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淸陰 金尙憲의「羣玉所記」에 대한 篆刻美學的 硏究 = A Study on Aesthetic Seal Engraving in Gunoksogi(羣玉所記) by Kim Sang-h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289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淸陰 金尙憲의 「淸陰集」, 「羣玉所記」에 기록된 내용과 그의 전각을 기본으로 하여 儒家의 관점에서 미학적 사유와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아울러 조선조시대에 실용이나 기술을 위주로 한 工人전각과 다른 미학적 성격을 갖춘 文士의 전각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났는가를 규명함으로써 전각의 미학적 가치를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청음은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조선조 최대의 국난기에 정치·사상·문학 등에서 독보적인 역할과 업적을 남겼을 뿐 아니라 전각에도 커다란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淸西派의 영수로서 斥和의 상징이며, 道學 위주의 학풍과 바른 인품을 함양해 節義를 지켰다. 文人士大夫인 그가 당시 기술의 말단으로 취급되었던 전각을 직접 창작하고 또 그것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가 전각을 거침없이 창작하고 견해를 밝힌 것은 明·淸代 印風의 예술적 영향도 있었지만, 이보다는 전각을 도의한 방면, 즉 道文一致의 형태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淸陰集」「羣玉所記」에는 그가 새긴 전각의 형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전각의 미학적 사유와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군옥소기」에 나타난 전각미학적 특징은 크게 方圓規矩의 整合美·文以 載道的 品格美·儒家의 美學的 氣象란 측면으로 나타나 있다. 이 특징들은 청음이 전각에 도학자로서의 모습을 미학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유가의 공리성을 밝히고 있다. 「군옥소기」에 기록된 청음의 전각미학적 견해는 한국 문인전각의 단초를 열었으며, 전각예술의 독자성을 학문적으로 정립시켰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그가 남긴 전각에 대한 미학적 업적은 후대 문인들에게 영향을 주어 문인전각의 맥을 잇게 하였다는 점에서 역사적 공헌과 미학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淸陰 金尙憲의 「淸陰集」, 「羣玉所記」에 기록된 내용과 그의 전각을 기본으로 하여 儒家의 관점에서 미학적 사유와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아울러 조선조시대에 실용이나 기...

      본 연구는 淸陰 金尙憲의 「淸陰集」, 「羣玉所記」에 기록된 내용과 그의 전각을 기본으로 하여 儒家의 관점에서 미학적 사유와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아울러 조선조시대에 실용이나 기술을 위주로 한 工人전각과 다른 미학적 성격을 갖춘 文士의 전각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났는가를 규명함으로써 전각의 미학적 가치를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청음은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조선조 최대의 국난기에 정치·사상·문학 등에서 독보적인 역할과 업적을 남겼을 뿐 아니라 전각에도 커다란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淸西派의 영수로서 斥和의 상징이며, 道學 위주의 학풍과 바른 인품을 함양해 節義를 지켰다. 文人士大夫인 그가 당시 기술의 말단으로 취급되었던 전각을 직접 창작하고 또 그것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가 전각을 거침없이 창작하고 견해를 밝힌 것은 明·淸代 印風의 예술적 영향도 있었지만, 이보다는 전각을 도의한 방면, 즉 道文一致의 형태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淸陰集」「羣玉所記」에는 그가 새긴 전각의 형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전각의 미학적 사유와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군옥소기」에 나타난 전각미학적 특징은 크게 方圓規矩의 整合美·文以 載道的 品格美·儒家의 美學的 氣象란 측면으로 나타나 있다. 이 특징들은 청음이 전각에 도학자로서의 모습을 미학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유가의 공리성을 밝히고 있다. 「군옥소기」에 기록된 청음의 전각미학적 견해는 한국 문인전각의 단초를 열었으며, 전각예술의 독자성을 학문적으로 정립시켰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그가 남긴 전각에 대한 미학적 업적은 후대 문인들에게 영향을 주어 문인전각의 맥을 잇게 하였다는 점에서 역사적 공헌과 미학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st significant change in history of seal engraving in Korea is to appear literati-seal engravers with artistic, aesthetic personality, different from artisan engravers served functional purpose around Japanese Invasion of the JoseonDynasty in 1592. Among them, Kim Sang-heon(Cheong-eum) left behind remarkable achievements and was devoted to his role in the field of politics, thought, literature, and especially seal engraving during the greatest national crisis. He was a prominent figure of the scholars who strongly argued against making peace with Qing dynasty and loyal to Neo-Confucianists’ principle developing a noble character. Although he was a literary nobleman, he wrote essays on seal engraving treated as a low-level craft and created seals. Because he considered seal engraving as a moral culture, not a handcraft, and was influenced by the trend of seal engraving of Ming and Qing, he could freely create seals and stated his view on them. Explaining forms of seal engraving he created, Kim revealed his aesthetic thoughts and distinct features of seal engraving in the collection of writings and the essay on seal engraving named Gunoksogi. The aesthetic features of seal engraving in the essay branches into three, beauty of conformity in square and circle, beauty of dignity in the view of seal engraving included with the way(Tao), and Confucianistic spirit of literati. These features tell us that he expressed East-Asian traditional custom as the aesthetic, made seal engraving contain ethical utility, and experienced a pleasure in those. Kim’s aesthetic view recorded in the essay became a lead for literati-seal engraving and academically founded artistic seal engraving’s identity. His aesthetic achievements influenced on later literati and made them continue the legacy of literati-seal engraving. Here are his historical devotion and aesthetic worth.
      번역하기

      The most significant change in history of seal engraving in Korea is to appear literati-seal engravers with artistic, aesthetic personality, different from artisan engravers served functional purpose around Japanese Invasion of the JoseonDynasty in 15...

