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파잎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Pow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65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powder (LLP). Moisture, crude ash,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of Loquat leaf powder were 10.25, 6.72, 69.54, 8.23, and 5.26%, respectively. The yield rates, turbidity, and total acidity of tofu increased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added LLP, whereas pH level decreased. The L- and a-values of samples decreased as the amount of LLP increased, whereas b-value increased. With regard to textural characteristics, LLP addition increased hard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as well as reduced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the most preferred tofu samples were the control and 0.3% LLP addition group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powder (LLP). Moisture, crude ash,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of Loquat leaf powder were 10.25, 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powder (LLP). Moisture, crude ash,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of Loquat leaf powder were 10.25, 6.72, 69.54, 8.23, and 5.26%, respectively. The yield rates, turbidity, and total acidity of tofu increased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added LLP, whereas pH level decreased. The L- and a-values of samples decreased as the amount of LLP increased, whereas b-value increased. With regard to textural characteristics, LLP addition increased hard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as well as reduced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the most preferred tofu samples were the control and 0.3% LLP addition grou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희, "홍어 분말 첨가 두부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231-237, 2009

      2 김미라, "허브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30-36, 2006

      3 김명희, "함초를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406-412, 2010

      4 김강성,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한국식품영양학회 19 (19): 22-27, 2006

      5 김성숙, "클로렐라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과 저장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6 (46): 12-15, 2003

      6 황인국, "청양고추 착즙액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999-1005, 2011

      7 안상희, "청국장 분말 첨가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258-265, 2008

      8 최선영,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43-50, 2008

      9 박복희, "연잎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4 (24): 315-320, 2009

      10 김상은, "알팔파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23-128, 2012

      1 김경희, "홍어 분말 첨가 두부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231-237, 2009

      2 김미라, "허브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30-36, 2006

      3 김명희, "함초를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406-412, 2010

      4 김강성,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한국식품영양학회 19 (19): 22-27, 2006

      5 김성숙, "클로렐라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과 저장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6 (46): 12-15, 2003

      6 황인국, "청양고추 착즙액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999-1005, 2011

      7 안상희, "청국장 분말 첨가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258-265, 2008

      8 최선영,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43-50, 2008

      9 박복희, "연잎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4 (24): 315-320, 2009

      10 김상은, "알팔파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23-128, 2012

      11 조희숙, "새우 분말 첨가가 두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743-749, 2009

      12 정유석, "비파엽(Eriobotrya japonica Lindl.)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977-982, 2009

      13 고진경,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ey) 착즙액 첨가 Curd Yoghurt의 관능성 및 저장성" 한국식품영양학회 18 (18): 192-199, 2005

      14 이경인, "비파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267-273, 2009

      15 박인덕, "비파 잎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6 (26): 709-716, 2011

      16 심기환, "비파 부위별 용매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97-101, 2002

      17 심기환, "비파 부위별 용매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항돌연변이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92-96, 2002

      18 공수현, "발아현미 첨가에 따른 국수의 제조 특성과 GABA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274-280, 2010

      19 정복미, "매생이 가루 첨가 두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691-698, 2008

      20 박복희, "노랑 파프리카즙 첨가가 두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439-444, 2008

      21 김기찬, "국산 장려콩으로 만든 두부의 Mineral, Oxalate 및 Phytate 함량과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986-991, 2010

      22 고진경, "국내산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ey)를 첨가한 stirred yoghurt의 제조" 한국식품영양학회 18 (18): 200-206, 2005

      23 엄효진, "건조온도에 따른 비파 잎의 생리활성 변화" 한국생약학회 40 (40): 178-183, 2009

      24 민영희, "강황 첨가 두부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2007

      25 Nazato N, "Triterpenes from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48 (48): 336-339, 1994

      26 Dwyer JT, "Tofu and soy drinks contain phytoestrogens" 94 (94): 769-743, 1994

      27 Hamada A, "The effect of Eriovotrya japonica seed extract on oxidative stress in adriamycin-induced nephropathy in rats" 27 (27): 1961-1964, 2004

      28 Choi HR, "Screening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herbs" 15 (15): 123-131, 2003

      29 Yokota J, "Scavenging of reactive oxygen species by Eriovotrya japonica seed extract" 29 (29): 467-471, 2006

      30 Jung GT, "Preparation and shelflife of soybean curd coagulated by fruit juice of schianadra chinensis ruprecht (omija) and prunus mume (maesil)" 32 (32): 1087-1092, 2000

      31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

      32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31-, 1980

      33 Bae YL, "Nutrition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5 (5): 57-63, 1998

      34 Lee CK, "Mechanism of antitumer effect of ursolic acid from Eriovotrya japonica" 23 (23): 206-210, 1991

      35 Bae YI,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tea processing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5 (5): 262-269, 1998

      36 Bae YI,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juice processing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5 (5): 270-274, 1998

      37 Tanaka K, "Hypoglycemic activity of Eriovotrya japonica seeds in type 2 diabetic rats and mice" 72 (72): 686-693, 2008

      38 Yokota J, "Gastroprotective activity of Eriovotrya japonica seed extract on experimentally induced gastric lesions in rats" 62 (62): 93-100, 2008

      39 Choi YO,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 of natural materials on the manufacturing of soybean curd" 7 (7): 256-261, 2000

      40 Park CK, "Effects of coagulant concentration and phytic acid addition on the contents of Ca and P and rheological property of soybena curd" 26 (26): 355-358, 1994

      41 Jeong CH, "Effect of Eriovotrya folium extract on glucokinase and hexokinase activities of alloxan-induced diabetes mellitus mice" 6 (6): 151-161, 1997

      42 Jung HA, "Antioxidant flavonoids and chlorogenic acid from the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22 (22): 213-218, 1994

      43 Whang TE, "Anticancer effect of Eriovotrya japonica Lindl. by specificity test with several cancer cell lines" 4 (4): 310-320, 1996

      44 Lee BY,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loquat (Eriovotrya japonica Lindl.) fruit" 28 (28): 428-432, 1996

      45 Shimizu M, "A new triterpene ester from Eriobotrya japonica" 44 (44): 2182-2191,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9 1.46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