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부 일반논문 : 철학의 역사에서 언어의 위상변화와 “인문언어학”의 철학적 함의 = The changing status of languag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human linguis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28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초에 진행된 ‘언어적 전회’는 “가장 최근에 발생한 철학의 혁명”으로서 철학의 역사에서 사유의 패러다임적 변혁으로 평가받는다. 20세기 사유의 혁명은 언어가 인문현상의 핵심이고, 심지어 결정적 요소라는 것, 그리고 인문현상은 언어(적으)로 표현된다는 것 등을 현대철학과 인문학의 상식으로 만들었다. 이런 점에서 현대철학은 ‘언어’철학, 현대인문학은 ‘언어’인문학이라 부를 수도 있겠다. 인간의 사유의 이런 혁명적 변화는 오늘날 언어학 자체의 변화도 요구하였다. 자연의 사물들을 지배하는 보편적 법칙을 찾고자 했던 자연과학의 방식처럼 전통의 언어학은 언어의 보편적 법칙을 찾고자 했었다. 하지만 최근의 사유의 혁명은 ‘언어는 사유와 동근원적’이라는 생각, 언어는 대상을 주체에게 전달하는 도구(instrument)가 아니라 인간이 자신을 체현하는 매체(medium)라는 생각, 인문현상과 언어현상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생각 등이 일반화 되면서, 언어학 역시 이런 주장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모든 인문현상이 언어로 표현된다면 인문현상과 관련한 모든 것들이 언어학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요청을 받게 된다. 간단히 말하자면 이것은 언어학이 법칙추구에 방해가 되는 비언어적 요소들(제스처, 표정, 억양, 이미지 등) 내지 법칙화에 어려움이 있는 언어현상들(서사 등)을 언어학의 영역에서 제외했던 계몽적, 실증주의적 언어학을 비판적으로 넘어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어학이 인문현상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제 언어학은 ‘인문’언어학(human linguistics)이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인문언어학이 따르는 테제는 다음과 같다.: ‘이성과 언어는 동근원적이다.’ ‘모든 인문현상은 언어적이다.’ ‘세계는 언어구성물이다.’ ‘원시언어는 없다.’ 이 글은 인문언어학으로의 이행의 필연성을 철학의 관점에서 해명하고, 인문언어학이 기반하고 있는 테제들을 서술한다.
      번역하기

      20세기 초에 진행된 ‘언어적 전회’는 “가장 최근에 발생한 철학의 혁명”으로서 철학의 역사에서 사유의 패러다임적 변혁으로 평가받는다. 20세기 사유의 혁명은 언어가 인문현상의 핵심...

      20세기 초에 진행된 ‘언어적 전회’는 “가장 최근에 발생한 철학의 혁명”으로서 철학의 역사에서 사유의 패러다임적 변혁으로 평가받는다. 20세기 사유의 혁명은 언어가 인문현상의 핵심이고, 심지어 결정적 요소라는 것, 그리고 인문현상은 언어(적으)로 표현된다는 것 등을 현대철학과 인문학의 상식으로 만들었다. 이런 점에서 현대철학은 ‘언어’철학, 현대인문학은 ‘언어’인문학이라 부를 수도 있겠다. 인간의 사유의 이런 혁명적 변화는 오늘날 언어학 자체의 변화도 요구하였다. 자연의 사물들을 지배하는 보편적 법칙을 찾고자 했던 자연과학의 방식처럼 전통의 언어학은 언어의 보편적 법칙을 찾고자 했었다. 하지만 최근의 사유의 혁명은 ‘언어는 사유와 동근원적’이라는 생각, 언어는 대상을 주체에게 전달하는 도구(instrument)가 아니라 인간이 자신을 체현하는 매체(medium)라는 생각, 인문현상과 언어현상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생각 등이 일반화 되면서, 언어학 역시 이런 주장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모든 인문현상이 언어로 표현된다면 인문현상과 관련한 모든 것들이 언어학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요청을 받게 된다. 간단히 말하자면 이것은 언어학이 법칙추구에 방해가 되는 비언어적 요소들(제스처, 표정, 억양, 이미지 등) 내지 법칙화에 어려움이 있는 언어현상들(서사 등)을 언어학의 영역에서 제외했던 계몽적, 실증주의적 언어학을 비판적으로 넘어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어학이 인문현상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제 언어학은 ‘인문’언어학(human linguistics)이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인문언어학이 따르는 테제는 다음과 같다.: ‘이성과 언어는 동근원적이다.’ ‘모든 인문현상은 언어적이다.’ ‘세계는 언어구성물이다.’ ‘원시언어는 없다.’ 이 글은 인문언어학으로의 이행의 필연성을 철학의 관점에서 해명하고, 인문언어학이 기반하고 있는 테제들을 서술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inguistic turn’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s evaluated as the “most recent philosophical revolutio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is revolution in contemporary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stresses that language is a central human phenomena and even their decisive element, and that human phenomena are expressed linguistically. In this regard, contemporary philosophy can be considered to be ‘language’ philosophy, and the contemporary humanities to be ‘language-centered’ humanities. This revolution of thought furthermore urges a change of linguistics itself. Traditional linguistics was looking for universal laws of language just as the natural sciences were searching for universal laws that govern nature. But if human phenomena are expressed linguistically, everything related to them has to be the subject of linguistics. This means that linguistics must critically overcome the Enlightenment linguistics which excluded non-verbal elements and language phenomena that hinder findings of laws (ex, gesture, mimic expression, intonation, image and narrative etc.) from the area of linguistics. As much as linguistics takes into account the real human phenomena it must nowadays be a ‘human’ linguistics. In this respect, the basic assumptions of a human linguistics are as follows: ‘language and thought have the same origin’; ‘all human phenomena are linguistic’; ‘the world is a construct of language.’ This article argues for the inevitability of such a transition to human linguistics from the point of view of philosophy and explains its main theses.
      번역하기

