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성인백일해 감염실태 조사, 2차년도 = A Survey of Adult Pertussis Infec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16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incidence of pertussis infection in adults is increasing in western countries. Even though we have a nationwide report system for pertussis infection in Korea, most cases are children and the data on adult patients are very few.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pertussis infection in adult patients complaining of cough and to build a nationwide surveillance system. This study was performed in 34 hospitals in 8 provinces from Sep. 2010 through Apr. 2011. In total, five hundred and sixty-two patients were recruited. The mean age was 45.4 years and 384 (68.3%) was female. The median duration of cough was 15 days (interquartile, 7-30 days). Paroxysmal cough was found in 397 (70.6%), whooping cough in 51 (9.1%), and post-cough vomiting in 82 (14.6%) patients. Forty-six (8.2%) patients had a history of DTP vaccination. We performed nasopharyngeal aspiration (NPA) or swab for PCR and culture in all patients. PCR for pertussis toxin was positive in four (0.7%) patient, and among them, culture was positive in one patient. We also investigated three close contacts of the patient with culture positivity, but none showed a positive result for PCR or culture. When combined with the results of 1st study, among a total of 836 patients, 5 (0.6%) were positive for PCR or culture, and especially, the positivity was higher with nasopharyngeal swab (0.2% with NPA vs. 1.4% with swab). Based on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at pertussis can rarely be the cause of cough in adult patients in Korea. Therefore, the surveillance system should be further reinforced in the future.
      번역하기

      Recently, the incidence of pertussis infection in adults is increasing in western countries. Even though we have a nationwide report system for pertussis infection in Korea, most cases are children and the data on adult patients are very few. Therefor...

      Recently, the incidence of pertussis infection in adults is increasing in western countries. Even though we have a nationwide report system for pertussis infection in Korea, most cases are children and the data on adult patients are very few.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pertussis infection in adult patients complaining of cough and to build a nationwide surveillance system. This study was performed in 34 hospitals in 8 provinces from Sep. 2010 through Apr. 2011. In total, five hundred and sixty-two patients were recruited. The mean age was 45.4 years and 384 (68.3%) was female. The median duration of cough was 15 days (interquartile, 7-30 days). Paroxysmal cough was found in 397 (70.6%), whooping cough in 51 (9.1%), and post-cough vomiting in 82 (14.6%) patients. Forty-six (8.2%) patients had a history of DTP vaccination. We performed nasopharyngeal aspiration (NPA) or swab for PCR and culture in all patients. PCR for pertussis toxin was positive in four (0.7%) patient, and among them, culture was positive in one patient. We also investigated three close contacts of the patient with culture positivity, but none showed a positive result for PCR or culture. When combined with the results of 1st study, among a total of 836 patients, 5 (0.6%) were positive for PCR or culture, and especially, the positivity was higher with nasopharyngeal swab (0.2% with NPA vs. 1.4% with swab). Based on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at pertussis can rarely be the cause of cough in adult patients in Korea. Therefore, the surveillance system should be further reinforce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성인에서의 백일해 발병률이 증가 추세에 있다. 성인에서의 백일해 감염은 백신접종이 되지 않은 영∙유아나 집단사회로의 전파를 일으키게 되는 중요한 감염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전염병감시시스템을 통해 백일해의 발생률을 조사하고 있으나 대부분 소아환자들로 성인에 대한 조사는 아직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8개 권역의 병∙의원을 대상으로 전국적인 감시망을 구축하고, 우리나라에서의 성인백일해의 발생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8개 권역(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청, 영남, 호남, 제주)의 34개 병∙의원에서 2010년 9월3일부터 2011년 4월2일까지 총 7개월간 시행되었다. 총 562명의 환자가 등록되었고, 평균나이가 45.4세, 여자가 384명(68.3%) 이었다. 총 기침기간은 중간값이 15일(사분위수, 7-30일)이었고, 백일해에 특징적인 증상인 발작성기침이 397명(70.6%), 쌕쌕거림이 51명(9.1%), 기침후구토가 82명(14.6%)이었으며, DTP 백신 접종력이 있는 환자는 46명(8.2%)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비인후흡인물검사(nasopharyngeal aspiration) 혹은 비인후도말검사(nasopharyngeal aspiration)을 시행하여 PCR과 배양검사를 시행하였다. PCR검사에서는 4명(0.7%)이 양성이 나왔고, 이중 한 명에서는 배양검사가 양성이었다. 배양양성자의 친밀 접촉자 3명에 대해서도 조사를 시행하였고, 3명 모두 증상이 있었으나 균검사는 음성이었다. 본 2차 백일해연구에서는 1차 연구보다 양성률이 상승하였고, 특히 4명 모두 도말검사에서 진단이 되었다. 1・2차 연구결과를 같이 종합해 보면, 총 836명의 환자에서 검체를 얻을 수 있었고, 이 중 5명(0.6%) 양성이었다. 비인후흡인물검사에서는 0.2%(1/558명), 비인후도말검사에서는 1.4%(1/278명)로 도말검사를 통한 경우 더 높은 양성률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성인 기침환자에서도 드물게 백일해가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인 백일해가 소아 환자의 감염원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앞으로도 전국적인 감시시스템을 좀 더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성인에서의 백일해 발병률이 증가 추세에 있다. 성인에서의 백일해 감염은 백신접종이 되지 않은 영∙유아나 집단사회로의 전파를 일으키게 되는 중요한 감염원으로 ...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성인에서의 백일해 발병률이 증가 추세에 있다. 성인에서의 백일해 감염은 백신접종이 되지 않은 영∙유아나 집단사회로의 전파를 일으키게 되는 중요한 감염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전염병감시시스템을 통해 백일해의 발생률을 조사하고 있으나 대부분 소아환자들로 성인에 대한 조사는 아직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8개 권역의 병∙의원을 대상으로 전국적인 감시망을 구축하고, 우리나라에서의 성인백일해의 발생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8개 권역(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청, 영남, 호남, 제주)의 34개 병∙의원에서 2010년 9월3일부터 2011년 4월2일까지 총 7개월간 시행되었다. 총 562명의 환자가 등록되었고, 평균나이가 45.4세, 여자가 384명(68.3%) 이었다. 총 기침기간은 중간값이 15일(사분위수, 7-30일)이었고, 백일해에 특징적인 증상인 발작성기침이 397명(70.6%), 쌕쌕거림이 51명(9.1%), 기침후구토가 82명(14.6%)이었으며, DTP 백신 접종력이 있는 환자는 46명(8.2%)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비인후흡인물검사(nasopharyngeal aspiration) 혹은 비인후도말검사(nasopharyngeal aspiration)을 시행하여 PCR과 배양검사를 시행하였다. PCR검사에서는 4명(0.7%)이 양성이 나왔고, 이중 한 명에서는 배양검사가 양성이었다. 배양양성자의 친밀 접촉자 3명에 대해서도 조사를 시행하였고, 3명 모두 증상이 있었으나 균검사는 음성이었다. 본 2차 백일해연구에서는 1차 연구보다 양성률이 상승하였고, 특히 4명 모두 도말검사에서 진단이 되었다. 1・2차 연구결과를 같이 종합해 보면, 총 836명의 환자에서 검체를 얻을 수 있었고, 이 중 5명(0.6%) 양성이었다. 비인후흡인물검사에서는 0.2%(1/558명), 비인후도말검사에서는 1.4%(1/278명)로 도말검사를 통한 경우 더 높은 양성률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성인 기침환자에서도 드물게 백일해가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인 백일해가 소아 환자의 감염원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앞으로도 전국적인 감시시스템을 좀 더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