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발달장애라는 용어가 특수교육, 의학, 심리학 등 여러 학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일치된 견해가 없는 실정이다. 즉 현재 발달장애 관련 연구들과 특수교육 관련 저서들...
국내에서 발달장애라는 용어가 특수교육, 의학, 심리학 등 여러 학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일치된 견해가 없는 실정이다. 즉 현재 발달장애 관련 연구들과 특수교육 관련 저서들을 살펴보면, 발달장애의 개념이 무엇이고 발달장애아는 누구를 지칭하는지에 대한 분명하고 일관적인 견해가 부족하고, 또 발달장애 범주를 발달장애의 원인을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한정하고 감각장애를 제외한 중증인 장애만을 포함시키는 협의적인 의미로 받아들이는 연구들이 있는 반면, 현재의 장애명칭과 장애조건을 모두 포함시키는 광의적인 의미로 받아들이는 연구와 저서들이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아의 이해와 효과적인 치료교육은 물론 장애복지를 위한 법적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발달장애의 개념을 정리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발달장애아동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계속해서 성장하는 발달도상에 있으므로 아동이 보이는 문제나 장애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의학적, 심리학적, 교육학적, 사회학적 및 발달적 측면 등을 고려하는 초학문적인 팀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 중 심리학적 평가는 상당한 임상적 기술과 민감성을 요하는 과정이므로 임상가는 특정한 절차와 다양한 검사 도구를 실시하고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세심하게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에 대한 국내외 법적, 사전적 및 의학적 개념을 살펴보고 난 후, 아동 발달영역을 평가하기 위한 면접, 관찰 및 심리검사를 토대로 하는 심리학적 평가 절차를 알아보고, 현재 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발달장애의 진단·평가에서의 현실적 문제와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