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오이 발효음료가 만성적으로 에탄올을 급여한 흰쥐의 에탄올 대사와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592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량으로 폐기되는 오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개발한 오이 발효원액을 주원료로 제조한 숙취해소 음료의 간보호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만성적으로 에탄올을 섭취시킨 흰쥐에서 에탄올 대사, 항산화 방어계, 간독성 관련지표 및 지질함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동물은 4 주령의 수컷 SD계 흰쥐 24마리를 1주간 고형식이로 적응시킨 후 난괴법에 의하여 에탄올대조군(Control) 및 에탄올 섭취 흰쥐에게 헛개열매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여 개발한 숙취해소 물질인 SKM 급여군(SKM) 또는 SKM을 함유한 오이 발효음료 급여군(CF+SKM)으로 나누었다. SKM과 CF+SKM은 사람의 하루 섭취량을 기준으로 체중 ㎏당 7 ㎖씩 매일 일정시각에 경구투여 하였다. SKM과 CF+SKM은 체중과 식이섭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CF+SKM군의 신장무게가 대조군보다 낮았다. 혈장 중 에탄올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CF+SKM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았으며, SKM군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SKM과 CF+SKM군 모두 각각 40.6%와 48.4% 유의적인(p<0.05) 개선 효과를 보였다. 간조직 중의 ADH 활성은 실험군간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CYP2E1 활성은 SKM과 CF+SKM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p<0.05) 낮았다. 간조직의 CYP2E1 활성은 혈장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r=0.566, p<0.01)였다. 간조직의 ALDH 활성은 SKM과 CF+SKM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혈장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유의적 음의 상관관계(r=-0.564, p<0.01)를 보였다. SKM군과 CF+SKM군의 간조직내 SOD와 CAT 활성과 GSH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반면, SKM과 CF+SKM은 간조직 중의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SKM과 CF+SKM 급여 시 에탄올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AST 활성은 29%와 44% 낮았으며, ALT 활성은 42%와 34% 낮았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과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SKM과 CF+SKM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았으며 특히, CF+SKM의 간조직내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SKM군과 CF+SKM군의 간조직 중 지방축적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다. 이와 같이 SKM과 CF+SKM은 간조직의 CYP2E1 활성을 억제하고 ALDH 활성과 항산화 방어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에탄올로 인한 간독성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량으로 폐기되는 오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개발한 오이 발효원액을 주원료로 제조한 숙취해소 음료의 간보호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만성적으로 에탄올을 섭취시킨 흰쥐에서 ...

      본 연구는 다량으로 폐기되는 오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개발한 오이 발효원액을 주원료로 제조한 숙취해소 음료의 간보호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만성적으로 에탄올을 섭취시킨 흰쥐에서 에탄올 대사, 항산화 방어계, 간독성 관련지표 및 지질함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동물은 4 주령의 수컷 SD계 흰쥐 24마리를 1주간 고형식이로 적응시킨 후 난괴법에 의하여 에탄올대조군(Control) 및 에탄올 섭취 흰쥐에게 헛개열매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여 개발한 숙취해소 물질인 SKM 급여군(SKM) 또는 SKM을 함유한 오이 발효음료 급여군(CF+SKM)으로 나누었다. SKM과 CF+SKM은 사람의 하루 섭취량을 기준으로 체중 ㎏당 7 ㎖씩 매일 일정시각에 경구투여 하였다. SKM과 CF+SKM은 체중과 식이섭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CF+SKM군의 신장무게가 대조군보다 낮았다. 혈장 중 에탄올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CF+SKM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았으며, SKM군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SKM과 CF+SKM군 모두 각각 40.6%와 48.4% 유의적인(p<0.05) 개선 효과를 보였다. 간조직 중의 ADH 활성은 실험군간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CYP2E1 활성은 SKM과 CF+SKM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p<0.05) 낮았다. 간조직의 CYP2E1 활성은 혈장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r=0.566, p<0.01)였다. 간조직의 ALDH 활성은 SKM과 CF+SKM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혈장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유의적 음의 상관관계(r=-0.564, p<0.01)를 보였다. SKM군과 CF+SKM군의 간조직내 SOD와 CAT 활성과 GSH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반면, SKM과 CF+SKM은 간조직 중의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SKM과 CF+SKM 급여 시 에탄올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AST 활성은 29%와 44% 낮았으며, ALT 활성은 42%와 34% 낮았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과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SKM과 CF+SKM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았으며 특히, CF+SKM의 간조직내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SKM군과 CF+SKM군의 간조직 중 지방축적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다. 이와 같이 SKM과 CF+SKM은 간조직의 CYP2E1 활성을 억제하고 ALDH 활성과 항산화 방어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에탄올로 인한 간독성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cumber fermentation has been used as a means of preserv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cucumber beverage (CF) containing beneficial materials for an ethanol hangover based on Hovenia dulcis (SKM)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ethanol control, ethanol plus SKM, and ethanol plus CF+SKM. SKM or CF+SKM was orally administered at a dose of 7 ㎖/㎏ body weight once per day for 5 weeks. Control rats were given an equal amount of water. CF+SKM significantly lowered plasma ethanol levels, whereas SKM tended to decrease the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Both SKM and CF+SKM significantly lowered the plasma acetaldehyde levels and serum transaminase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SKM and CF+SKM did not affect hepatic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however, it significantly inhibited cytochrome P450 2E1 (CYP2E1) activity. Hepatic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KM and CF+SKM groups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lasma acetaldehy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patic CYP2E1 (r=0.566, p<0.01) activity and ALDH (r=-0.564, p<0.01) activity.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ctivities as well as glutathione content increased with the SKM and CF+SKM administration, whereas lipid peroxide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Furthermore, SKM and CF+SKM lowered plasma and hepatic lipid content and lipid droplet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KM and CF+SKM exhibit hepatoprotective properties partly by inhibiting CYP2E1 activity, enhancing ALDH activity and stimulating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s in ethanol-treated rats.
      번역하기

