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가시간, 얼마나 움직이십니까? : 여가시간에 이루어지는 성인의 신체활동 수준 분석 = Physical Activities at Leisure Time: Application of MET(Metabolic Equivalent Task) Sco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606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st-frequently reported leisure activities by appling activity intensity of Metabolic Equivalent Task (MET) measure. Also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adults who actu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st-frequently reported leisure activities by appling activity intensity of Metabolic Equivalent Task (MET) measure. Also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adults who actually practice moderate or vigorous activities in daily lives. From the original sample of 2014 KTUS, this study employed 44,111 diarists, age range of 20-79. We have excluded those who were students and had an illness episodes on diary day. Results show that, on any given day, Korean adults report to perform sedentary and light activities predominantly. Only about 40% of respondents report practice moderate activities as daily routine; the greatest prevalence for reported moderate activities was walking or strolling. Overall average of 4.9% of respondents on weekday and 7.8% and 9.5% on weekends, report any vigorous intensity activity they have performe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for moderate and vigorous activity revealed that women, adults with lower SES, those who were employed and young adults were least active in their daily lives than their counterparts. Also the result display that care burden, long labor hours, and feelings of fatigue also play a role as an obstacles of practicing moderate or vigorous activity habi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여가시간 동안 수행하는 신체활동의 수준(degree of activity)을 파악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2014생활시간조사원자료 가운데 20세 이상 성인이 작성한 44,11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여가시간 동안 수행하는 신체활동의 수준(degree of activity)을 파악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2014생활시간조사원자료 가운데 20세 이상 성인이 작성한 44,111개 일지를 활용하였다. 자료에 나타난 각각의 여가활동은 MET(Metabolic Equivalent Task) 점수를 참고로 격렬한 활동, 가벼운 활동, 일상적 활동 그리고 앉아 있는 행위라는 네 개의 신체활동 유형 중 하나로 분류하였다. 각 신체활동 유형별로 행위자비율과 행위시간을 산출하였고 이에 대한 기술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그리고 교차대응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 성인은 여가시간에 대부분 앉아 있거나, 이동행위와 같은 일상적 활동을 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가 일지를 쓴 당일 가벼운 활동을 수행한 행위자비율은 평일 30%, 주말에는 40% 수준이었고 격렬한 활동의 행위자비율은 주중 4.9%,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각각 7.8%와 9.5% 수준이었다. 둘째, 가벼운 활동과 격렬한 활동의 행위자 여부는 성별, 연령, 교육과 소득수준, 취업여부, 돌봄상황 그리고 신체적 피로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벼운 활동의 경우 평일모델에서 드러난 집단별 차이가 주말모델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격렬한 활동에서는 평일에 비해 주말에 집단별 수행율의 차이가 더 벌어졌다. 셋째, 신체활동과 유급노동시간 그리고 가사노동시간의 관련성을 교차대응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시간제약이 있을 때, 가벼운 활동이나 격렬한 활동은 위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은정, "흡연, 음주, 신체활동을 사용한 한국 성인의 건강행태 군집의 분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 (27): 44-66, 2007

      2 이재현, "현대사회에서의 텔레비전 의존과 생활양식의 사사화" 136-155, 1993

      3 남은영,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6 (46): 1-33, 2012

      4 김민규, "한국형 여가중독 개념화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8 (38): 1-16, 2014

      5 김복수,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대중매체 이용시간의 변화 : 2004년 「생활시간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185-218, 2011

      6 김경식, "한국인의 여가활동 제약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4 (34): 205-215, 2010

      7 심윤종, "한국 직장인의 여가생활" 35 (35): 229-266, 1996

      8 김문겸, "한국 중년층의 새로운 여가양식: 마라톤"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 499-532, 2008

      9 김의철,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28, 2006

      10 박일혁, "한국 도시 성인의 신체활동량 측정 질문지 개발"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0 (20): 400-416, 2009

      1 강은정, "흡연, 음주, 신체활동을 사용한 한국 성인의 건강행태 군집의 분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 (27): 44-66, 2007

      2 이재현, "현대사회에서의 텔레비전 의존과 생활양식의 사사화" 136-155, 1993

      3 남은영,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6 (46): 1-33, 2012

      4 김민규, "한국형 여가중독 개념화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8 (38): 1-16, 2014

      5 김복수,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대중매체 이용시간의 변화 : 2004년 「생활시간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185-218, 2011

      6 김경식, "한국인의 여가활동 제약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4 (34): 205-215, 2010

      7 심윤종, "한국 직장인의 여가생활" 35 (35): 229-266, 1996

      8 김문겸, "한국 중년층의 새로운 여가양식: 마라톤"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 499-532, 2008

