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韩国公企业的经验对中国公企业改革的启示 = An Improvement Scheme for Chinese Public Enterpris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Public Enterpris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nerally, Korean public enterprises perform the basic task of providing the necessary goods and services for the survival of members of society in order to pursue public interests and public welfare. These public enterprises play a functional role in economic development and meet the needs of the public through economic policies and the redistribution of income between different classes and regions. However, public enterprises have not only been criticized for violating the private economy and the basic rights of individuals, they have also distorted the economic process and ultimately reduced economic efficiency. At present, the state of highly complex administration has brought new changes to the realization of national public goals, requiring the state and society to play a new role in fulfilling their responsibilities. In this case, not only South Korea, but also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Undertake various reforms.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2019 State-owned Assets Supervision and Administration Commission's Communiqué, the total assets of China's state-owned enterprises in 2018 were 178.7 trillion yuan. Among the Fortune Global 500 companies selected by Fortune Magazine in 2019, there were 89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and central enterprises More than 11 billion yuan has been invested in targeted poverty alleviation counties.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national economy, and Chinese public welfare state-owned enterprises are the support of the basic industries of the national economy, ensuring the normal development of residents' lives. Since 2015, China's state-owned enterprises have continuously strengthened the classification reform and achieved good results, but they have also encountered many difficulties, such as the need to improve the governance system of state-owned enterprises. Reform of China's state-owned enterprises is necessary to keep pace with the times. Korean public enterprises are similar to Chinese public welfare state-owned enterprises and occupy a large share of the national economy. Public enterprises are an economic means of economic development, a means of redistributing income among all social strata and regions, and have played a role in meeting public needs. Since the 1880s, South Korea has introduced modern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s in public enterprises, pursuing a balance between corporate autonomy and public service goals. Therefore, based o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Chinese public welfare state-owned enterprises and Korean public institutions, this article studi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hinese public welfare state-owned enterprises, draws on the effective experience of Korean public enterprises, and draws specific information about Chinese public welfare state-owned enterprises Development plan, with a view to playing a role in attracting new ideas to the reform of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번역하기

      Generally, Korean public enterprises perform the basic task of providing the necessary goods and services for the survival of members of society in order to pursue public interests and public welfare. These public enterprises play a functional role in...

      Generally, Korean public enterprises perform the basic task of providing the necessary goods and services for the survival of members of society in order to pursue public interests and public welfare. These public enterprises play a functional role in economic development and meet the needs of the public through economic policies and the redistribution of income between different classes and regions. However, public enterprises have not only been criticized for violating the private economy and the basic rights of individuals, they have also distorted the economic process and ultimately reduced economic efficiency. At present, the state of highly complex administration has brought new changes to the realization of national public goals, requiring the state and society to play a new role in fulfilling their responsibilities. In this case, not only South Korea, but also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Undertake various reforms.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2019 State-owned Assets Supervision and Administration Commission's Communiqué, the total assets of China's state-owned enterprises in 2018 were 178.7 trillion yuan. Among the Fortune Global 500 companies selected by Fortune Magazine in 2019, there were 89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and central enterprises More than 11 billion yuan has been invested in targeted poverty alleviation counties.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national economy, and Chinese public welfare state-owned enterprises are the support of the basic industries of the national economy, ensuring the normal development of residents' lives. Since 2015, China's state-owned enterprises have continuously strengthened the classification reform and achieved good results, but they have also encountered many difficulties, such as the need to improve the governance system of state-owned enterprises. Reform of China's state-owned enterprises is necessary to keep pace with the times. Korean public enterprises are similar to Chinese public welfare state-owned enterprises and occupy a large share of the national economy. Public enterprises are an economic means of economic development, a means of redistributing income among all social strata and regions, and have played a role in meeting public needs. Since the 1880s, South Korea has introduced modern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s in public enterprises, pursuing a balance between corporate autonomy and public service goals. Therefore, based o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Chinese public welfare state-owned enterprises and Korean public institutions, this article studi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hinese public welfare state-owned enterprises, draws on the effective experience of Korean public enterprises, and draws specific information about Chinese public welfare state-owned enterprises Development plan, with a view to playing a role in attracting new ideas to the reform of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반적으로 공기업은 공공복리라는 공익추구를 목적으로 그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의 생존에 필요한 재화와 용역의 공급이라는 기본적인 임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공기업은 경제정책 및 계층별․지역 간 소득의 재분배를 통하여 경제발전은 물론 공공에 대한 수요충족이라는 기능적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그러나 공기업은 사적 경제를 침해하거나 사인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은 물론 경제활동 과정을 왜곡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경제의 효율성을 해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오늘날과 같은 고도의 복잡․다양한 행정현실은 국가가 그 임무를 수행하는 방식에 변화를 초래하였고 그 역할마저 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정에서 한국은 물론 중국의 공기업도 다양한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중국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의 2019년 관보에 따르면, 2018년 중국 국유기업의 자산총액은 178억7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2019년 포츈(Fortune)이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 중에서 중국 국유기업은 89개를 차지하였다. 중국의 중앙기업은 빈곤타파를 위한 무상 원조를 위해 110억 위안의 자금을 투입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정에서 중국의 공기업, 구체적으로는 중국 국유기업은 국민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중국 공익류 국유기업은 국