      Cucumber fermentation has been used as a means of preserv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cucumber beverage (CF) containing beneficial materials for an ethanol hangover based on Hovenia dulcis (SKM) on ethanol-in...

      Cucumber fermentation has been used as a means of preserv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cucumber beverage (CF) containing beneficial materials for an ethanol hangover based on Hovenia dulcis (SKM)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ethanol control, ethanol plus SKM, and ethanol plus CF+SKM. SKM or CF+SKM was orally administered at a dose of 7 ㎖/㎏ body weight once per day for 5 weeks. Control rats were given an equal amount of water. CF+SKM significantly lowered plasma ethanol levels, whereas SKM tended to decrease the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Both SKM and CF+SKM significantly lowered the plasma acetaldehyde levels and serum transaminase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SKM and CF+SKM did not affect hepatic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however, it significantly inhibited cytochrome P450 2E1 (CYP2E1) activity. Hepatic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KM and CF+SKM groups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lasma acetaldehy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patic CYP2E1 (r=0.566, p<0.01) activity and ALDH (r=-0.564, p<0.01) activity.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ctivities as well as glutathione content increased with the SKM and CF+SKM administration, whereas lipid peroxide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Furthermore, SKM and CF+SKM lowered plasma and hepatic lipid content and lipid droplet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KM and CF+SKM exhibit hepatoprotective properties partly by inhibiting CYP2E1 activity, enhancing ALDH activity and stimulating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s in ethanol-treated ra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희, "청국장식이가 알코올성지방간 쥐의 지질대사 및 간 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06-1515, 2009

      2 박소현, "시판 오이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85-392, 2004

      3 Richimond V,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continuous flow analysis" 22 : 1579-1588, 1976

      4 Ellman GL, "Tissue sulfhydryl groups" 82 : 70-77, 1959

      5 Eriksson CJ, "The role of acetaldehyde in the action of alcohol" 25 : 15S-32S, 2001

      6 Hilton JW, "The requirement and toxicity of selenium in rainbow trout (Salmo Gairdneri)" 110 : 2527-2535, 1980

      7 Lieber CS, "The feeding of ethanol in liquid diets" 10 : 550-553, 1986

      8 Jung ST, "The acidity, pH, salt content and sensory scores change in Oyijangachi manufacturing" 24 : 606-612, 1995

      9 Paglia DE,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 70 : 158-169, 1967

      10 Oyanagui Y, "SOD and active oxygen modulator" Nihin Igakukan 17-36, 1989

      1 이은희, "청국장식이가 알코올성지방간 쥐의 지질대사 및 간 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06-1515, 2009

