靺鞨7部의 출현은 勿吉을 포함하여 高句麗가 주변 여러 집단을 일곱 개의 地域單位로 구분하여 인식한 것과 관련이 있다. 渤海時代의 말갈은 고구려 멸망 전후 말갈 7부가 지역집단으로서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68046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3-72(30쪽)
1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靺鞨7部의 출현은 勿吉을 포함하여 高句麗가 주변 여러 집단을 일곱 개의 地域單位로 구분하여 인식한 것과 관련이 있다. 渤海時代의 말갈은 고구려 멸망 전후 말갈 7부가 지역집단으로서의...
靺鞨7部의 출현은 勿吉을 포함하여 高句麗가 주변 여러 집단을 일곱 개의 地域單位로 구분하여 인식한 것과 관련이 있다. 渤海時代의 말갈은 고구려 멸망 전후 말갈 7부가 지역집단으로서의 성격을 점차 상실해가며 다시 재편된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말갈은 점차 발해라는 국가테두리 안에 편입되어 발해민이 되었다. 이들 중 말갈로서의 정체성을 계속 유지하며 활동했던 집단에는 鐵利, 拂涅, 越喜, 黑水, 虞婁部등이 있다.
발해는 振國(震國) 초기부터 靺鞨諸部와 연합을 이루며, 唐에 대항하여 성장하였다. 이들의 관계를 짐작할 수 있는 것이 713년 당이 大祚榮을 渤海郡王에 冊封하기 위해 崔??을‘宣勞靺??使’로 파견한 사실이다. 이때 당은 거란과 돌궐을 견제하기 위해 진국 중심의 연합세력인 말갈제부를 함께 끌어들이려고, 崔??을‘冊封使’가 아닌‘宣勞靺??使’로 파견했다. 발해는 이러한 세력재편과 관련하여 8세기 중엽까지 당에 의해 靺鞨, 東藩靺鞨, 渤海靺鞨이라고 불려졌다. 공교롭게도 철리ㆍ불열ㆍ월희의 당 조공 단절과 함께 渤海靺鞨이라는 표현이 사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증명된다. 이후 발해는 흑수 및 말갈제부의 대외활동을 철저히 통제해 나가면서 점차적으로 발해로 통합해 나갔다. 결국 740년과 741년 이후에는 철리ㆍ불열ㆍ월희의, 752년 이후에는 흑수의 對唐조공을 완전히 차단하면서 복속을 일단락 시키게 된다.
文王代에 말갈제부에 대한 복속이 일단락되면서, 발해는 上京遷都후 발해내지 뿐 아니라 복속지역 전역에 걸쳐 지방제도를 일원화시켜 나갔다. 늦어도 9세기 초가 되면 5京15府62州100여개의 縣으로 정비된다. 이러한 지방제도의 재편은 말갈집단에 대한 편제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말갈에 대한 간접지배를 직접지배로 전환하면서 對日교역에 참여할 수 있는 首領層을 65개 정도의 집단으로 재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정한 集團徙民과 말갈자체의 분화가 동시에 이뤄졌다. 9세기말 이후 新羅및 後唐과 교섭했던 黑水國과 寶露國등의 활동은 발해 남쪽 변경지역으로 이주하였던 집단들의 활동으로 이해된다. 발해 후기에 새롭게 등장한 말갈세력으로는 達??과 女眞을 들 수 있다. 달단과 여진은 본래 흑수말갈로 발해에 役屬되었다가 奚와 契丹의 공격을 받고 흩어져 하나는 여진이, 하나는 달단이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분화는 집단 이주와 함께 흑수말갈 역시 지역집단으로서의 성격을 완전히 상실해 갔음을 보여준다.
