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헤겔 『정신현상학』의 Ⅳ. 정신 장의 첫 번째 부분인 A. 참다운 정신 절을 중심으로 인륜성과 법의 문제를 탐구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 장은 그리스의 인륜성을 다루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32889
2014
Korean
이성 ; 정신 ; 인륜성 ; 비극 ; 인간의 법 ; 신의 법 ; 법적 상태 ; 법적 인격 ; Reason ; Spirit ; Ethical Order ; Tragedy ; Human law. God`s law ; legal status ; legal person
KCI등재
학술저널
25-50(2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헤겔 『정신현상학』의 Ⅳ. 정신 장의 첫 번째 부분인 A. 참다운 정신 절을 중심으로 인륜성과 법의 문제를 탐구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 장은 그리스의 인륜성을 다루고 ...
본 논문은 헤겔 『정신현상학』의 Ⅳ. 정신 장의 첫 번째 부분인 A. 참다운 정신 절을 중심으로 인륜성과 법의 문제를 탐구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 장은 그리스의 인륜성을 다루고 있으며, a. 인륜적 세계. b. 인륜적 행위. c. 법적 상태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륜성’의 개념은 근대 사회의 분열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실천적이고 방법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는데, 헤겔은 이 문제를 청년기로부터 시작해서 법철학을 집필할 당시까지 평생에 걸쳐 논구했다. 『정신현상학』에서 이 문제는 이 개념에 대한 헤겔의 이해의 과도기적 국면을 드러낸다. 여기서 인륜성은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한편으로 그것은 근대 이성의 한계와 관련해서 대안적 모델로 제시된 고대 그리스적 정신이다. 다른 한편, 이 고대적 인륜성은 그것의 직접적이고 실체적인 규정의 한계로 인해 붕괴된다. 이로 인해 고대적 인륜성의 재편이 이루어지면서, 로마적인 법적 상태와 법적 인격이 등장한다. 헤겔은 소포클레스의 비극『안티고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문제를 다룬다. 헤겔의 비극론은 비극의 정서적 효과에 관심 갖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과 달리 비극적인 것이 야기하는 구조적 충돌에 주목한다. 인간의 법과 신의 법으로 대비되는 이러한 갈등 구조는 선과 악의 대립이 아니라 그 모두가 선이면서도 일면성을 완고하게 고집하는 오성적 대립의 전형이다. 그리스의 인륜성은 이러한 일면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충돌하기 때문에 비극적으로 파국을 맞게 된다. 그리하여 새로운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로마의 보편적이고 형식적인 법의 이념이다. 아울러 그리스의 자유로운 보편적 개인은 이기적이고 사적인 개인으로 대체된다. 소포클레스의 비극 『안티고네』분석을 통해 제시된 ‘참다운 정신’ 장은 빼어난 미학적 분석이면서 동시에 그리스 정신과 로마 정신의 차이를 아름다운 인륜적 정신과 형식적인 법적 인격으로 형상화한 역사철학적 서술이기도 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eaning of The Ethical Order and Legal status of the chapter Ⅳ ‘true spirit’ in Hegel`s Phanomenologie des Geistes.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Hegel devised ‘the ethical virtue’ as a practi...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eaning of The Ethical Order and Legal status of the chapter Ⅳ ‘true spirit’ in Hegel`s Phanomenologie des Geistes.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Hegel devised ‘the ethical virtue’ as a practical and methodical concept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the modern society. He discuss the problem during his life from his youth. Understanding the Problem in PhdG shows his. In this work, The Ethical Order means two meanings. On the one hand, it is the old greek spirits suggested as the alternative model with regard to the limits of the modern Reason. On the other hand, the old greek Ethical Order collaps because of the limits of it`s immdiate and substantiv determinations. With it, it happens the reconstruction of the old Ethical Order and appeas the Roman legal status and legal persona. Hegel treats this problem through the analysis of Sophocles`s Tragedy Antigone. Unlike the Aritotelian theory of tragedy which interests on the emotional effect, Hegel`s theory centers on structual collision of the tragedical. The conflict is not between good and evil but between one-sided positions, signifying human law and god`s law, each of which embodies some good. It is typical of the rigid oppositon of the Understanding. Greek world has no method for overcoming its conflicting structure. It is the limitedness of that structure that brings about the collapse of the Greek ethical world. With it`s alternative, there appears in Rome the legal status which is universal and fomal. Roman persons substitutes the Greek citizen. The chapter ‘The True Spirit’ is not only the exccelent aesthetic analysis but also the histo-philosophical works describing the difference of the Greek ethical order and Roman legal status.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철민, "헤겔 비극론의 위대성과 한계" 한국헤겔학회 (19) : 19-68, 2006