      2 박소현, "시판 오이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85-392, 2004

      3 Richimond V,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continuous flow analysis" 22 : 1579-1588, 1976

      4 Ellman GL, "Tissue sulfhydryl groups" 82 : 70-77, 1959

      5 Eriksson CJ, "The role of acetaldehyde in the action of alcohol" 25 : 15S-32S, 2001

      6 Hilton JW, "The requirement and toxicity of selenium in rainbow trout (Salmo Gairdneri)" 110 : 2527-2535, 1980

      7 Lieber CS, "The feeding of ethanol in liquid diets" 10 : 550-553, 1986

      8 Jung ST, "The acidity, pH, salt content and sensory scores change in Oyijangachi manufacturing" 24 : 606-612, 1995

      9 Paglia DE,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 70 : 158-169, 1967

      10 Oyanagui Y, "SOD and active oxygen modulator" Nihin Igakukan 17-36, 1989

      11 Cederbaum AI, "Role of CYP2E1 in ethanol-induced oxidant stress, fatty liver and hepatotoxicity" 28 : 802-811, 2010

      12 Ramchandani VA, "Research advances in ethanol metabolism" 49 : 676-682, 2001

      13 Lee SK, "Postharvest physiology of horticultural crops" Sungkunsa 11-187, 1996

      14 Kays SJ, "Postharvest physiology and handling of perishable plant products" AVI 337-339, 1991

      15 Lieber CS, "Perspectives: do alcohol calories count" 54 : 976-982, 1991

      16 Caro AA, "Oxidative stress, toxicology, and pharmacology of CYP2E1" 44 : 27-42, 2004

      17 Eaton S, "Multiple biochemical effects in the pathogenesis of alcoholic fatty liver" 27 : 719-722, 1997

      18 Bergmeyer HU, "Method of enzymatic analysis" Academic Press 28-, 1974

      19 Joshi SG, "Medicinal plants" Oxford and IBH Publishing Co. Pvt. Ltd 157-158, 2003

      20 Marklund S,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47 : 469-474, 1974

      21 Nordmann R, "Involvement of iron and iron-catalyzed free radical production in ethanol metabolism and toxicity" 37 : 57-69, 1987

      22 Gaudineau C, "Inhibition of human P450 enzymes by multiple constituents of the Ginkgo biloba extract" 318 : 1072-1078, 2004

      23 Dicker E, "Increased oxidation of p-nitrophenol and aniline by intact hepatocytes isolated from pyrazole-treated rats" 1035 : 249-256, 1990

      24 Meister A, "Glutathione deficiency produced by inhibition of its synthesis, and its reversal; applications in research and therapy" 51 : 155-194, 1991

      25 Kumar D,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algesic activities of Cucumis sativus L. fruit extract" 2 : 365-368, 2010

      26 Comporti M,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basic knowledge" 5 : 101-109, 2010

      27 Kim JE,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quality of cucumber pickles" Chungju University 2001

      28 Jung DM, "Effect of long term exercise on liver function of fatty liver patients: by data analysis of GPT, GOT, γ-GTP" Kyunghee University 2001

      29 Lee ES, "Effect of glutathione on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16 : 9-16, 2001

      30 Kim YC, "Effect of glutamate on the blood concentrations of ethanol in healthy adults" 37 : 549-553, 1993

      31 Kim JH, "Effect of arrowroot flower (Puerariae flos) extract on lowering of ethanol concentration in rat blood" 38 : 549-553, 1995

      32 Koivula T, "Different from of rat liver aldehyde dehydrogenase and their subcellular distribution" 397 : 9-23, 1975

      33 Moon HS, "Development of vinegar using cucumber and its functional activit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11

      34 Tuma DJ, "Dangerous byproducts of alcohol breakdown-focus on adducts" 27 : 285-290, 2003

      35 Ki SH, "Combined metadoxine and garlic oil treatment efficaciously abrogates alcoholic steatosis and CYP2E1 induction in rat liver with restoration of AMPK activity" ELSEVIER IRELAND LTD 169 (169): 80-90, 2007

      36 Aebi H, "Catalase in vitro" 105 : 121-126, 1984

      37 Ohkawa H,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95 : 351-358, 1979

      38 Nadkarni GD, "Antioxidant and free radical-scavenging enzymes in chronically ethanol-consuming rats: controversy over hepatic lipid peroxidation" 22 : 161-164, 1988

      39 Dey A, "Alcohol and oxidative liver injury" 43 : S63-S74, 2006

      40 Farfán Labonne BE, "Acetaldehyde-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sensitizes hepatocytes to oxidative damage" 25 : 599-609, 2009

      41 Folch J,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226 : 497-509, 1975

      42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72 : 248-254, 1976

      43 Muller PH, "A fully enzymatic triglyceride determination" 5 : 457-464, 19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