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명보호 법정책의 현재 = Current Legal Policy Regarding Life Prot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162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글은 2000년 전후로 지난 25여 년간 한국의 법과 정책이 생명을 어떻게 보호했는지를 정리하고 조명하는 의미가 있다. 각 생명 영역, 즉 배아, 태아, 영아, 자살, 안락사, 장기이식에서볼 수 ...

      본 글은 2000년 전후로 지난 25여 년간 한국의 법과 정책이 생명을 어떻게 보호했는지를 정리하고 조명하는 의미가 있다. 각 생명 영역, 즉 배아, 태아, 영아, 자살, 안락사, 장기이식에서볼 수 있는 25여 년간 한국의 법제, 판례, 학문적 연구 성과들을 개괄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생명보호에 있어 괄목할 만한 변화와 성장을 보인 법정책의 시의성을 복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우선, 생명보호를 둘러싼 논쟁의 구도를 확인하고, 2000년 이후로 한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생명 관련 입법이었던 생명윤리법의 발달사와 제정배경을 간략하게 개관한 이후, 각각의 생명보호영역에서의 입법논의, 중요판례, 학문적 연구 성과들을 정리한다. 결론적으로, 우리 법정책은 각생명 관련 영역에서 그동안 완전한 금지도, 완전한 허용도 아닌 견해를 밝혀왔다. 즉, 기본적으로각 생명이 보호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이에 대해 유연한 태도를보이기도 한다. 생명보호의 문제는 개인의 가치관의 차이와 다양한 이해관계에 따라 첨예한 갈등이 수반되는 만큼, 구성원 간의 합의 도출을 위한 절차의 마련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덧붙여서생명보호와 관련된 법정책적 논의에는 우리 문화에 고유한 논쟁의 요소가 보이는 만큼, 다양한현실의 층위를 고려한 정책적 결단도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tends to organize and shed light on how Korean laws and policies have protected life over the past 25 years since around 2000. By broadly discussing 25 years of Korean legislation, precedents, and academic research results in each area ...

      This article intends to organize and shed light on how Korean laws and policies have protected life over the past 25 years since around 2000. By broadly discussing 25 years of Korean legislation, precedents, and academic research results in each area of life, that is, embryos, fetuses, infants, suicide, euthanasia, and organ transplantation, we seek to restore the timeliness of the legal policy. To this end, we first confirm the structure of the debate surrounding life protection, briefly overview the development history and enactment background of the Bioethics Act, which has been the most important life-related legislation in Korean society since 2000.
      Then we introduce and summarize legislation discussions, important precedents, and academic research results in each area of life protection. In conclusion, our legal policy has taken a position of neither complete prohibition nor complete permission in each life-related area. In other words, it basically adheres to the principle that each life must be protected, but in some cases it shows a flexible attitude toward this. As the issue of life protection involves sharp conflicts due to differences in individual values and various interests, it is most important to establish procedures for reaching agreement among society members. In addition, as legal policy discussions related to life protection show elements of controversy unique to our culture, policy decisions that take into account various layers of reality are also requir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