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학과 미술사학의 상호 연관성 – 이탈리아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Interrelationship between Area Studies and History of Art - in the case of Italian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267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links among Area Studies, History of Art and Italian Studies and analyzes the question of how trans-disciplinary research is possibly defined in these disciplines. My approach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similarity and diversity in the history of disciplines.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Alterity, notwithstanding the different questions and limits of researches, is characteristics central to these disciplines and is a common topic. Alterity and identity are two inseparable sides of the same coin because the Other exists relative to the Self.
      There is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Area Studies and History of Art. Area Studies look at large-scale social processes, such as social stability and change.
      Furthermore it focus on historical and social identity and direction of change. In this process it needs to analyze the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social groups. One of social medium, for example, is Art. On the other hands History of Art looks at micro level approach interpreting the works of Art and intention of artist. It requests the comprehension of social context on the way, and that’s why Area Studies are useful for Art History. Nonetheless, notably it share common interests, structurally and methodologically, it’s because of interdependence on each other’s for giving evidences. And to conclude, these disciplines are mutually useful for developing researches.
      번역하기

      This research examines links among Area Studies, History of Art and Italian Studies and analyzes the question of how trans-disciplinary research is possibly defined in these disciplines. My approach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similarity and diversi...

      This research examines links among Area Studies, History of Art and Italian Studies and analyzes the question of how trans-disciplinary research is possibly defined in these disciplines. My approach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similarity and diversity in the history of disciplines.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Alterity, notwithstanding the different questions and limits of researches, is characteristics central to these disciplines and is a common topic. Alterity and identity are two inseparable sides of the same coin because the Other exists relative to the Self.
      There is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Area Studies and History of Art. Area Studies look at large-scale social processes, such as social stability and change.
      Furthermore it focus on historical and social identity and direction of change. In this process it needs to analyze the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social groups. One of social medium, for example, is Art. On the other hands History of Art looks at micro level approach interpreting the works of Art and intention of artist. It requests the comprehension of social context on the way, and that’s why Area Studies are useful for Art History. Nonetheless, notably it share common interests, structurally and methodologically, it’s because of interdependence on each other’s for giving evidences. And to conclude, these disciplines are mutually useful for developing research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학, 미술사, 이탈리아 학 사이의 접점을 검토하며, 이 분야들의 교차학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학문의 역사가 지닌 유사성을 검토하였으며 타자성의 문제를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타자성의 문제는 정체성의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지역학과 미술사에서 공유되고 있다. 특히 타자성과 정체성은 동전의 양면처럼 다뤄진다. 왜냐하면 타자는 주체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기는 해도 두 분야는서로 다른 학문적 지향점과 방법론을 지니고 있다. 지역학은 거시적 관점에서 사회 구성원의 관계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역사적, 사회적 정체성과 변화의 방향성을 다룬다.
      이 과정에서 사회 그룹들 간의 소통 매체를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미술과 같은 매체도분석 대상에 포함된다. 반면 미술사는 미시적 관점에서 미술품과 예술가의 의도를 해석하기 위한 미시적 문제를 다룬다. 이 작업은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문화지도처럼 지역학 역시 미술사에 필요한 정보와 이를 바라보는 관점을 생산한다. 두 분야의 학문적 지향점과 방법론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분야는 데이터의 검증을 위해서 구조적으로 상호의존적 특징이 있고 각 연구 분야를 심화시켜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역학, 미술사, 이탈리아 학 사이의 접점을 검토하며, 이 분야들의 교차학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학문의 역사가 지닌 유사성을 검...

      본 연구는 지역학, 미술사, 이탈리아 학 사이의 접점을 검토하며, 이 분야들의 교차학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학문의 역사가 지닌 유사성을 검토하였으며 타자성의 문제를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타자성의 문제는 정체성의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지역학과 미술사에서 공유되고 있다. 특히 타자성과 정체성은 동전의 양면처럼 다뤄진다. 왜냐하면 타자는 주체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기는 해도 두 분야는서로 다른 학문적 지향점과 방법론을 지니고 있다. 지역학은 거시적 관점에서 사회 구성원의 관계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역사적, 사회적 정체성과 변화의 방향성을 다룬다.
      이 과정에서 사회 그룹들 간의 소통 매체를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미술과 같은 매체도분석 대상에 포함된다. 반면 미술사는 미시적 관점에서 미술품과 예술가의 의도를 해석하기 위한 미시적 문제를 다룬다. 이 작업은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문화지도처럼 지역학 역시 미술사에 필요한 정보와 이를 바라보는 관점을 생산한다. 두 분야의 학문적 지향점과 방법론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분야는 데이터의 검증을 위해서 구조적으로 상호의존적 특징이 있고 각 연구 분야를 심화시켜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탈리아어과"

