera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1-548, 1987

      19 Richard Bauman, "Explorations in the Ethnography of Speak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01, 1989

      20 "Daniel Chandler"

      21 Charles Hartshorne,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anders Peirce 2" Harvard University Press 1-535, 196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