말갈 7부의 출현이 고구려의 지역집단 구분인식과 함께 출발했다는 점에서, 고구려멸망 후부터 발해 시기에 걸쳐 말갈의 해체와 재편성에 따른 지역 집단적 성격의 상실은, 말갈이라는 명칭이 사라지게 된 계기가 된다. 이후 압록강 북쪽에 살던 여진이 거란에 의해 東北諸種族을 대표하는 이름으로 인식되면서, 여진으로 대체되었다. 발해와 말갈 관계의 최종 향방을 보자면, 발해의 말갈지배는 그 시기가 짧았기 때문에, 사회발전이 고르지 못한 세력들 간에 각자의 정체성의 차이를 완전히 극복시키지 못했다. 이것은 발해 멸망 이후 渤海遺民과 女眞으로 구분되어 인식되는 원인이 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내현, "열국시대의 한반도 말갈" (3) : 1995
2 김택민, "역주 당육전" 신서원 2003
3 김동우, "발해의 지방통치체제와 수령" (1) : 1996
4 임상선, "발해의 성립과 발전발해의 지배세력 연구" 신서원 1999
5 노태돈, "발해의 성립과 발전(발해편)" 국사편찬위원회 1996
6 한규철, "발해의 대외관계사" 신서원 1994
7 김종복, "발해국호의 성립배경과 의미" (128) : 2005
8 권은주, "말갈 연구와 유적현황, in:중국학계의 북방민족·국가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9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05
10 박경철, "고구려군사역량의 재검토" (49) : 1980
1 윤내현, "열국시대의 한반도 말갈" (3) : 1995
2 김택민, "역주 당육전" 신서원 2003
3 김동우, "발해의 지방통치체제와 수령" (1) : 1996
4 임상선, "발해의 성립과 발전발해의 지배세력 연구" 신서원 1999
5 노태돈, "발해의 성립과 발전(발해편)" 국사편찬위원회 1996
6 한규철, "발해의 대외관계사" 신서원 1994
7 김종복, "발해국호의 성립배경과 의미" (128) : 2005
8 권은주, "말갈 연구와 유적현황, in:중국학계의 북방민족·국가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9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05
10 박경철, "고구려군사역량의 재검토" (49) : 1980
11 권은주, "鴻려井石刻에 보이는 崔흔의 職名 재검토-‘宣勞靺鞨使’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46 (46): 195-240, 2007
12 "魏書"
13 金賢淑, "高句麗의 靺鞨支配에 관한 試論的考察" 6 : 1992
14 김종복, "高句麗멸망 전후의 靺鞨동향" (5) : 2005
15 권오중, "靺鞨의 種族系統에 관한 試論" (49) : 1980
16 劉曉東, "靺鞨文化硏究" 吉林大學 2007
17 "隋書"
18 臼杵勳, "鐵器時代の東北アジア" 同成社 2003
19 "資治通鑑"
20 "舊唐書"
21 "舊五代史"
22 한규철, "肅愼挹婁硏究" 35 (35) : 1988
23 王小甫, "盛唐時代與東北亞政局" 上海辭書出版社 2003
24 김종원, "渤海의 首領에 대하여-地方統治制度와 관련하여, in:全海宗博士華甲記念史學論叢" 1979
25 권은주, "渤海의 靺鞨服屬과 支配" 경북대학교 2002
26 박진숙, "渤海의 地方支配와 首領" (97) : 2001
27 김동우, "渤海首領의 時期別變化와 그 意義" 고려대학교 1996
28 이용범, "渤海王國의 社會構成과 高句麗遺裔, in: 中世東北亞細亞史硏究" 아세아문화사 1976
29 孫進己, "渤海民族的形成發展過程, in:北方文物" 1994
30 송기호, "渤海政治史硏究" 일조각 1995
31 노태돈, "渤海建國의 背景" (19) : 1981
32 임상선, "渤海建國參與集團의 硏究" (42) : 1993
33 노태돈, "渤海國의 住民構成과 渤海人의 族源, in:韓國古代의 國家와 社會" 일조각 1985
34 한규철, "渤海國의 住民構成" (창간) : 1996
35 魏國忠, "渤海國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6
36 松井等, "渤海國の疆域" (1) : 1913
37 大隅晃弘, "渤海の首領制-渤海國家と東アヅア" (17) : 1984
38 鈴木靖民, "渤海の首領制-渤海の社會と地方支配" (547) : 1985
39 孫進己, "東北民族源流" 동문선 1992
40 "晉書"
41 "新唐書"
42 "新五代史"
43 "後漢書"
44 日野開三郞, "小高句麗國の硏究" 三一書房 1984
45 남봉우, "對隋唐戰爭을 통해 본 高句麗의 靺鞨支配" 동아대학교 1993
46 이재성, "契丹古八部聯盟의 形成과 解體" (27) : 1993
47 "太平寰宇記"
48 송기호, "大祚榮의 出自와 渤海의 建國過程" (7) : 1991
49 "大唐開元禮"
50 "唐會要"
51 "唐六典"
52 권덕영, "古代韓中外交史-遣唐使硏究-" 일조각 1997
53 "北齊書"
54 "北史"
55 "冊府元龜"
56 "三國志"
57 "三國史記"
58 酒寄雅志, "‘唐碑亭’すなわち‘鴻 井の碑’おめぐて" (6) : 1999
59 金賢淑, "6~7세기 高句麗史에서의 靺鞨"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0 : 200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1-07-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2-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 ![]() |
2008-02-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5-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 | 0.93 | 2.013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