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새만금호 안팎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식물수문적 수역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270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공사 마무리 직후인 2006년 5월부터 11월까지 4회의 조사를 통해 방조제 안팎의 식 물플랑크톤 군집구조에 의한 식물수문적 수역특성을 연구하였다. 집괴분석 결과 육수역과 해수역으로 크게 양분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조사시기별로 조사정점간의 유사도는 다소간의 변동이 지속되었다. 특히 여름철에는 같은 해수역 임에도 불구하고 방조제를 경계로 내부수역 및 외부수역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식물수문적 수역 분리를 보여주었다. 물막이 공사 후 새만금호는 염분이 감소하고 수질환경이 변화되어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조성에 의한 식물수문특성이 시기별로 변화가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공사 마무리 직후인 2006년 5월부터 11월까지 4회의 조사를 통해 방조제 안팎의 식 물플랑크톤 군집구조에 의한 식물수문적 수역특성을 연구하였다. 집괴분석 결과 육수...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공사 마무리 직후인 2006년 5월부터 11월까지 4회의 조사를 통해 방조제 안팎의 식 물플랑크톤 군집구조에 의한 식물수문적 수역특성을 연구하였다. 집괴분석 결과 육수역과 해수역으로 크게 양분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조사시기별로 조사정점간의 유사도는 다소간의 변동이 지속되었다. 특히 여름철에는 같은 해수역 임에도 불구하고 방조제를 경계로 내부수역 및 외부수역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식물수문적 수역 분리를 보여주었다. 물막이 공사 후 새만금호는 염분이 감소하고 수질환경이 변화되어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조성에 의한 식물수문특성이 시기별로 변화가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phytohydr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aemangeum Reservoir from May to November 2006 directly after dike construction. As the cluster analyses, phytohydrographic regions were devided into fresh river water and seawater regions, and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sampling sites fluctuated temporarily. Distinctive phytohydrographic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dike in summer. After the dike construction, declining salinity and changing water quality have caused to change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phytohygrographic region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phytohydr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aemangeum Reservoir from May to November 2006 directly after dike construction. As the cluster analyses, phytohydrograp...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phytohydr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aemangeum Reservoir from May to November 2006 directly after dike construction. As the cluster analyses, phytohydrographic regions were devided into fresh river water and seawater regions, and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sampling sites fluctuated temporarily. Distinctive phytohydrographic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dike in summer. After the dike construction, declining salinity and changing water quality have caused to change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phytohygrographic reg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재형, "한국동식물도감 제 34권 식물편(해양식물플랑크톤)" 교육부 1994

      2 정준,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1993

      3 최윤, "새만금호 유어기 돌가자미(Kareius bicololaratus)의 성장과 서식환경" 한국환경생물학회 27 (27): 1-5, 2009

      4 서승원, "새만금호 관리수위 유지를 위한 수문 운영방안모의" 한국해양학회 11 (11): 133-144, 2006

      5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사업단환경영향평가보고서" 2006

      6 한국농촌공사,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사업단 환경영향평가보고서" 2005

      7 길현종, "새만금의 해산 연체동물상" 한국환경생물학회 24 (24): 19-28, 2006

      8 김창수, "새만금 연안역에서 HF radar에 의해 관측된 조하주기표층해류의 변화" 한국해양학회 13 (13): 56-66, 2008

      9 이태원,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완공 후인 2006-2007년 새만금호어류 종조성의 변화" 한국해양학회 12 (12): 191-199, 2007

      10 김창수, "새만금 4호 방조제 완성 전후 HF 레이다로 관측된 표층 M2 조류의 변화" 11 (11): 37-48,

      1 심재형, "한국동식물도감 제 34권 식물편(해양식물플랑크톤)" 교육부 1994

      2 정준,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1993

      3 최윤, "새만금호 유어기 돌가자미(Kareius bicololaratus)의 성장과 서식환경" 한국환경생물학회 27 (27): 1-5, 2009

      4 서승원, "새만금호 관리수위 유지를 위한 수문 운영방안모의" 한국해양학회 11 (11): 133-144, 2006

      5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사업단환경영향평가보고서" 2006

      6 한국농촌공사,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사업단 환경영향평가보고서" 2005

      7 길현종, "새만금의 해산 연체동물상" 한국환경생물학회 24 (24): 19-28, 2006

      8 김창수, "새만금 연안역에서 HF radar에 의해 관측된 조하주기표층해류의 변화" 한국해양학회 13 (13): 56-66, 2008

      9 이태원,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완공 후인 2006-2007년 새만금호어류 종조성의 변화" 한국해양학회 12 (12): 191-199, 2007

      10 김창수, "새만금 4호 방조제 완성 전후 HF 레이다로 관측된 표층 M2 조류의 변화" 11 (11): 37-48,

      11 수자원연구소, "댐저수지의 조류 사진집"

      12 J. C. Davis,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in geology" John Wiley& Sons 1973

      13 J. Throndsen, "Preservation and storage in "Phytoplankton manual" ed., A. Sournia, UNESCO"

      14 I. Yamaji, "Illusatrations of the marine plankton of Japan" Hoikusha Publ. Co. Ltd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