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발달장애의 진단 · 평가의 과제 = The Issues and Tasks in Diagnosis and Evalua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Psychological Standpoi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91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ve been discussed controversial issues about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pathology and major diagnostic categories. Unfortunately, however, there is no clear and coherent and operational definition ab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reviewed the concept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vering several areas(laws, dictionaries and medical science, and examined the procedures of psychological evalu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so there were discussed the current issues and tasks in diagnosis and evalua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psychological standpoint including suggestions for a comprehensive conceptual definition, necessity of distinction among the related terms, and development of various psychological tests, cultivation and training of certificated specialists.
      번역하기

      There have been discussed controversial issues about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pathology and major diagnostic categories. Unfortunately, however, there is no clear and coherent and operational definition about ...

      There have been discussed controversial issues about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pathology and major diagnostic categories. Unfortunately, however, there is no clear and coherent and operational definition ab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reviewed the concept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vering several areas(laws, dictionaries and medical science, and examined the procedures of psychological evalu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so there were discussed the current issues and tasks in diagnosis and evalua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psychological standpoint including suggestions for a comprehensive conceptual definition, necessity of distinction among the related terms, and development of various psychological tests, cultivation and training of certificated specialis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에서 발달장애라는 용어가 특수교육, 의학, 심리학 등 여러 학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일치된 견해가 없는 실정이다. 즉 현재 발달장애 관련 연구들과 특수교육 관련 저서들을 살펴보면, 발달장애의 개념이 무엇이고 발달장애아는 누구를 지칭하는지에 대한 분명하고 일관적인 견해가 부족하고, 또 발달장애 범주를 발달장애의 원인을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한정하고 감각장애를 제외한 중증인 장애만을 포함시키는 협의적인 의미로 받아들이는 연구들이 있는 반면, 현재의 장애명칭과 장애조건을 모두 포함시키는 광의적인 의미로 받아들이는 연구와 저서들이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아의 이해와 효과적인 치료교육은 물론 장애복지를 위한 법적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발달장애의 개념을 정리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발달장애아동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계속해서 성장하는 발달도상에 있으므로 아동이 보이는 문제나 장애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의학적, 심리학적, 교육학적, 사회학적 및 발달적 측면 등을 고려하는 초학문적인 팀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 중 심리학적 평가는 상당한 임상적 기술과 민감성을 요하는 과정이므로 임상가는 특정한 절차와 다양한 검사 도구를 실시하고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세심하게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에 대한 국내외 법적, 사전적 및 의학적 개념을 살펴보고 난 후, 아동 발달영역을 평가하기 위한 면접, 관찰 및 심리검사를 토대로 하는 심리학적 평가 절차를 알아보고, 현재 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발달장애의 진단·평가에서의 현실적 문제와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국내에서 발달장애라는 용어가 특수교육, 의학, 심리학 등 여러 학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일치된 견해가 없는 실정이다. 즉 현재 발달장애 관련 연구들과 특수교육 관련 저서들...

      국내에서 발달장애라는 용어가 특수교육, 의학, 심리학 등 여러 학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일치된 견해가 없는 실정이다. 즉 현재 발달장애 관련 연구들과 특수교육 관련 저서들을 살펴보면, 발달장애의 개념이 무엇이고 발달장애아는 누구를 지칭하는지에 대한 분명하고 일관적인 견해가 부족하고, 또 발달장애 범주를 발달장애의 원인을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한정하고 감각장애를 제외한 중증인 장애만을 포함시키는 협의적인 의미로 받아들이는 연구들이 있는 반면, 현재의 장애명칭과 장애조건을 모두 포함시키는 광의적인 의미로 받아들이는 연구와 저서들이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아의 이해와 효과적인 치료교육은 물론 장애복지를 위한 법적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발달장애의 개념을 정리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발달장애아동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계속해서 성장하는 발달도상에 있으므로 아동이 보이는 문제나 장애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의학적, 심리학적, 교육학적, 사회학적 및 발달적 측면 등을 고려하는 초학문적인 팀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 중 심리학적 평가는 상당한 임상적 기술과 민감성을 요하는 과정이므로 임상가는 특정한 절차와 다양한 검사 도구를 실시하고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세심하게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에 대한 국내외 법적, 사전적 및 의학적 개념을 살펴보고 난 후, 아동 발달영역을 평가하기 위한 면접, 관찰 및 심리검사를 토대로 하는 심리학적 평가 절차를 알아보고, 현재 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발달장애의 진단·평가에서의 현실적 문제와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1.17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