      The most significant change in history of seal engraving in Korea is to appear literati-seal engravers with artistic, aesthetic personality, different from artisan engravers served functional purpose around Japanese Invasion of the JoseonDynasty in 1592. Among them, Kim Sang-heon(Cheong-eum) left behind remarkable achievements and was devoted to his role in the field of politics, thought, literature, and especially seal engraving during the greatest national crisis. He was a prominent figure of the scholars who strongly argued against making peace with Qing dynasty and loyal to Neo-Confucianists’ principle developing a noble character. Although he was a literary nobleman, he wrote essays on seal engraving treated as a low-level craft and created seals. Because he considered seal engraving as a moral culture, not a handcraft, and was influenced by the trend of seal engraving of Ming and Qing, he could freely create seals and stated his view on them. Explaining forms of seal engraving he created, Kim revealed his aesthetic thoughts and distinct features of seal engraving in the collection of writings and the essay on seal engraving named Gunoksogi. The aesthetic features of seal engraving in the essay branches into three, beauty of conformity in square and circle, beauty of dignity in the view of seal engraving included with the way(Tao), and Confucianistic spirit of literati. These features tell us that he expressed East-Asian traditional custom as the aesthetic, made seal engraving contain ethical utility, and experienced a pleasure in those. Kim’s aesthetic view recorded in the essay became a lead for literati-seal engraving and academically founded artistic seal engraving’s identity. His aesthetic achievements influenced on later literati and made them continue the legacy of literati-seal engraving. Here are his historical devotion and aesthetic wor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緖論
      • Ⅱ. 淸陰의 篆刻美學的 思惟
      • Ⅲ.「羣玉所記」에 나타난 篆刻美學的 特徵
      • Ⅳ. 結論
      • <논문요약>
      • Ⅰ. 緖論
      • Ⅱ. 淸陰의 篆刻美學的 思惟
      • Ⅲ.「羣玉所記」에 나타난 篆刻美學的 特徵
      • Ⅳ. 結論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韓天衡, "歷代印學論文選 上ㆍ下" 西泠印社出版 1999

      2 金尙憲, "청음집" 한국고전번역원 2008

      3 曺玟煥,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예문서원 1997

      4 박철상,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장(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한국한문교육학회 (35) : 215-243, 2010

      5 성인근, "조선시대 印章 연구" 韓國學中央硏究院 2007

      6 황갑연, "유가철학에 있어서 文과 道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주자의 理氣論을 통해서 본 文과 道의 관계를 중심으로" 범한철학회 36 (36): 181-210, 2005

      7 金應鶴, "서예미학과 예술정신" 古輪 2006

      8 宋河璟, "서예미학과 신서예정신" 다운샘 2003

      9 국립민속박물관, "韓國의 印章" 국립민속박물관 1987

      10 許愼, "說文解字" 天工書局印行出版社 1981

      1 韓天衡, "歷代印學論文選 上ㆍ下" 西泠印社出版 1999

      2 金尙憲, "청음집" 한국고전번역원 2008

      3 曺玟煥,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예문서원 1997

      4 박철상,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장(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한국한문교육학회 (35) : 215-243, 2010

      5 성인근, "조선시대 印章 연구" 韓國學中央硏究院 2007

      6 황갑연, "유가철학에 있어서 文과 道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주자의 理氣論을 통해서 본 文과 道의 관계를 중심으로" 범한철학회 36 (36): 181-210, 2005

      7 金應鶴, "서예미학과 예술정신" 古輪 2006

      8 宋河璟, "서예미학과 신서예정신" 다운샘 2003

      9 국립민속박물관, "韓國의 印章" 국립민속박물관 1987

      10 許愼, "說文解字" 天工書局印行出版社 1981

      11 김현숙, "篆刻의 方圓에 관한 周易美學的 硏究" 동양철학연구회 (60) : 339-368, 2009

      12 "篆刻字典 上ㆍ下" 東方書店 1986

      13 羅竹風, "漢語大詞典" 中國漢語大詞典出版社 1988

      14 "淸陰集" 민족문화추진회 1991

      15 황만기, "淸陰 金尙憲 詩文學에 나타난 義理精神" 성균관대학교 2010

      16 池斗煥, "淸陰 金尙憲의 生涯와 思想"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4 : 2001

      17 吳世昌, "槿域印藪" 大韓民國國會圖書館 1968

      18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DB"

      19 張志熏, "朝鮮朝後期 書藝美學思想 硏究" 成均館大學校 2007

      20 "文淵閣四庫全書" 해외 E-Book

      21 金賢淑, "文人篆刻의 美學的 硏究" 성균관대학교 2010

      22 "古典文字字典" 東方書店 1990

      23 成複旺, "中國美學範疇辭典" 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95

      24 李澤厚, "中國美學史"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25 陶明君, "中國書論事典" 湖南美術出版社 2001

      26 黃惇 著, "中國古代印論史" 上海書畵出版社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 0.63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