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사시사」는 현행 고등학교 2007 개정 문학 교과서 18종 중에서 7종에 수록되어 있다. 전체 40장 중에서 교과서별로 필요한 단원에 맞춰 1장에서 4장까지 선별하여 실어 놓았다. 문학 교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28906
2012
-
373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7-158(3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어부사시사」는 현행 고등학교 2007 개정 문학 교과서 18종 중에서 7종에 수록되어 있다. 전체 40장 중에서 교과서별로 필요한 단원에 맞춰 1장에서 4장까지 선별하여 실어 놓았다. 문학 교과...
「어부사시사」는 현행 고등학교 2007 개정 문학 교과서 18종 중에서 7종에 수록되어 있다. 전체 40장 중에서 교과서별로 필요한 단원에 맞춰 1장에서 4장까지 선별하여 실어 놓았다. 문학 교과서에 외국 문학작품이나 고전 산문의 경우는 현대 한국어로 번역 또는 수정하여 싣고 있다. 하지만 고전시가의 경우는 원문을 그대로 싣고 있다.「어부사시사」는 17세기의 표기 방식으로 실려 있다. 고전시가만 이렇게 원문대로 싣고 있어 형평성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고전시가에 대한 흥미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어부사시사」는 그간의 연구사를 보면 시조가 아니라는 주장이 보다 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문학교과서에 시조로 장르를 규정하고 있다. 연구와 교육이 서로 소통하지 못하는 이러한 실정은 문학 교육의 후진성을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를 안고 있다.「어부사시사」를 비롯해서 한국의 전통적인 시가의 대부분은 노래로 불리던 것이었다.「어부사시사」는 오늘날 전해오는 12가사 중「어부사」와 동일한 악곡으로 불리던 것이다. 따라서「어부사시사」의 교육에 이러한 노래가 적극적으로 활용 되어야 할 것이다. 고전시가를 어렵게 느끼는 학생들에게 흥미 유발은 물론 그 심층적 주제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문학 교육적 방법의 전환이 필요하다. 현전화의 노력은 물론, 연구에서 얻어진 성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면서, 통합교육적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 그 방법일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 Eobusasisa” is included in 7 out of 18 kinds of the 2007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From chapter 1 to 4 out of a total of 40 chapters was selected and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d units by textbook. Foreign...
Currently, “ Eobusasisa” is included in 7 out of 18 kinds of the 2007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From chapter 1 to 4 out of a total of 40 chapters was selected and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d units by textbook. Foreign literary works or classical prose in the literature textbooks are published in literature textbooks after being translated or modified into modern Korean language. However, classical poetry is textually published. “ Eobusasisa” is published in writing style on the 17th century. It is not only unfair but also causes diminished interest in classical poetry.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it is asserted that “ Eobusasisa” is not Sijo. Nevertheless, it is categorized into Sijo in all the literature textbooks. Currently, research and education can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t has a problem in that such a situation may cause the backwardness of literary education. Most of traditional Korean poetry including “ Eobusasisa” were performed as a song. “ Eobusasisa” was sung as the same music with “ Eobusa” among the 12 lyrics that have remained to the present. Therefore, such songs should be actively used to educate “ Eobusasisa”.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literature educational methods in order to arouse the interest of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classical poetry and to let them enjoy the profound themes. An attempt of integrated educational approach will be the method by not only by making efforts to realize but also by actively reflecting the achievement by stud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林下筆記"
2 "不憂軒集"
3 이상보, "황일호의 생애와 ‘백마강가’ 연구"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1985
4 나경수, "향가의 해부" 민속원 2005
5 조윤제, "한국문학사 <5판>" 탐구당 1992
6 정병헌, "한국 고전문학의 교육적 성찰"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2003
7 이관규, "통합적 국어 교육의 가치와 ‘독서와 문법’,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부산대학교 2011
8 鄭雲采, "윤선도의 시조와 한시의 대비적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9 김팔남, "윤고산의 ‘어부사시사’ 연구" 충남대학교 어문연구회 18 : 1988
10 홍재걸, "윤고산시고(1)" 효성여자대학교 1985
1 "林下筆記"
2 "不憂軒集"
3 이상보, "황일호의 생애와 ‘백마강가’ 연구"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1985
4 나경수, "향가의 해부" 민속원 2005
5 조윤제, "한국문학사 <5판>" 탐구당 1992
6 정병헌, "한국 고전문학의 교육적 성찰"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2003
7 이관규, "통합적 국어 교육의 가치와 ‘독서와 문법’,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부산대학교 2011
8 鄭雲采, "윤선도의 시조와 한시의 대비적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9 김팔남, "윤고산의 ‘어부사시사’ 연구" 충남대학교 어문연구회 18 : 1988
10 홍재걸, "윤고산시고(1)" 효성여자대학교 1985
11 김창원, "문학(하)" 민중서림 2012
12 김대행, "문학(하)" 교학사 2012
13 박호영, "문학(하)" 형설출판사 2012
14 강황구, "문학(하)" 상문연구사 2012
15 최웅, "문학(하)" 청문각 2012
16 조남현, "문학(상)"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12
17 박호영, "문학(상)" 형설출판사 2012
18 임칠성,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실과 지향 : 다시 ‘통합’을 논하며,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부산대학교 2011
19 나경수, "고전문학 교육의 활로 찾기" 숙명여자대학교 2009
20 나경수, "고려가요인가? 악장가요인가?, In 석화 정재완교수 정년기념논총" 2002
21 임화, "개설조선신문학사, In 임화전집 2, 문학사" 박이정 2001
22 "靑丘永言"
23 "芝峯類說"
24 "聾巖先生文集"
25 "益齋亂稿"
26 "東文選"
27 "朝鮮王朝實N"
28 박규홍, "時調와 歌辭의 장르 區分 : 孤山의 ‘漁父四時詞’를 중심으로" 韓國時調學會 12 : 1996
29 "時用鄕樂譜"
30 "旅菴遺稿"
31 강전섭, "尹孤山의 ‘漁父四時詞’에 對하여" 고산연구회 2 : 1988
32 "孤山遺稿"
33 "園幸乙卯整理儀軌"
34 김흥규, "‘어부사시사’의 종장과 그 변이형" 고산연구회 4 : 1990
35 김웅배, "‘어부사시사’ 언어와 보길도 방언과의 상관성"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8 : 1991
36 윤영옥, "‘어부사’ 연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3 : 1982
37 서상준, "‘고산유고’의 언어에 대하여(1)" 孤山硏究會 (창간) : 1987
38 김대행, "‘漁父四時詞’의 外延과 內包" 고산연구회 (창간) : 1987
39 김웅배, "‘孤山遺稿’ 소재 작품의 종성 표기에 대한 고찰" 孤山硏究會 (창간) : 198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64 | 1.141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