      The ‘linguistic turn’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s evaluated as the “most recent philosophical revolutio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is revolution in contemporary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stresses that language is a centr...

      The ‘linguistic turn’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s evaluated as the “most recent philosophical revolutio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is revolution in contemporary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stresses that language is a central human phenomena and even their decisive element, and that human phenomena are expressed linguistically. In this regard, contemporary philosophy can be considered to be ‘language’ philosophy, and the contemporary humanities to be ‘language-centered’ humanities. This revolution of thought furthermore urges a change of linguistics itself. Traditional linguistics was looking for universal laws of language just as the natural sciences were searching for universal laws that govern nature. But if human phenomena are expressed linguistically, everything related to them has to be the subject of linguistics. This means that linguistics must critically overcome the Enlightenment linguistics which excluded non-verbal elements and language phenomena that hinder findings of laws (ex, gesture, mimic expression, intonation, image and narrative etc.) from the area of linguistics. As much as linguistics takes into account the real human phenomena it must nowadays be a ‘human’ linguistics. In this respect, the basic assumptions of a human linguistics are as follows: ‘language and thought have the same origin’; ‘all human phenomena are linguistic’; ‘the world is a construct of language.’ This article argues for the inevitability of such a transition to human linguistics from the point of view of philosophy and explains its main the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대성, "헤겔" 그린비 2014

      2 헤겔, Fr. W., "청년헤겔의 신학론집" 인간사랑 2005

      3 헤겔, "정신현상학" 한길사 2004

      4 소쉬르,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5 벤야민, W., "언어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도서출판 길 2010

      6 헤르더, "언어의 기원에 대하여" 한길사 2006

      7 워프, B. Lee, "언어, 사고 그리고 실재" 나남 2010

      8 김상호, "맥루한 매체이론에서 인간의 위치: ‘기술 우선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8 (8): 84-121, 2008

      9 강현석,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인문과학연구의 새지평" 학지사 2009

      10 정대성, "근대적 사유의 권위적 특성과 대안적 사유의 가능성에 대하여" 한국가톨릭철학회 (14) : 83-107, 2010

      1 정대성, "헤겔" 그린비 2014

      2 헤겔, Fr. W., "청년헤겔의 신학론집" 인간사랑 2005

      3 헤겔, "정신현상학" 한길사 2004

      4 소쉬르,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5 벤야민, W., "언어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도서출판 길 2010

      6 헤르더, "언어의 기원에 대하여" 한길사 2006

      7 워프, B. Lee, "언어, 사고 그리고 실재" 나남 2010

      8 김상호, "맥루한 매체이론에서 인간의 위치: ‘기술 우선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8 (8): 84-121, 2008

      9 강현석,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인문과학연구의 새지평" 학지사 2009

      10 정대성, "근대적 사유의 권위적 특성과 대안적 사유의 가능성에 대하여" 한국가톨릭철학회 (14) : 83-107, 2010

      11 호르크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1994

      12 Platon, Platons Werke, "Zweiten Teiles zweiter Band(=Kratylos), uebersetz. von Fr. Schleiermacher" dritte Auflage 1857

      13 Horkheimer, M., "Zeitschrift fuer Sozialforschung" 1941

      14 de Man, P., "The Rhetoric of Romanticism" 1984

      15 Brunner, J., "The Narrative Construction of Reality" 18 : 1991

      16 Rorty, R, "The Linguistic Turn" 1967

      17 Bertram, G. W., "Sprachphilosophie" Junius Verlag 2011

      18 Liebruks, B., "Sprache und Bewusstsein, Bd. 1, Einleitung. Spannweite des Problems. Von den undialektischen Gebilden zur dialektischen Bewegung" 1964

      19 Ricoeur, P., "Onself as Anothe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20 Kristeller, P.O., "Humanismus und Renaissance I: Die antiken und mittelalterlichen Quellen" Fink 1974

      21 Voigt, G., "Die Wiederbelebung des classischen Alterthums oder das erste Jahrhundert des Humanismus. 2Bde" 1893

      22 Habermas, J., "Der philosophische Diskurs der Moderne" 1996

      23 Forster, M.N., "AFTER HERDER" Oxford Uni. Press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6 0.736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