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예비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재활의 효과를 규명하고 재활 만족도와 나이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 18명이 연구에 참여했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64732
2019
-
300
KCI등재
학술저널
1-13(1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예비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재활의 효과를 규명하고 재활 만족도와 나이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 18명이 연구에 참여했고, ...
본 예비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재활의 효과를 규명하고 재활 만족도와 나이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 18명이 연구에 참여했고, 두 군은 실험군 12명과 대조군 6명으로 할당되었다. 두 군은 하루 30분, 주 5회, 4주간의 중재를 받았다. 실험군은 전산화 인지재활을 수행하였으며, 대조군은 전통적 인지재활을 수행하였다. 두 군은 재활치료 일정에 따라 4주간의 전통적인 인지재활을 수행하였다. 측정은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Lowenstein 작업치료 인지평가를 실시하였다. 인지재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각상사 만족척도를 이용하였다. 만족도 측정 영역은 전반적인 만족도, 치료 효과, 흥미, 재이용 의사를 측정하였다. 두 군은 중재 전과 후로 인지기능 총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의 더 많은 하위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중재 후, 두 군 간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군에서 노인은 중년에 비해 전산화 인지재활의 전반적 만족도와 흥미가 유의하게 낮았다. 전산화 인지재활은 인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노인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부합하는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ilo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patients after they had each experienced an acute stroke and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rehabilitation satisfaction and age. Eighteen patients...
The aim of this pilo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patients after they had each experienced an acute stroke and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rehabilitation satisfaction and age. Eighteen patients who had each experienced an acute strok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assigned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n = 12) and control group (n = 6).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with each group for 30 minutes per day, fiv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raditional cognitive rehabilitation. In addition, both groups engaged in traditional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four weeks according to an established schedule. The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test (LOTCA) was performed to measure cognitive function. The Visual Analog Satisfaction Scale (VASS) was used to measure satisfaction with cognitive rehabilitation—specifically, overall satisfaction, therapeutic effects, interest, and intention to reuse. After the interventions, total cognitive function scores for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scores before the intervention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more sub-items of cognitive fun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overall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among elderly participants when compared to middle-aged participants.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However,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must be developed to mee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lderly stroke pati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미, "한국형 컴퓨터 인지프로그램 CoTras가 뇌졸중 환자의 기억력과 뇌파에 미치는 효과: 단일대상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22 (22): 61-76, 2014
2 문종훈, "테블릿 pc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및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219-228, 2017
3 김정석, "중고령 장애인의 우울 영향요인 연구 : 중년기와 고령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54) : 77-96, 2017
4 김신균, "전산화인지치료와 고유수용성 감각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 8 (8): 505-512, 2013
5 김재섭, "재활요양병원의 재활군 환자의 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 10 (10): 61-73, 2016
6 함민주, "워크북 프로그램이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 7 (7): 91-103, 2016
7 문종훈,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인지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 작업기억 및 치료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 7 (7): 1-16, 2016
8 이 형, "맞춤전정재활운동의 효과, 순응도와 만족도: 단일 병원 경험" 대한평형의학회 18 (18): 14-18, 2019
9 김수현, "노화에 대한 기대수준이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37 (37): 932-940, 2007
10 Katz, D. I., "nitive rehabilitation: the evidence, funding and case for advocacy in brain injury" Brain Injury Association of America 2006
1 김정미, "한국형 컴퓨터 인지프로그램 CoTras가 뇌졸중 환자의 기억력과 뇌파에 미치는 효과: 단일대상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22 (22): 61-76, 2014
2 문종훈, "테블릿 pc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및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219-228, 2017
3 김정석, "중고령 장애인의 우울 영향요인 연구 : 중년기와 고령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54) : 77-96, 2017
4 김신균, "전산화인지치료와 고유수용성 감각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 8 (8): 505-512, 2013
5 김재섭, "재활요양병원의 재활군 환자의 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 10 (10): 61-73, 2016
6 함민주, "워크북 프로그램이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 7 (7): 91-103, 2016
7 문종훈,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인지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 작업기억 및 치료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 7 (7): 1-16, 2016
8 이 형, "맞춤전정재활운동의 효과, 순응도와 만족도: 단일 병원 경험" 대한평형의학회 18 (18): 14-18, 2019
9 김수현, "노화에 대한 기대수준이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37 (37): 932-940, 2007
10 Katz, D. I., "nitive rehabilitation: the evidence, funding and case for advocacy in brain injury" Brain Injury Association of America 2006
11 Shin, S. H., "The effects of a computer-assisted cognition training program(RehaCom®)in stroke patients" 1 (1): 181-189, 2008
12 Chen, S. H. A.,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11 (11): 197-210, 1997
13 Faul, F.,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41 (41): 1149-1160, 2009
14 Korea, Statistic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Statistical Annual Report"
15 Allen, C. K., "Occupational therapy for psychiatric diseases :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cognitive disabilities" Little Brown & Company 1985
16 Radomski, J. P., "Neural network-based recognition of oligosaccharide 1H-NMR spectra" 1 (1): 217-218, 1994
17 Katz, N.,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battery for brain-injured patients : reliability and validity" 43 (43): 184-192, 1989
18 Laver, K., "Is the Nintendo Wii Fit really acceptable to older people? : a discrete choice experiment" 11 (11): 64-, 2011
19 Thrift, A. G., "Is stroke incidence in low-to middle-income countries driven by economics?" 7 (7): 307-308, 2012
20 Jee Hyoung Kim, "How to Do Random Allocation (Randomization)" 대한정형외과학회 6 (6): 103-109, 2014
21 Al Snih, S., "Hand grip strength and incident ADL disability in elderly Mexican Americans over a seven-year period" 16 (16): 481-486, 2004
22 Cha, Y. J., "Effect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CBCR)for people with strok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32 (32): 359-368, 2013
23 Singer, J., "Determination of the minimal clin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a patient visual analog satisfaction scale" 5 (5): 1007-1011, 1998
24 Lopez-Espuela, F.,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after 6 months, from a comprehensive stroke unit : a longitudinal study" 17 (17): 461-468, 2015
25 Madureira, S., "Dementia and cognitive impairment three months after stroke" 8 (8): 621-627, 2001
26 Mok, V. C. T., "Cognitive impairment and functional outcome after stroke associated with small vessel disease" 75 (75): 560-566, 2004
27 Rajan, K. B., "Association of cognitive functioning, incident stroke,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45 (45): 2563-2567, 2014
어머니 식사지도와 유아 식행동의 관계에서 유아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한 아동의 기질 유형에 따른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차이: 부모와 교사 평가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영유아기 부모가 인식하는 창의성교육에서의 부모 역할: 은유분석을 통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0-07-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지발달지원학회 -> 인지발달중재학회영문명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 Mediation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4 | 0.9 | 1.298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