2 Hegel, G. W. F., "헤겔 미학 2" 나남출판 1998
3 정대성, "헤겔" 그린비 2014
4 이종철, "행위하는 이성과 세계 ― 헤겔 [정신현상학] Ⅴ장 B에 대한 해석" 한국헤겔학회 (18) : 19-58, 2005
5 Hegel, G. W. F., "정신현상학 2" 한길사 2005
6 김준수, "자연법" 한길사 2004
7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왕, 안티고네" 문예출판사 2013
8 이종철, "예나 시기 헤겔의 ‘인륜성’에 관한 연구 - 예나 초기 저작들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8) : 457-492, 2009
9 Hegel, G. W. F., "역사철학강의" 동서 문화사 2008
10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1986
1 심철민, "헤겔 비극론의 위대성과 한계" 한국헤겔학회 (19) : 19-68, 2006
2 Hegel, G. W. F., "헤겔 미학 2" 나남출판 1998
3 정대성, "헤겔" 그린비 2014
4 이종철, "행위하는 이성과 세계 ― 헤겔 [정신현상학] Ⅴ장 B에 대한 해석" 한국헤겔학회 (18) : 19-58, 2005
5 Hegel, G. W. F., "정신현상학 2" 한길사 2005
6 김준수, "자연법" 한길사 2004
7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왕, 안티고네" 문예출판사 2013
8 이종철, "예나 시기 헤겔의 ‘인륜성’에 관한 연구 - 예나 초기 저작들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8) : 457-492, 2009
9 Hegel, G. W. F., "역사철학강의" 동서 문화사 2008
10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1986
11 임홍빈, "비극적 인식과 인륜성" 범한철학회 39 (39): 29-48, 2005
12 장영란, "그리스 비극과 철학에 나타난 자연법 사상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와 헤겔의 인륜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 : 2000
13 Pinkard, T., "Virtues, Morality, and Sittlichkeit" 7 (7): 1999
14 Pelczynski, Z. A., "The State and Civil Society" 1984
15 Westphal, "The Blackwell Guide to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A John Wiley & Sons, Ltd., Publication 2009
16 Hegel, G. W. F., "Suhrkamp-Taschenbuch Wissenschaft" 1973
17 Riedel, M., "Studien zu Hegels Rechtsphilosophie" Suhrkamp 1969
18 Hespe, F., "Sittlichkeit als konkrete Allgemeinheit : Interpretation zu Hegels Jenaer Philosophie des Geistes" Marburg Lahn 1987
19 Hegel, G. W. F., "Phänomenologie des Geistes, suhrkamp taschenbuch wissenschaft 8" 1973
20 Kuhlmann, W., "Moralität und Sittlichkeit" Suhrkamp 1986
21 Pelczynski, Z. A., "Hegel's Political Philosophy" 1971
22 Pippin, R.B, "Hegel on Ethics and Politics" Cambridge Univ. Press 2004
23 Stern, Robert, "Hegel and the Phenomenology of Spirit" Routledge Philosophy 2002
24 Jaeschke, W., "Hegel Handbuch Leben-Werk-Wirkung" Verlag, J.B. Metzler 2003
25 Hegel, G. W. F.,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oder Naturrecht und Staatswissenschaft im Grundrisse" 1821
26 Hegel, G. W. F., "Gesammelte Werke" Felix Meiner Verlag
27 W. Dudley, "Ethical life, morality, and the role of spirit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n Critical Guide" Cambiridge Univ Press 2008
28 Pinkard, T., "Critical Guide" Cambiridge Univ Press 2008
29 Cohen, J. L., "Civil society and political theory" The MIT Press 1992
30 Riedel, M., "Bürgerliche Gesellschaft und Staat" Luchterhand 1970
31 Hegel, G. W. F., "Bd. 4" 1968
2부 일반논문 : 우리 사회의 멜랑콜리: 자본주의적 멜랑콜리와 좌파 멜랑콜리
2부 일반논문 : 철학의 역사에서 언어의 위상변화와 “인문언어학”의 철학적 함의
3부 논문평 : 『헤겔 『논리학』<존재론> 에서의 “Werden”의 문제』,『동서철학연구』 제66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1 | 0.21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6 | 0.736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