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구는 연구자가 군 복무 간 경험을 바탕으로 부사관의 역할 및 책임과 민간대학 부사관학과의 커리큘럼을 연계하여 교육함으로써 우수한 부사관을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38354
인천 :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7
학위논문(석사) -- 성산효대학원대학교 , 효학과 효리더십전공 , 2017
2017
한국어
393.2 판사항(5)
355.5071 판사항(21)
인천
v, 81 p. ; 26 cm
지도교수: 김종두
참고문헌: p. 7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구는 연구자가 군 복무 간 경험을 바탕으로 부사관의 역할 및 책임과 민간대학 부사관학과의 커리큘럼을 연계하여 교육함으로써 우수한 부사관을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본 구는 연구자가 군 복무 간 경험을 바탕으로 부사관의 역할 및 책임과 민간대학 부사관학과의 커리큘럼을 연계하여 교육함으로써 우수한 부사관을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서론부분으로 연구목적, 연구방향과 방법, 선행연구를 제시하였고, 제 2장에서는 군대의 기본기능, 부사관의 역할과 책임, 부사관학과의 커리큘럼 및 NCS제도, 군대 충·효·예 교육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그 내용으로 군대는 두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중에 안보기능과 교육기능이 있으며 안보기능에는 무형전력과 유형전력이 있고, 교육기능은 국민도장으로서 군에 입대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전한 시민의식과 올바른 인성을 갖추도록 교육함을 제시하였으며, 부사관의 역할과 책임에는 민간대학 부사관학과 연혁과 군 장학생 선발과정, 민간대학 부사관학과의 커리큘럼, 교수편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NCS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군대 충·효·예 교육의 의의와 연혁을 통해 군대의 기본기능 중 무형 전투력을 강화하는데 필수적인 교육임을 강조하였으며, 충·효·예 교육
이 군 장병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복무자세의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부사관학과 군 장학생의 양성과정의 문제점과 커리큘럼 및 과목 편성의 문제점, NCS제도로 본 부사관학과 군 장학생에 대한 문제점, 부사관학과 교수편성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위 내용의 핵심으로는 부사관학과와 부사관학교의 연계성이 부족하여 군 장학생을 배출하기 위한 기본적인 교육 및 훈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부사관학과의 과목편성 시 부사관의 역할과 책임을 고려하지 않은 과목편성으로 역할 수행에 불균형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NCS제도 미 도입으로 인해 부사관학과의 군 장학생들에 대한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육군은 부사관학과의 관리에도 소홀해지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사관학과 교수진에 대해 문제점
을 제시하였다. 현재 육군과 협약 중인 부사관학과는 51개 대학이 있다. 민간대학 부사관학과의 교수진을 보면 대부분의 학과의 교수는 장군 및 장교출신의 교수로 편성되어 있다. 그러나 부사관을 양성하는 부사관학과에서 부사관 출신의 교수가 편성되어 있지 않아, 군 장학생을 관리하고 부사관을 양성하는데 어려움과 부사관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교육할 수 있는 교수가 없어 군 장학생 및 부사관학과의 관리에 대한 어려움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부사관 역할에 맞는 부사관학과 커리큘럼과 부사관 출신 교수편성을 통해 우수한 부사관을 유치하기 위한 발전 방안, 부사관의 책임과 역할을 연계한 부사관학과 운영 활성화 방안, 충·효·예 교육을 통한 무형전투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충·효·예 교육을 통해 부사관의 정체성 및 역할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부사관의 역할에 맞는 부사관학과의 커리큘럼 편성은 모든 부사관학과에서 동일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맞춰 미래지향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부사관 출신의 교수를 임용하여 부사관학과가 올바른 길을 가도록 지도 관리 하여야 한다. 또한 군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성교육 등 현 시점에서 군이 가고자 하는 방향을 인식하고 부사관학과의 교육 방향 또한 군이 원하는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발전 방안을 제
시하였다.
군에서 실시하는 충·효·예 교육은 무형전투력 강화를 위한 교육이다. 충·효·예 교육의 내용으로 충(忠)은 “나라에 충성과 자기 자신에 대한 충성”, 효(孝)는 “부모님에 대한 효, 부모님이 원하시는 방향으로 향하는 것”, 예(禮)는 “전우들 간 서로 존중하며 예의를 통해 전우애를 기르자”는 의미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충·효·예 교육의 실시 목적은 장병들의 인성을 함양하고 안정적인 부대관리를 통해 무형전투력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이다. 그러
므로 군에 충·효·예 교육의 필요성과 커리큘럼의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