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소비자의 가치관이 변화함에 따라 그들의 상품구매 성향이나 소비패턴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가치관의 변화는 라이프스타일은 물론 구매행동을 달리하게 함으로써 소비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854819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25-639(1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남성소비자의 가치관이 변화함에 따라 그들의 상품구매 성향이나 소비패턴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가치관의 변화는 라이프스타일은 물론 구매행동을 달리하게 함으로써 소비패...
남성소비자의 가치관이 변화함에 따라 그들의 상품구매 성향이나 소비패턴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가치관의 변화는 라이프스타일은 물론 구매행동을 달리하게 함으로써 소비패턴의 다양화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장신구는 패션, 그리고 이??미용에 대한 사람들의 급격한 관심의 증가로 인하여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장신구 시장은 여전히 여성소비자 중심적 성향이 강하며 시장 확대의 기회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들은 이에 대한 투자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장신구 기업들에게는 이러한 현실을 타개할 차별화 전략 및 새로운 마케팅 활동의 전개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남성장신구 시장 형성과 상품 개발에 대한 기초적 연구는 남성장신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촉매제(일종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통해 남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고 장신구를 구매하고자 하는 남성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소비행동의 기초가 될 수 있는 구매행동의 다양한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남성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에 관한 실증분석결과를 토대로 남성장신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등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men"s values of life tend to shift, their tendency regarding purchasing products and consuming is changing as well. As a result of the changes in value, it leads to not only affect the men’s life style but also create a various consuming patterns...
As men"s values of life tend to shift, their tendency regarding purchasing products and consuming is changing as well. As a result of the changes in value, it leads to not only affect the men’s life style but also create a various consuming patterns. Along with the recent evolution of marketing, emergence of foreign fashion brands, and increase of interest among the economy-leading generation that focuses on fashion and beauty, accessories have also become a new focal point of interest. However, a few disappointing points exists that, this new market has been only targeting women so far, and although this is new opportunity of expanding market share at this point, the local companies lack the investment for this market. Hence a new development that could solve these problems becomes necessary such as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new marketing activity. And for this matter, a new basic research that could focus on activating and revitalizing industry of men"s accessories might work as a catalyst (like priming water). Therefore, With the survey based on the research, we have researched the possible factors that could be the basis of consuming by asking male consumers who wish to purchase accessories, while categorizing their lifestyles. And with the results of analysis that focus on factors that could affect male consumers" shopping activities, we have try to suggest them as the fundamental data of product development that could revitalize men"s accessories indust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호, "한국 주얼리 산업의 콜레보레이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1
2 부정화, "패션주얼리 산업에 대한 마케팅 전략연구 : On-line과 Off-line 소비자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2003
3 이승희, "패션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점포와 무점포를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13 (13): 121-132, 2005
4 장진영, "외모관심도, 화장품 브랜드원산지 및 판촉유형에 따른 남성화장품 구매행동" 한국복식학회 57 (57): 160-171, 2007
5 고재윤, "와인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와인구매행동 차이연구: 중국 상해지역 와인소비자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5 (25): 521-539, 2013
6 김윤희, "영화관람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극장광고 효과 및 영화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2) : 267-299, 2012
7 이군희, "연구방법론의 이해" 북넷 2002
8 박주현,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관리행동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9 안혜민, "심리적·기능적 추구혜택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네일 서비스 구매행동 : 추구혜택 요인의 계절별 비교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2011
10 나순복, "스포츠센터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른 가입환경과 구매행동 분석" 단국대학교 2000
1 김민호, "한국 주얼리 산업의 콜레보레이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1
2 부정화, "패션주얼리 산업에 대한 마케팅 전략연구 : On-line과 Off-line 소비자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2003
3 이승희, "패션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점포와 무점포를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13 (13): 121-132, 2005
4 장진영, "외모관심도, 화장품 브랜드원산지 및 판촉유형에 따른 남성화장품 구매행동" 한국복식학회 57 (57): 160-171, 2007
5 고재윤, "와인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와인구매행동 차이연구: 중국 상해지역 와인소비자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5 (25): 521-539, 2013
6 김윤희, "영화관람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극장광고 효과 및 영화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2) : 267-299, 2012
7 이군희, "연구방법론의 이해" 북넷 2002
8 박주현,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관리행동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9 안혜민, "심리적·기능적 추구혜택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네일 서비스 구매행동 : 추구혜택 요인의 계절별 비교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2011
10 나순복, "스포츠센터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른 가입환경과 구매행동 분석" 단국대학교 2000
11 배무언, "소비자 행동론" 두남출판사 2005
12 박선애, "성인남성들의 외모성공지향에 따른 피부미용 및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2013
13 김은주, "미혼 직장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 행동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0
14 윤성원, "명품 주얼리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이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몰입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13
15 박기안, "마케팅" 무역경영사 2013
16 방선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토털 패션 코디네이션 인식과 패션상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11
17 최강옥,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골프용품 구매행동과 구매만족도 관계" 우석대학교 2004
18 정재훈,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30대 남성들의 패션명품브랜드 태도와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629-640, 2014
19 신주동, "대학생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장신구 착장" 한국생활과학회 17 (17): 723-732, 2008
20 김정실, "뉴실버 여성소비자의 지각연령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연구 : 라이프스타일과 쇼핑성향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2007
21 김국희, "남성의 추구이미지와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패션상품 구매행동" 경희대학 2009
22 송하영,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넥타이 문양디자인 선호" 한국감성과학회 11 (11): 489-500, 2008
23 이학식, "SPSS20. 0 매뉴얼" 집현재 2013
24 W. Lazer, "Marketing Management : A System Perspective" John Wiley and Sons , Inc. 483-, 1971
25 강혜경, "40 50대 이상 중년기 주부들간의 보석류 구매동기 및 구매성향 비교 고찰" 대한가정학회 41 (41): 257-272, 2003
26 이혜주, "20대 남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속성평가와 구매 및 사용 행동 차이 연구" 한국미용학회 17 (17): 233-244, 2011
27 정혜정, "2030대와 4050대 남성소비자들의 외모관리 기대가치가 남성정장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5 (35): 125-135, 2011
28 이가나,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소비가치 유형에 따른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 가방 구매행동" 한국의류산업학회 14 (14): 554-566, 2012
29 김진희, "20-30대 남성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가치 및 캐주얼웨어 구매행동" 한국의류산업학회 13 (13): 487-498, 2011
중세 스테인드그라스의 색과 나노입자의 화학적 조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지각된 건강□여가□온라인커뮤니티활동에 의한 친구□가족관계 향상이 긍정적 국가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 ![]() |
2019-01-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707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