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텅 빈 정신? 벨로리와 카라바조의 ‘자연주의’ = Empty Mind? Bellori and Caravaggio’s Natur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267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ook, Le vite de’ pittori, scultori e architetti moderni, written by the Italian art theoretician Giovan Pietro Bellori (1603-1686) and published in 1672, contains a biography of the Italian baroque painter 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 (1571-1610). The author Bellori explained Caravaggio’s life and works with the focus on his method of painting, the so called naturalism. This paper will show the art historical fact that Bellori’s description of the painter’s naturalism is quite different from Caravaggio’s real work practices. For this purpose, Bellori’s art theoretical essay in the 1672 book, L’Idea del pittore, dello scultore e dell’architetto was also studied as a reference. According to Bellori, Caravaggio was an ignorant and unintelligent painter incapable of producing an art work unless he saw posed models in front of his eyes. He pointed out that Caravaggio’s art was short of decorum, an art theoretical term which means appropriateness or suitability.
      However, Caravaggio studied antique sculptures and Renaissance art works and was ingenious enough to create a new composition. For example, Caravaggio’s painting <The Supper at Emmaus> in the National Gallery London has a composition created based on art traditions. Bellori, who regarded the idea concept as an important norm, criticized that the saints in that painting look like peasants because of their humble costumes. Bellori did not understand Caravaggio’s conception. The looks of the saints were based on the biblical texts which describe that all the saints belong to the low social class. Bellori’s studies of Caravaggio don’t correspond with the research results so far coming from the modern art history. This paper intends to persuasively and concretely show this discrepancy.
      번역하기

      The book, Le vite de’ pittori, scultori e architetti moderni, written by the Italian art theoretician Giovan Pietro Bellori (1603-1686) and published in 1672, contains a biography of the Italian baroque painter 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 (157...

      The book, Le vite de’ pittori, scultori e architetti moderni, written by the Italian art theoretician Giovan Pietro Bellori (1603-1686) and published in 1672, contains a biography of the Italian baroque painter 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 (1571-1610). The author Bellori explained Caravaggio’s life and works with the focus on his method of painting, the so called naturalism. This paper will show the art historical fact that Bellori’s description of the painter’s naturalism is quite different from Caravaggio’s real work practices. For this purpose, Bellori’s art theoretical essay in the 1672 book, L’Idea del pittore, dello scultore e dell’architetto was also studied as a reference. According to Bellori, Caravaggio was an ignorant and unintelligent painter incapable of producing an art work unless he saw posed models in front of his eyes. He pointed out that Caravaggio’s art was short of decorum, an art theoretical term which means appropriateness or suitability.
      However, Caravaggio studied antique sculptures and Renaissance art works and was ingenious enough to create a new composition. For example, Caravaggio’s painting <The Supper at Emmaus> in the National Gallery London has a composition created based on art traditions. Bellori, who regarded the idea concept as an important norm, criticized that the saints in that painting look like peasants because of their humble costumes. Bellori did not understand Caravaggio’s conception. The looks of the saints were based on the biblical texts which describe that all the saints belong to the low social class. Bellori’s studies of Caravaggio don’t correspond with the research results so far coming from the modern art history. This paper intends to persuasively and concretely show this discrepan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7세기 이탈리아의 미술이론가 조반 피에트로 벨로리(Giovan Pietro Bellori, 1603-1686)의 책 현대의 화가들, 조각가들 그리고 건축가들의 생애 Le vite de’ pittori, scultori e architetti moderni(1672년 출판)에는 17세기 초의 이탈리아 화가미켈란젤로 메리지 다 카라바조(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 1571-1610)의 전기문이 실려 있다. 저자 벨로리는 전기문에서 카라바조의 생애와 작품들을 설명하며흔히 자연주의라 불리는 카라바조의 회화방법에 주목했다. 본 논문은 벨로리가 전기에서 서술한 자연주의적 회화방법이 카라바조의 실제 작업방식과 다르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려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1672년의 책에 함께 실려 있는 벨로리의 글 「화가, 조각가 그리고 건축가의 이데아 L’Idea del pittore, dello scultore e dell’architetto」도 참고했다. 벨로리에 따르면, 카라바조는 모델이 눈앞에서 포즈를 취하지 않으면 그림을 창조해내지 못할 만큼 지적인 창안력이 부족한 화가이다. 이 맥락에서 벨로리는 카라바조의 회화에는 데코룸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실제로 카라바조는 고대의 조각을 연구했고 그림전통을 참고해 새로운 구도를 만들어낼 줄 알았던 지적인 화가였다. 예를 들어, 런던(London)의 내셔널 갤러리(The National Gallery)에 소장되어 있는 카라바조의 유화 <엠마오의 저녁식사 The Supper at Emmaus>는 그림전통에 근거해 창안된 구도를 보여준다. 벨로리는 이 작품에 등장하는 성인들이 농부처럼 보인다며 의상이 너무 자연주의적으로 묘사되어 데코룸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이 지점에서 벨로리는 카라바조의 지적 구상을 이해하지 못했는데, 카라바조가 성인들의 외모를 농부처럼 묘사한 방식은 성인들이 모두 낮은 사회계층에속한 인물들이었다는 성경 원문의 설정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벨로리의 카라바조 연구는 현대의 미술사학이 카라바조의 회화에 관해 수행해온 연구의 결과들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 불일치와 불일치의 원인을 설득력 있고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본논문의 연구목표이다.
      번역하기