      민경제의 기초산업을 지탱하고 주민들의 생활을 정상화 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 공기업의 역할은 2015년 이후 특히 강화되어 왔지만 아직까지도 그 지배구조를 비롯한 체계가 완전하게 갖추어지지 못한 사정이다. 결국 공기업에 대해서도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는 오늘날 중국 공기업도 시대의 변화에 따른 발전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개혁을 감수해야만 한다. 한편, 한국 공기업은 이미 국민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제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1980년대부터 공기업에 대한 지배구조를 개선하면서 기업의 자치목표와 공공 서비스 목표의 균형을 잘 발전 시켜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공기업의 효율적인 경험을 거울삼아 중국 공기업에 대한 구체적인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일반적으로 공기업은 공공복리라는 공익추구를 목적으로 그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의 생존에 필요한 재화와 용역의 공급이라는 기본적인 임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공기업은 경제정책 및 ...

      일반적으로 공기업은 공공복리라는 공익추구를 목적으로 그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의 생존에 필요한 재화와 용역의 공급이라는 기본적인 임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공기업은 경제정책 및 계층별․지역 간 소득의 재분배를 통하여 경제발전은 물론 공공에 대한 수요충족이라는 기능적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그러나 공기업은 사적 경제를 침해하거나 사인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은 물론 경제활동 과정을 왜곡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경제의 효율성을 해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오늘날과 같은 고도의 복잡․다양한 행정현실은 국가가 그 임무를 수행하는 방식에 변화를 초래하였고 그 역할마저 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정에서 한국은 물론 중국의 공기업도 다양한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중국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의 2019년 관보에 따르면, 2018년 중국 국유기업의 자산총액은 178억7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2019년 포츈(Fortune)이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 중에서 중국 국유기업은 89개를 차지하였다. 중국의 중앙기업은 빈곤타파를 위한 무상 원조를 위해 110억 위안의 자금을 투입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정에서 중국의 공기업, 구체적으로는 중국 국유기업은 국민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중국 공익류 국유기업은 국

      민경제의 기초산업을 지탱하고 주민들의 생활을 정상화 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 공기업의 역할은 2015년 이후 특히 강화되어 왔지만 아직까지도 그 지배구조를 비롯한 체계가 완전하게 갖추어지지 못한 사정이다. 결국 공기업에 대해서도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는 오늘날 중국 공기업도 시대의 변화에 따른 발전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개혁을 감수해야만 한다. 한편, 한국 공기업은 이미 국민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제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1980년대부터 공기업에 대한 지배구조를 개선하면서 기업의 자치목표와 공공 서비스 목표의 균형을 잘 발전 시켜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공기업의 효율적인 경험을 거울삼아 중국 공기업에 대한 구체적인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창훈, "지방공기업제도 역사의 시기 구분과 향후 지방공기업 개혁 방향에 대한 제언" 한국비교정부학회 19 (19): 163-195, 2015

