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학교환경별 신체활동량 및 환경중요도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45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김혜진(2012)의 ‘청소년의 신체활동 환경평가를 위한 학교환경 지표 개발’ 연구의 후속연구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학교환경 지표를 활용하여, 학교환경별 신체활동량과 환경중요도를 평가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지표별 가중치를 근거로 학교별 신체활동환경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둘째, 신체활동 환경점수에 따른 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신체활동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학교환경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별 신체활동량은 체육수업 있는 날을 포함해 보도계(pedometer)를 활용해 3일씩 측정하였으며, 지역별로 학교를 분류하지 않고 신체활동 환경등급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계획서에 작성한 사회연결망 분석이 본 연구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SPS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학교별 신체활동 환경 총점은 48점부터 90점까지로 학교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평균 68.4로 평가되었다. 영역별로는 평균 체육시설 23.03(38점 만점), 체육교사 25.10(31점 만점), 교육과정 8.62(12점 만점), 스포츠 클럽 3.54(6점 만점), 신체활동프로그램 3.36(6점 만점), 체육지원 4.73(7점 만점)점으로 평가되었다. 이렇게 평가된 점수들은 100점 만점으로 환산해서 등급을 나누고 질적으로 평가하였다. (90점이상 최우수 / 75점이상 우수 / 60점이상 양호 / 60점미만 개선요망) 체육교사 지표는 우수로 평가된 반면, 스포츠클럽과 신체활동 프로그램 영역에서는 ‘개선요망’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학교 신체활동 환경 평가 지표 등급에 따른 남녀 학생의 신체활동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는 ‘우수, 양호’ 등급 학교에서 ‘개선요망’ 학교 학생들에 비해 신체활동량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보통’ 등급 학교가 ‘우수’등급학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학생에 비해 적은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학교현장의 신체활동 환경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김혜진(2012)의 ‘청소년의 신체활동 환경평가를 위한 학교환경 지표 개발’ 연구의 후속연구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학교환경 지표를 활용하여, 학교환경별 신체활동량과 ...

      본 연구는 김혜진(2012)의 ‘청소년의 신체활동 환경평가를 위한 학교환경 지표 개발’ 연구의 후속연구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학교환경 지표를 활용하여, 학교환경별 신체활동량과 환경중요도를 평가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지표별 가중치를 근거로 학교별 신체활동환경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둘째, 신체활동 환경점수에 따른 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신체활동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학교환경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별 신체활동량은 체육수업 있는 날을 포함해 보도계(pedometer)를 활용해 3일씩 측정하였으며, 지역별로 학교를 분류하지 않고 신체활동 환경등급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계획서에 작성한 사회연결망 분석이 본 연구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SPS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학교별 신체활동 환경 총점은 48점부터 90점까지로 학교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평균 68.4로 평가되었다. 영역별로는 평균 체육시설 23.03(38점 만점), 체육교사 25.10(31점 만점), 교육과정 8.62(12점 만점), 스포츠 클럽 3.54(6점 만점), 신체활동프로그램 3.36(6점 만점), 체육지원 4.73(7점 만점)점으로 평가되었다. 이렇게 평가된 점수들은 100점 만점으로 환산해서 등급을 나누고 질적으로 평가하였다. (90점이상 최우수 / 75점이상 우수 / 60점이상 양호 / 60점미만 개선요망) 체육교사 지표는 우수로 평가된 반면, 스포츠클럽과 신체활동 프로그램 영역에서는 ‘개선요망’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학교 신체활동 환경 평가 지표 등급에 따른 남녀 학생의 신체활동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는 ‘우수, 양호’ 등급 학교에서 ‘개선요망’ 학교 학생들에 비해 신체활동량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보통’ 등급 학교가 ‘우수’등급학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학생에 비해 적은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학교현장의 신체활동 환경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roceeded as a follow-up study of “Development of PA indexes based on school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s for adolescents” by Kim(2012).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physical activity through using developed physical activity indexes.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study, First, as the basis for weighting of indexes, score was calculated. Second, Students’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scoring Third, we checked school environment factor, which influences students’ physical activity most.
      To do this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for three days including P.E classes by using pedometer. We didn’t classify schools by regions but grading of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 It is concluded that Social network analysis had limit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o, We did “ANOVA”, and “correlation” by using SPSS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score of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 showed a big difference between schools from 48 to 90, the average is 68.4. Average of factor was sports facility 23.03, P.E teacher 25.10, education curriculum 8.62, sports club 3.54, physical activity program 3.36, sports support 4.73. These scores were converted into 100, divided grade, assessed qualitatively. Though P.E teacher index was assessed “
      번역하기

      This study was proceeded as a follow-up study of “Development of PA indexes based on school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s for adolescents” by Kim(2012).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physical activity through using developed physic...

      This study was proceeded as a follow-up study of “Development of PA indexes based on school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s for adolescents” by Kim(2012).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physical activity through using developed physical activity indexes.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study, First, as the basis for weighting of indexes, score was calculated. Second, Students’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scoring Third, we checked school environment factor, which influences students’ physical activity most.
      To do this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for three days including P.E classes by using pedometer. We didn’t classify schools by regions but grading of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 It is concluded that Social network analysis had limit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o, We did “ANOVA”, and “correlation” by using SPSS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score of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 showed a big difference between schools from 48 to 90, the average is 68.4. Average of factor was sports facility 23.03, P.E teacher 25.10, education curriculum 8.62, sports club 3.54, physical activity program 3.36, sports support 4.73. These scores were converted into 100, divided grade, assessed qualitatively. Though P.E teacher index was assessed “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