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가정외(外) 아동의 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개의 대표적인 유형인 아동양육시설과 그룹홈의 아동들의 인적자본 수준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기본적인 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5429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가정외(外) 아동의 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개의 대표적인 유형인 아동양육시설과 그룹홈의 아동들의 인적자본 수준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기본적인 아...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가정외(外) 아동의 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개의 대표적인 유형인 아동양육시설과 그룹홈의 아동들의 인적자본 수준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아동양육시설과 그룹홈을 비교함으로써 가정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연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동양육시설은 학교나 기숙사와 같이 대규모 집단보호 시설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2004년 이후 도입된 그룹홈에서도 여전히 5~7명 정도의 요보호 아동들이 집단으로 생활하지만 그 규모가 시설에 비해 월등히 작고 실제 거주지도 일반 가정집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일반 가정과 유사한 생활환경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적자본 발달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레이븐, DAM 검사를 통해 인지적 능력을 측정하고 Big 5 인성, Rosenberg의 자아존중감으로 비인지적 능력을 측정한다. 또 실험경제학적 방법으로 시간선호도를 측정하여 인적자본 투자의 매개요인으로 시간선호도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