      17세기 이탈리아의 미술이론가 조반 피에트로 벨로리(Giovan Pietro Bellori, 1603-1686)의 책 현대의 화가들, 조각가들 그리고 건축가들의 생애 Le vite de’ pittori, scultori e architetti moderni(1672년 출...

      17세기 이탈리아의 미술이론가 조반 피에트로 벨로리(Giovan Pietro Bellori, 1603-1686)의 책 현대의 화가들, 조각가들 그리고 건축가들의 생애 Le vite de’ pittori, scultori e architetti moderni(1672년 출판)에는 17세기 초의 이탈리아 화가미켈란젤로 메리지 다 카라바조(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 1571-1610)의 전기문이 실려 있다. 저자 벨로리는 전기문에서 카라바조의 생애와 작품들을 설명하며흔히 자연주의라 불리는 카라바조의 회화방법에 주목했다. 본 논문은 벨로리가 전기에서 서술한 자연주의적 회화방법이 카라바조의 실제 작업방식과 다르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려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1672년의 책에 함께 실려 있는 벨로리의 글 「화가, 조각가 그리고 건축가의 이데아 L’Idea del pittore, dello scultore e dell’architetto」도 참고했다. 벨로리에 따르면, 카라바조는 모델이 눈앞에서 포즈를 취하지 않으면 그림을 창조해내지 못할 만큼 지적인 창안력이 부족한 화가이다. 이 맥락에서 벨로리는 카라바조의 회화에는 데코룸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실제로 카라바조는 고대의 조각을 연구했고 그림전통을 참고해 새로운 구도를 만들어낼 줄 알았던 지적인 화가였다. 예를 들어, 런던(London)의 내셔널 갤러리(The National Gallery)에 소장되어 있는 카라바조의 유화 <엠마오의 저녁식사 The Supper at Emmaus>는 그림전통에 근거해 창안된 구도를 보여준다. 벨로리는 이 작품에 등장하는 성인들이 농부처럼 보인다며 의상이 너무 자연주의적으로 묘사되어 데코룸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이 지점에서 벨로리는 카라바조의 지적 구상을 이해하지 못했는데, 카라바조가 성인들의 외모를 농부처럼 묘사한 방식은 성인들이 모두 낮은 사회계층에속한 인물들이었다는 성경 원문의 설정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벨로리의 카라바조 연구는 현대의 미술사학이 카라바조의 회화에 관해 수행해온 연구의 결과들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 불일치와 불일치의 원인을 설득력 있고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본논문의 연구목표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르조 바사리, "르네상스 미술가 평전 6" 한길사 2019

      2 Oy-Mara, Elisabeth, "“Giovan Pietro Beloris Idea,” Giovan Pietro Belori, Die Ide des Malers, des Bildhauers und des Architekten" Walstein Verlag 115-185, 2018

      3 Belori, Giovan Pietro, "The Lives of the Modern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4 Car, Dawson, "The Final Years" Electa Napoli 98-99, 2005

