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면무호흡증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leep Apnea Syndrome on the Systemic Blood Press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67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995년 1월1일부터 1995년 10월 31일까지 코골기와 수면무호흡 증상으로 인해 연정 뇌기능 수면 연구소에...

      본 연구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995년 1월1일부터 1995년 10월 31일까지 코골기와 수면무호흡 증상으로 인해 연정 뇌기능 수면 연구소에 수면다원검사가 의뢰된 1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에서 원발성 고혈압을 제외한 심혈관계 질환이 있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 그리고 자료가 불충분하거나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되지 않은 24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116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대상 환자들로부터 얻은 자료를 수면변수와 호흡변수로 나누어 혈압과의 관계를 Pearson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는 수면무호흡의 총시간 및 총횟수, 총수면시간중 평균 혈중산소포화도, 무호흡지수, 중추성 수면무호흡의 총시간 및 횟수,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총시간등 이었다.
      2) 다중회귀분석 결과 평균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은 수면무호흡의 총시간이었으며 이것이 평균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에 미치는 영향의 도는 각각 7.9%와 6.2%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수면무호흡증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호흡의 유형에 관계없이 수면무호흡의 총시간만이 혈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추성 수면무호흡의 경우 평균 혈중 산소포화도의 감소, 각성에 따른 교감신경계 활성도의 증가이외에도 다른 기전에 의해 혈압 상승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eep apnea syndromes on th systemic blood pressure. Methods : The subjects were 140 patients who were consulted to Yon-jung brain function and sleep research center for polysomnogra...

      Object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eep apnea syndromes on th systemic blood pressure.
      Methods : The subjects were 140 patients who were consulted to Yon-jung brain
      function and sleep research center for polysomnography due to snoring and sleep apnea from Jan. 1st 1995 to Oct. 31st 1995. Twenty-four out of 140 were excluded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s other than systemic hypertension, antihypertensive medication, inadequate data or diagnosis other than sleep apnea syndrome. The remaining 116 were accepted as proper subjects.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look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and respiratory variables to systemic blood pressur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o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the total time and total number of sleep apnea, degree of oxygen saturation of total sleep time, apnea index, total time and total number of central apnea, and the total time of obstructive apnea.
      2)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ly the total time of sleep apnea significantly affected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the degrees of affection were 7.9% and 6.2%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findings showed that sleep apnea syndrome had lower influence over systemic blood pressure than expected and regardless of the type, only the total time of sleep apnea influenced systemic blood pressure. In the case of central apnea, mechanisms other than hypoxemia and the increase of sympathetic activity during arousal may make it possible to increase systemic blood pressu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