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옥탄가 변화에 따른 가솔린의 폭발한계 및 최소산소농도 측정 = The Measurement of the Explosion Limit and the Minimum Oxygen Concentration of Gasoline According to Variation in Octane Numb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98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솔린은 가정 및 차량, 선박, 산업용 에너지원으로 산업 전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매우 크다. 가솔린의 폭발위험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옥탄가에 따라 ...

      가솔린은 가정 및 차량, 선박, 산업용 에너지원으로 산업 전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매우 크다. 가솔린의 폭발위험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옥탄가에 따라 구분되는 PG, MG 및 RG를 시료로 하여 산소농도의 변화에 따른 폭발한계를 측정하였으며, 산소농도 21%인 공기 중의 폭발한계는 각각 1.5~10.9%, 1.4~8.1%, 1.3~7.6%를 구하였고, MOC를 측정한 결과 실험시료 모두 10.9%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험에 의한 폭발한계의 측정값이 현재 통용되는 가솔린의 MSDS에 제시된 1.2%~7.6% 보다 넓은 폭발한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실험에 의한 측정치가 가솔린을 사용하는 공정에 있어서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asoline is a widely used product as a source for energy in homes, the automotive industry, and for industrial power generation, and it is also a product with a high risk of fire and explosion.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risk for explosion for gaso...

      Gasoline is a widely used product as a source for energy in homes, the automotive industry, and for industrial power generation, and it is also a product with a high risk of fire and explosion.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risk for explosion for gasoline, PG, MG and RG, which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octane number, were used as test specimens to measure their explosion limit according changes in oxygen concentration. The explosion limit for 21% oxygen concentration in air were confirmed to be 1.5~10.9%, 1.4~8.1%, and 1.3~7.6%, respectively, and the MOC for each of the test sample were confirmed to be 10.9%. The explosion limit measured in the test performed in this study confirmed between a 1.2%~7.6% wider explosion limit for the currently accepted MSDS for gasoline, an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significant reference for preventing fires and explosions for process used gasoli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동명, "탄화수소 및 할로겐화탄화수소의 최소산소농도(MOC)의 예측" 한국화재소방학회 19 (19): 1-7, 2005

      2 박희재, "저속용 피스톤에 가해지는 오일의 속도분포와 정압분포 특성" 한국화학공학회 48 (48): 450-456, 2010

      3 여영구, "유틸리티 플랜트 모터/터빈 공정의 최적운전" 한국화학공학회 45 (45): 234-241, 2007

      4 하동명, "연소열과 화학양론계수를 이용한 에테르류의 폭발한계의 예측" 한국가스학회 15 (15): 44-50, 2011

      5 Choi, I. G., "The Measurement of Minimum Ignition Energy and Explosion Limit for Pine Tree Dust" 2 (2): 55-60, 1998

      6 Dong-Myeong Ha, "Prediction of Explosion Limits of Organic Acids Using Combustion Chemical Stoichiometric Coefficients and Heats of Combustion"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7 (27): 47-51, 2013

      7 Dong-Myeong Ha, "Prediction of Explosion Limits of Aldehydes Using Chemical Stoichiometric Coefficients and Heats of Combustion" The Korean Institute of Gas 19 (19): 5-11, 2015

      8 "MSDS"

      9 임우섭,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분진의 습도와 온도에대한 영향성 연구" 한국안전학회 19 (19): 65-69, 2004

      10 Won-Kil Kim, "Explosion Risk of 2-Ethylhexanoic Acid"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9 (29): 20-25, 2015

      1 하동명, "탄화수소 및 할로겐화탄화수소의 최소산소농도(MOC)의 예측" 한국화재소방학회 19 (19): 1-7, 2005

      2 박희재, "저속용 피스톤에 가해지는 오일의 속도분포와 정압분포 특성" 한국화학공학회 48 (48): 450-456, 2010

      3 여영구, "유틸리티 플랜트 모터/터빈 공정의 최적운전" 한국화학공학회 45 (45): 234-241, 2007

      4 하동명, "연소열과 화학양론계수를 이용한 에테르류의 폭발한계의 예측" 한국가스학회 15 (15): 44-50, 2011

      5 Choi, I. G., "The Measurement of Minimum Ignition Energy and Explosion Limit for Pine Tree Dust" 2 (2): 55-60, 1998

      6 Dong-Myeong Ha, "Prediction of Explosion Limits of Organic Acids Using Combustion Chemical Stoichiometric Coefficients and Heats of Combustion"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7 (27): 47-51, 2013

      7 Dong-Myeong Ha, "Prediction of Explosion Limits of Aldehydes Using Chemical Stoichiometric Coefficients and Heats of Combustion" The Korean Institute of Gas 19 (19): 5-11, 2015

      8 "MSDS"

      9 임우섭,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분진의 습도와 온도에대한 영향성 연구" 한국안전학회 19 (19): 65-69, 2004

      10 Won-Kil Kim, "Explosion Risk of 2-Ethylhexanoic Acid"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9 (29): 20-25, 2015

      11 Park, S. M., "Explosion Prevention and Inerting" 2 (2): 40-42, 2001

      12 Mizutani, T., "Decomposition Flame Propagation Properties of Ozone/Oxygen Mixtures" National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2001

      13 Lee, H. P., "Combustion Engineering" Hwasumok 256-258, 2015

      14 Meyer, E., "Chemistry of Hazardous Materials" Prentice-Hall 33-73, 1990

      15 Kim, Y. M., "A Study on the Fire and Explosion by the Small Ignition of Organic Solv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14

      16 Jang, W. S., "A Study on the Explosion Risk of LP Ga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06

      17 Kim, J. H., "A Study on the Explosion Risk of 2-Ethylhexanoic Aci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13

      18 Kim, T. G., "A Study on the Explosion Risk and Fire Transmission Situation of Propylene Ga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07

      19 Choi, J. W., "A Study on the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City Gas" 16 (16): 109-114, 2001

      20 Boo, T. S., "A Study on the Combustion Concentraion and Explosion Risk of P-Xylen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15

      21 Ha, D. M., "A Study on Minimum Oxygen Concentration (MOC) for Explosion Prevention" 2003 (2003): 236-241,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1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화학공학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K)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8-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Chem. Eng. Res.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 The Kore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5 0.49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