      2 최열, "한국근대미술평론사" 열화당 2011

      3 "일본 동경대학교 이탈리아-지중해 연구 학과"

      4 "이탈리아학을 위한 미국협회"

      5 "이탈리아학 연구자"

      6 "이탈리아 통계청 연간보고서 2018"

      7 "이탈리아 문화 분야 정책 보고서"

      8 "소아스 대학교"

      9 "북경외국어대학교 이탈리아학과"

      10 "근대 이탈리아 연구"

      1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탈리아어과"

      2 최열, "한국근대미술평론사" 열화당 2011

      3 "일본 동경대학교 이탈리아-지중해 연구 학과"

      4 "이탈리아학을 위한 미국협회"

      5 "이탈리아학 연구자"

      6 "이탈리아 통계청 연간보고서 2018"

      7 "이탈리아 문화 분야 정책 보고서"

      8 "소아스 대학교"

      9 "북경외국어대학교 이탈리아학과"

      10 "근대 이탈리아 연구"

      11 Rydel, Robert W., "World of Fairs: The Century of Progres Expositons" Univ. Chicago Press 1993

      12 Albers, Manuel B., "The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human geography" Elsevier 116-121, 2009

      13 Setis, Salvatore, "The Future of the ‘Calsical’" Polity Press 2006

      14 Burke, Peter, "The Circulation of Historical and Politcal Knowledge betwen Britain and the Netherlands" LIT 160-180, 2013

      15 Derichs, Claudia, "Shifting Epistemologies in Area Studies: From Space to Scale" 4 : 2015

      16 Piantoni, Giana, "Roma 1911" De Luca Editore 1980

      17 Ludovico Nocentini, "Rendiconti dela Reale Academia dei Lincei, Clase di scienze morali" 5 (5): 1896

      18 Schäfer, Wolf, "Reconfiguring Area Studies for the Global Age" 22 : 2015

      19 Fero, Ermano, "Parma negli Ani, società civile e religiosa" Centro Studi Confortiani Saveriani 2014

      20 Cumings, Bruce, "Paralax Visions: Making Sense of American-East Asian Relations" Duke University Press 1999

      21 Baxandal, Michael, "Painting and experience infitenth century Italy: a primer in the social history of pictorial style"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22 Lévi-Straus, Claude, "Le Regard éloigné, trans. Joachim Neugroschel and Phoebe Hos" Basic Books 1964

      23 IsIAO, "Istiuto Italiano per L’Africa e l’Oriente" IsIAO 2005

      24 Pineli, Orieta Rosi, "Il Secolo dela ragione e dele rivoluzioni" Utet 2000

      25 Catabianchi, Pietro, "Il Museo etnografico cinese" 10 (10): 1913

      26 Bosaglia, Rosana, "Gli orientalisti italiani: Cento ani di esotismo" Crafts & Hobbies 1998

      27 Burke, Peter, "From Cultural History to Histories of Cultures" 1 : 1998

      28 Schneider, Pia K., "Educating in Paradise, Fifty Years of Growth in Study Abroad in Italy"

      29 Lévi-Straus, Claude, "Da vicino e da lontano. Discutendo con Claude Lévi- Straus" Rizzoli 1988

      30 "Building critcal awarenes of cultural maping: a workshop faciltation guide" UNESCO

      31 Castelnuovo, Enrico, "Arte, Industria, Rivoluzioni, Temi di storia sociale del’arte" Einaudi 1985

      32 Malinowski, Bronislaw, "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c" Fundacja nowoczesna Polska 2015

      33 Luden, David, "Area Studie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2000

      34 최병진,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유럽과 이탈리아의 회화에 나타난 타자성의 재현"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44) : 231-257,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 0.83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