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금연광고 분석을 통한 광고 메시지 탐색 연구: 헬스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이용한 국내 금연 TV광고 분석 = Exploratory Study of Advertising Messages in Anti-Smoking Advertisements: Assessment of Anti-Smoking Advertisements through Health Communication The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2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several theories which are well used in health communication are selected to explain Anti-Smoking TV ads. Some concepts are extracted form selected theories which are possible to apply to analyze Anti-Smoking Advertisements. In addition...

      In this study, several theories which are well used in health communication are selected to explain Anti-Smoking TV ads. Some concepts are extracted form selected theories which are possible to apply to analyze Anti-Smoking Advertisements. In addition, some factors from advertising expression techniques are included in the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danger of smoking such as death and diseases are frequently used in ads. Surprisingly the concepts from theories are not well used in real ads. Social norms are most used, and the severity of smoking is emphasized but not possibility or relevance and benefits of quitting. Instrument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are well used but not emotional support. Some practical suggestions which can be used in making ads a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헬스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이론이 실제로 금연 TV광고에 얼마나 반영되고 있는가의 문제에서 시작되었다. 헬스커뮤니케이션에서 이론들 중에서 금연광고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을...

      이 연구는 헬스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이론이 실제로 금연 TV광고에 얼마나 반영되고 있는가의 문제에서 시작되었다. 헬스커뮤니케이션에서 이론들 중에서 금연광고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을 선정하고, 선정된 이론의 핵심 개념들을 활용하여 국내 금연 TV광고의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광고 주제(콘셉트), 등장인물 등 광고 표현 기법들을 포함하여 광고 표현 내용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로부터 광고 제작에 사용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금연광고는 죽음, 질병 등 흡연의 위험을 주로 그 내용으로 하고 있었고, 일반인 대상의 광고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스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의 개념은 예상외로 많이 활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행위이론의 사회적 규범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고, 건강신념모델의 흡연 심각성은 특히 강조되었으나, 위험의 가능성, 금연의 혜택은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사회적 지원 이론의 도구적 지원/정보적 지원은 많이 활용되었으나, 주변인을 활용하는 감정적 지원은 활용되지 않았다. 부정적 롤모델이 주로 사용되었고, 긍정적 롤모델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질병의 심각성뿐만 아니라 질병의 가능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고, 금연의 혜택도 활용할만한 가치가 있다. 긍정적인 모델링과 함께 금연에 대한 감정적 지원도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도구적/정보적 지원은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도 있다. 광고 대상도 어린이, 청소년, 여성, 비흡연자 등으로 확대하는 전략도 고려할 만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규, "흡연 환경이 규범 소구 금연광고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규범적 행동의 초점 이론과 규범 현저성" 2 (2): 99-128, 2010

      2 박동진, "헬스커뮤니케이션의 역사, 정의, 과제" 1 (1): 33-48, 2009

      3 Corcoran, N, "헬스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전략" 한울 2009

      4 정의철, "헬스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 통계청, "사회조사 보고서" 2018

      6 양선이, "대학생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분석: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중소기업융합학회 7 (7): 205-213, 2017

      7 하진홍, "담뱃갑 경고 그림에 대한 정서적 반응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흡연 기간에 따른 공포, 혐오, 반응 효능, 죄책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22 (22): 101-124, 2018

      8 조형오, "금연캠페인 전개 과정에 따른 흡연유형 분포의 구조적 변화 및 금연광고에 대한 반응 고찰: 2005~2006년도 금연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8 (8): 232-266, 2006

      9 소현진, "금연공익광고의 메시지 유형 분석" 국제문화기술진흥원 4 (4): 89-94, 2018

      10 최원주, "금연 캠페인의 메시지 전략을 위한 탐색: 금연 광고에 대한 여성 수용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9) : 187-208, 2014

      1 이혜규, "흡연 환경이 규범 소구 금연광고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규범적 행동의 초점 이론과 규범 현저성" 2 (2): 99-128, 2010

      2 박동진, "헬스커뮤니케이션의 역사, 정의, 과제" 1 (1): 33-48, 2009

      3 Corcoran, N, "헬스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전략" 한울 2009

      4 정의철, "헬스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 통계청, "사회조사 보고서" 2018

      6 양선이, "대학생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분석: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중소기업융합학회 7 (7): 205-213, 2017

      7 하진홍, "담뱃갑 경고 그림에 대한 정서적 반응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흡연 기간에 따른 공포, 혐오, 반응 효능, 죄책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22 (22): 101-124, 2018

      8 조형오, "금연캠페인 전개 과정에 따른 흡연유형 분포의 구조적 변화 및 금연광고에 대한 반응 고찰: 2005~2006년도 금연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8 (8): 232-266, 2006

      9 소현진, "금연공익광고의 메시지 유형 분석" 국제문화기술진흥원 4 (4): 89-94, 2018

      10 최원주, "금연 캠페인의 메시지 전략을 위한 탐색: 금연 광고에 대한 여성 수용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9) : 187-208, 2014

      11 백혜진, "금연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공포 반응과 지각된 효과성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변화단계 모형의 적용" 한국PR학회 20 (20): 1-27, 2016

      12 홍은희, "금연 TV광고의 내용분석 연구 -한국과 미국의 차이에 기반한 건강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적용-" 한국콘텐츠학회 12 (12): 76-87, 2012

      13 김운한, "국내외 공익광고의 표현특성 분석 - 특이성과 허구성을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0 (0): 59-81, 2017

      14 양윤, "공포소구와 결합된 자기 책임성 정서와 자기 효능감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20 (20): 207-218, 2009

      15 전승우, "공포소구에서 공포와 위협, 효능감의 관계:담뱃갑 경고그림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7 (17): 645-664, 2016

      16 최유진,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 태도 및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PR학회 18 (18): 151-187, 2014

      17 김영욱, "공포 소구 및 흡연에 대한 감정이 금연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효능감과 낙인 인식의 조절 및 매개 효과 중심" 한국광고홍보학회 20 (20): 250-290, 2018

      18 신택수, "건강믿음모형(Health Belief Model)을 이용한 남성 흡연자의 금연에 대한 관심도를 규정하는 건강행동요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456-466, 2017

      19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Theory at a Glance: A guide for Health Promotion Practic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5

      20 Bandura, A., "Social cognitive theory: An agentive perspective" 52 : 1-26, 2001

      21 Schiavo, R., "Health Communication: From theory to practice" Jossey-Bass 2007

      22 Berry, D, "Health Communication Theory and Practice" Open University Press 2007

      23 Glanz, 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Wiley & Sons 2002

      24 Beaudoin, C., "Exploring Antismoking Ads: Appeals, Themes, and Consequences" 7 : 123-137, 2002

      25 Wright, C. B, "Communication in health-related online social support groups/communities:a review of research on predictors of participation, applications of social support theory, and health outcomes" 4 : 65-87, 2016

      26 Klein, R., "Attacking cigarette smoking gets us nowhere" 33 (33): 46-47, 1996

      27 Cohen, E., "Anti-Smoking Media Campaign Messages:Theory and Practice" 22 (22): 91-102,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