      2 김인식, "중국 국유기업과 한국 공기업 개념의 비교 연구 - 양국 현행법 규정을 중심으로" 중국연구소 64 : 243-270, 2015

      3 김형섭, "독일에 있어 생존배려의 주체로서 공기업과 경제성원리에 관한 소고" 한국토지공법학회 43 (43): 611-636, 2009

      4 김형섭, "공기업의 효율적 임무수행과 재정개선을 위한 지배구조 개편에 관한 소고" 한양법학회 28 (28): 283-308, 2017

      5 "韩国地方公共企业管理信息披露系统"

      6 "韩国公共机构经营信息公开系统ALIO"

      7 尹泰范, "韩国公共机构治理结构的问题和改进:以董事会为中心" 2016

      8 康青松, "韩国公企业政策与管理制度及其启示" 2018

      9 南逸聪, "韩国公企业及公共机构的治理结构" 韩国企划财政部和KDI国际政策大学院 2013

      10 "韩国《关于公共机构运营的法律》"

      1 정창훈, "지방공기업제도 역사의 시기 구분과 향후 지방공기업 개혁 방향에 대한 제언" 한국비교정부학회 19 (19): 163-195, 2015

      2 김인식, "중국 국유기업과 한국 공기업 개념의 비교 연구 - 양국 현행법 규정을 중심으로" 중국연구소 64 : 243-270, 2015

      3 김형섭, "독일에 있어 생존배려의 주체로서 공기업과 경제성원리에 관한 소고" 한국토지공법학회 43 (43): 611-636, 2009

      4 김형섭, "공기업의 효율적 임무수행과 재정개선을 위한 지배구조 개편에 관한 소고" 한양법학회 28 (28): 283-308, 2017

      5 "韩国地方公共企业管理信息披露系统"

      6 "韩国公共机构经营信息公开系统ALIO"

      7 尹泰范, "韩国公共机构治理结构的问题和改进:以董事会为中心" 2016

      8 康青松, "韩国公企业政策与管理制度及其启示" 2018

      9 南逸聪, "韩国公企业及公共机构的治理结构" 韩国企划财政部和KDI国际政策大学院 2013

      10 "韩国《关于公共机构运营的法律》"

      11 何佩佩, "论我国公益类国有企业的界定及治理模式" 浙江大学 2017

      12 赵申宜, "混合所有制改革背景下公益性国有企业治理研究" (1) : 2018

      13 黄泰岩, "日本、韩国公企业的类型与改革" 1995

      14 崔武根, "地方公共机构中小企业支持职能存在的问题及价值管理模式研究" 41 (41): 2018

      15 李恩成, "国有企业管理评估的可行性与完善性研究" 21 (21): 2013

      16 杨瑞龙, "国有企业的重新定位及分类改革战略的实施" 2013

      17 千京俊, "国有企业治理结构的法律问题:公共机构运营法的法理、现实、问题" 8 (8): 2015

      18 中国证券报, "国有企业分类改革的目标与路径"

      19 宋寿恒, "关于公共企业体基本特征的研究" 12 : 1966

      20 李津京, "关于公企业概念与国企改革的探讨" (3) : 2012

      21 金泽奎, "公企业社长的出身对公企业公共性的影响研究:以一般公务员及特殊公务员为中心" 2016

      22 朴正秀, "公企业民营化成果评价及今后课题" 韩国租税研究院 2011

      23 石涛, "全面深化公益性国有企业改革面临的问题及对策" 2019

      24 金南辰, "保障国家运行的相关法与政策的研究" 55 (55):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0.84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