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IE SCOPUS KCI등재

      일차성 식도운동장애에서 신경성 산화질소-합성효소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연구 = The Study of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Gene Polymorphism in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일차성 식도운동장애에서 신경성 산화질소-합성효소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일차성 식도운동장애는 내인성 억제신경의 기능의 문제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억제신경에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로 NO 합성효소(NO synthase)에 의...

      목적: 일차성 식도운동장애는 내인성 억제신경의 기능의 문제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억제신경에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로 NO 합성효소(NO synthase)에 의해 합성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nNOS 유전자 다형성과 일차성 식도운동장애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체 168명(남자 76명, 여자 92명; 중앙 연령 49세) 중 36명의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를 포함한 일차성 식도운동장애 환자군 129명(식도이완불능증 25명, 미만성식도경련 6명, 호두까기 식도 37명, 비특이적 식도운동장애 17명, 고압성하부식도조임근 3명, 저압성하부식도조임근 5명)과 건강한 39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전자 다형성을 보였던 세 nNOS 유전자 SNP (rs374147, rs2682826, rs3782218)를 이용하여 위식도역류질환을 포함한 일차성 식도운동장애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nNOS의 유전자 다형성(rs374147, rs2682826, rs3782218)은 위식도역류질환을 포함한 일차성 식도운동장애군과 대조군 간에 유전자형, 대립유전자 빈도 분포 및 일배체형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nNOS 유전자 다형성은 일차성 식도운동장애의 병태생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PEMDs) are caused by different degrees of inhibitory dysfunction. Nitric oxide (NO) is a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NO production is regulated by NO synthase ...

      Background/Aims: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PEMDs) are caused by different degrees of inhibitory dysfunction. Nitric oxide (NO) is a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NO production is regulated by NO synthase (NOS) polymorphis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whether neuronal NOS (nNOS) gene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a susceptibility of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Methods: Total 168 persons (76 men and 92 women; median age 49 year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EMD group and control group. PEMD group was composed of 25 achalasia, 6 diffuse esophageal spasm, 37 nutcracker esophagus, 3 hypertonic 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 5 hypotonic LES, 17 nonspecific esophageal motility disorder and 36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The comparisons of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NOS gen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rs374147, rs2682826, and rs3782218) were made between PEMD and control group.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ele frequencies and genotype among the groups. Haplotypic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functional polymorphisms of neuronal NOS (nNOS) gene are not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8;14:108-1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