      9 김의철,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28, 2006

      10 박일혁, "한국 도시 성인의 신체활동량 측정 질문지 개발"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0 (20): 400-416, 2009

      11 배상열,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55-266, 2010

      12 강재성, "초등학생 일상생활의 신체활동량 연구" 8 (8): 59-72, 2001

      13 강선영, "중년여성의 삶과 신체형 여가활동 의미탐색" 한국여성체육학회 24 (24): 97-106, 2010

      14 엄인숙, "중년 여성의 우울과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활동유형" 16 (16): 149-167, 2006

      15 세계일보, "주말에 몰아서 운동하면 골병난다"

      16 김기갑, "주5일 근무자와 주6일근무자의 여가활동실태 및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 25 : 49-68, 2003

      17 류재숙, "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직장인의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 한국관광연구학회 19 (19): 31-47, 2005

      18 이상일, "주 5일 근무 직장인의 여가활동 참여유형별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7 : 153-168, 2004

      19 박승미, "재가 노인의 신체활동 예측요인: 도시노인과 시골노인의 차이" 한국간호과학회 40 (40): 191-201, 2010

      20 윤인진, "여가활동의 사회집단별 차이와 불평등" 사회과학연구소 13 (13): 162-202, 2005

      21 윤인진, "여가활동의 변화와 경제활동이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1999년과 200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의 비교" 여가문화학회 7 (7): 89-111, 2009

      22 한승엽,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2 (22): 323-339, 2007

      23 김용희, "여가 강박 개념화 연구" 여가문화학회 8 (8): 59-82, 2010

      24 윤군애, "성인 여성의 비만위험도와 TV 시청시간 및 신체활동 수준과의 관계" 한국영양학회 36 (36): 769-776, 2003

      25 김은지, "성별 가사노동시간 측정:시간일지와 서베이문항 방식 비교" 한국조사연구학회 10 (10): 1-21, 2009

      26 남은영, "사회계층 변수에 따른 여가 격차 :여가 유형과 여가 및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1 (31): 57-84, 2008

      27 박연환, "복지관 이용 노인의 신체활동과 수면" 한국간호과학회 37 (37): 5-13, 2007

      28 이성철, "노인들의 사회체육활동 참여가 여가몰입, 여가권태, 그리고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12 : 59-76, 2000

      29 차승은, "기혼 취업자의 주말여가패턴: 2009 생활시간자료를 중심으로" 여가문화학회 9 (9): 61-90, 2012

      30 김소영, "국제신체활동 설문도구로 측정한 신체활동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 (28): 15-25, 2011

      31 Kraaykamp, G., "Working status and leisure : An analysis of the trade-off between solitary and social time" 18 (18): 264-283, 2009

      32 Samdal, O., "Trends in vigorous physical activity and TV watching of adolescents from 1986 to 2002 in seven European Countries" 17 (17): 242-248, 2006

      33 Tudor-Locke, C., "Time spent in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s on the working day : The American Time Use Survey" 53 (53): 1382-1387, 2011

      34 Jones, D. A., "Moderate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7 : 285-289, 1998

      35 Russell, L. B., "Health-related activities in American time use survey" 45 (45): 680-685, 2007

      36 Davis, M. A., "Health behaviours and survival among middle-aged and older men and women in the NHANESI epidemiological follow-up study" 23 : 369-376, 1994

      37 Mattingly, M J., "Gender difference in quantity and quality of free time : The U. S. experience" 81 (81): 999-1030, 2003

      38 Tudor-Locke, C., "Frequently reported activities by intensity for US adults: The American Time Use Survey" 39 (39): e13-e20, 2010

      39 Lee, I. M., "Exercise intensity and longevity in men : The Harvard Alumni Health Study" 273 (273): 1179-1184, 1995

      40 Ainsworth, B. E.,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An update of activity codes and MET intensities" 32 (32): S498-S504, 2000

      41 Ainsworth, B. E.,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 Classification of energy costs of human physical activities" 25 (25): 71-80, 1993

      42 Gershuny, J., "Changing Tim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3 H. L. Burdette, "A National Study of Neighborhood Safety, Outdoor Play, Television Viewing, and Obesity in Preschool Children"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116 (116): 657-662, 2005

      44 임경숙, "50세 이상 중년 및 노인의 건강행위 요인에 따른 영양위험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592-605, 2007

      45 통계청, "2014생활시간자료원자료"

      46 보건복지부, "2013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 지침서"

      47 김종순, "20-40대 직장여성의 일과 여가 그리고 행복의 관계" 여가문화학회 14 (14): 67-85,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5 1.25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5 1.3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