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모세포의 유합과정 중에 일어나는 세포뼈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임신 말기 흰쥐에서 분리한 근육모세포를 전 자현미경용 금그리드 위에서 배양하고, 세포막과 세포질을 제거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7034315
1999
-
510
KCI등재후보,ESCI
학술저널
65-7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근육모세포의 유합과정 중에 일어나는 세포뼈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임신 말기 흰쥐에서 분리한 근육모세포를 전 자현미경용 금그리드 위에서 배양하고, 세포막과 세포질을 제거하...
근육모세포의 유합과정 중에 일어나는 세포뼈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임신 말기 흰쥐에서 분리한 근육모세포를 전
자현미경용 금그리드 위에서 배양하고, 세포막과 세포질을 제거하여 세포뼈대 만을 남긴 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방추형 근육모세포의 세포막 직하와 세포질 내에는 세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미세섬유의 다발이 존재하였고, 세포질 전체에는 망상으로 세포뼈대가 분포하고 있었다. 근육모세포의 표면돌기나 양단의 커텐형돌기의 기저부에는 미세섬유가 좁은 망상의 띠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곳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미세섬유가 뻗어나가고 있었다. 세포체 부위에서 기시하는 돌기는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미세섬유의 다발에서 기시하는 경우도 있었다. 근육모세포의 접촉 부위에서는 인접한 세포를 연결시켜주는 가는 미세섬유 및 미세섬유망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미세섬유 다발이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근육모세포의 세포뼈대가 이들 세포의 유합 과정에 따라 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yoblasts fuse together to form multinucleated myotube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cytoskeletal changes during the fusion process. To understand the change of cytoskeleton during the fusion process, isolated myoblasts from...
Myoblasts fuse together to form multinucleated myotube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cytoskeletal changes during the fusion process. To understand the change of cytoskeleton during the fusion process, isolated myoblasts from embryonic day 21 Sprague-Dawley rats were cultured on formvar-, carbon-, and gelatincoated gold grids for electron microscopy. The cells were fixed and plasma membrane and cytoplasm were extracted with triton X-100 and observed directly with Hitachi H-600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without staining.
Fusiform myoblasts have complex cytoskeletal networks at the center of the cells, which were too dense to be
resolved, however the margins of myoblasts and myotubes have bundles of cytoskeletons run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ticulated cytoskeletal networks in between. Lamellipodial ruffles at both ends of myoblasts were characterized by a cytoskeletal lattice at the base and a few radiating strands into the filopodia-like processes.
Radiating cytoskeletons originated either from the longitudinally oriented cytoskeletal bundles or reticular lattice continuous to them. The fusion areas were characterized by thin filaments connecting adjacent cells and the connection of longitudinal filament bundles from the fusing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e modification of cytoskeletons during myoblast fusion.
항암제 AG60이 흰생쥐 위점막 상피세포의 DNA합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방사법적연구
한우 난소에서의 angiogenin분포와 mRNA발현에 관한 연구
태생기 중 대동맥활 및 그 분지에서 내측층판단위의 발생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Capsaicin으로 유도된 신경성 염증반응에 미치는 상백피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