      5 Rosen, Valeska von, "Ter Brughen und die religiöse Bildsprache in den Niederlanden" Walstein Verlag 2015

      6 Rosen, Valeska von, "Sacred Posesions. Colecting Italian Religious Art, 150-190" The Gety Research Instiute 39-54, 2011

      7 Kroschewski, Nevenka, "Neue Aspekte zu Caravagio" Scaneg Verlag 2002

      8 Schnitzer, Claudia, "Grundbegrife der Kunstwisenschaft" Reclam 336-339, 2018

      9 Gelshorn, Julia, "Grundbegrife der Kunstwisenschaft" Reclam 247-250, 2018

      10 Weststeijn, Thijs, "Grundbegrife der Kunstwisenschaft" Reclam 88-91, 2018

      1 조르조 바사리, "르네상스 미술가 평전 6" 한길사 2019

      2 Oy-Mara, Elisabeth, "“Giovan Pietro Beloris Idea,” Giovan Pietro Belori, Die Ide des Malers, des Bildhauers und des Architekten" Walstein Verlag 115-185, 2018

      3 Belori, Giovan Pietro, "The Lives of the Modern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4 Car, Dawson, "The Final Years" Electa Napoli 98-99, 2005

      5 Rosen, Valeska von, "Ter Brughen und die religiöse Bildsprache in den Niederlanden" Walstein Verlag 2015

      6 Rosen, Valeska von, "Sacred Posesions. Colecting Italian Religious Art, 150-190" The Gety Research Instiute 39-54, 2011

      7 Kroschewski, Nevenka, "Neue Aspekte zu Caravagio" Scaneg Verlag 2002

      8 Schnitzer, Claudia, "Grundbegrife der Kunstwisenschaft" Reclam 336-339, 2018

      9 Gelshorn, Julia, "Grundbegrife der Kunstwisenschaft" Reclam 247-250, 2018

      10 Weststeijn, Thijs, "Grundbegrife der Kunstwisenschaft" Reclam 88-91, 2018

      11 Oy-Mara, Elisabeth, "Giovan Pietro Belori, Die Ide des Malers, des Bildhauers und des Architekten" Walstein Verlag 1-27, 2018

      12 Rosen, Valeska von, "Giovan Pietro Belori, Das Leben des 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io" Walstein Verlag 81-115, 2018

      13 Vasari, Giorgio, "Einführung in die Künste der Architektur, Bildhauerei und Malerei" Verlag Klaus Wagenbach 2012

      14 Lorini, Victoria, "Eine Einführung in die Lebensbeschreibungen berühmter Künstler" Verlag Klaus Wagenbach 227-230, 2010

      15 Lorini, Victoria, "Eine Einführung in die Lebensbeschreibungen berühmter Künstler" Verlag Klaus Wagenbach 246-250, 2010

      16 Feser, Sabine, "Eine Einführung in die Lebensbeschreibungen berühmter Künstler" Verlag Klaus Wagenbach 25-27, 2010

      17 Feser, Sabine, "Eine Einführung in die Lebensbeschreibungen berühmter Künstler" Verlag Klaus Wagenbach 213-217, 2010

      18 Kris, Ernst, "Ein geschichtlicher Versuch" Suhrkamp 2014

      19 Panofsky, Erwin, "Ein Beitrag zur Begrifsgeschichte der älteren Kunstheorie" Philo Fine Arts 51-301, 2008

      20 Belori, Giovan Pietro, "Die Ide des Malers, des Bildhauers und des Architekten" Walstein Verlag 2018

      21 Schütze, Sebastian, "Das volständige Werk" Taschen 2015

      22 Belori, Giovan Pietro, "Das Leben des 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io" Walstein Verlag 2018

      23 Ebert-Schiferer, Sybile, "Caravagio. Sehen – Staunen – Glauben. Der Maler und sein Werk" C. H. Beck 2012

      24 Rosen, Valeska von, "Caravagio. Originale und Kopien im Spiegel der Forschung" Hatje Cantz 62-72, 2006

      25 Leinkauf, Thomas, "Begriflichkeit, Konzepte, Definitonen. Schreiben über Kunst und ihre Medien in Giovan Pietro Beloris Viten und der Kunstliteratur der Frühen Neuzeit" Harasowitz 47-75, 2014

      26 Krems, Eva-Betina, "50 Künstleranekdoten von Apeles bis Picaso" C. H. Beck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 0.83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