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상파 다채널방송 서비스 방식 비교 연구 = MMS와 KoreaView 방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998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표준인 ATSC 서비스가 진화하고 있다. 한국방송협회(KBA)는 2006년 독일 FIFA 월드컵방송 기간 동안 MPEG-2 압축방식을 사용한 지상파 다채널방송인 MMS(Multi Mode Service)를 시험 ...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표준인 ATSC 서비스가 진화하고 있다. 한국방송협회(KBA)는 2006년 독일 FIFA 월드컵방송 기간 동안 MPEG-2 압축방식을 사용한 지상파 다채널방송인 MMS(Multi Mode Service)를 시험 방송하였다. MMS는 하나의 HD채널을 제공하면서 6㎒ 대역 내에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비디오 압축 기술(MPEG-2)을 사용하여 HDTV, SDTV, Audio 뿐만 아니라 Data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지난 2009년 11월, KBS는 MMS서비스보다 진화한 코리아뷰(KoreaView)를 제안하였다. 코리아뷰의 압축방식은 MPEG-2와 H.264를 혼합한 방식으로 미국의 모바일방송 표준(A/153)과 동일한 방식이다. 코리아뷰는 다채널방송서비스로 6㎒대역 내에서 HD와 3개의 SD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지상파 방송의 다채널 서비스는 시청자서비스 확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상파 방송의 다채널 서비스는 디지털 전환을 촉진시키고 시청자들의 선택권을 확대시킨다.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유료방송 채널은 수백 개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상파 방송은 디지털 전환이 추진되고 있지만 다채널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인 MMS와 코리아뷰의 기술적 특징과 차이를 분석하고, 향후 서비스 도입에 따른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errestrial DTV service compliant with ATSC has been advancing for years. In KBA(Korean Broadcasters Association), a multi-channel service was broadcasted on air during the period of the 2006 FIFA World Cup Germany with the various type of MMS(Mul...

      The Terrestrial DTV service compliant with ATSC has been advancing for years. In KBA(Korean Broadcasters Association), a multi-channel service was broadcasted on air during the period of the 2006 FIFA World Cup Germany with the various type of MMS(Multi Mode Service) using MPEG-2 encoding method. MMS Service can provides not only one HD channel but also serveral additional services within 6㎒ bandwidth. Using digital video compression technology(MPEG-2), many various programs such as HDTV, SDTV, Audio and Data are able to be transmitted within the same bandwidth.
      From November 2009, KBS has been preparing an advanced MMS service, ‘Korea-View’ which has both methods of encoding, MPEG-2 and H.264 that is compliant ATSC mobile standard, A/153. Korea-View is a kind of multi-channel broadcast service to provide one HD and 3 SD programs with the bandwidth of 6㎒. Terrestrial multi-channel service is required to focuse on expanding viewer service. Such Terrestrial multi-channel services will contribute to transferring to digital broadcasting and to extending the viewers’ welfare. Due to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Pay-TV channels has increased to hundreds. Even though digital switchover is being proceeded, terrestrial broadcasters have been unable to deliver multi-channel services.
      In this paper, technical features and differences of MMS and Koreaview will be analyzed regarding terrestrial multi-channel broadcasting services, and the politic direction will be proposed in accordance with introduction of future serv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과제 분석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과제 분석
      • 4.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원, "프랑스 지상파 다채널서비스와 시청자 복지" 한국언론학회 28-29, 2010

      2 노기영, "지상파다채널 플랫폼과 디지털 전환의공익성" 한국언론학회 9-, 2010

      3 황근, "지상파 채널 확장으로 수직적 독점력 더강화될 것" 90-, 2006

      4 하주용,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콘텐츠와 채널운영" 한국콘텐츠학회 8 (8): 176-183, 2008

      5 한운영, "지상파 MMS 무엇이 문제인가"

      6 이창형, "지상파 MMS 기술 논쟁에 대한 이해" (536) : 35-39, 2006

      7 이창형, "지상파 DTV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모델 연구" 방송문화진흥회 2008

      8 김평호, "쌍방향성 구현 최적 서비스" 86-89, 2006

      9 김대호, "방송 서비스의 보편적 서비스 정책 연구" 정보통신정책학회 16 (16): 1-28, 2009

      10 최성진, "방송 매체별 유형별발전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08

      1 이원, "프랑스 지상파 다채널서비스와 시청자 복지" 한국언론학회 28-29, 2010

      2 노기영, "지상파다채널 플랫폼과 디지털 전환의공익성" 한국언론학회 9-, 2010

      3 황근, "지상파 채널 확장으로 수직적 독점력 더강화될 것" 90-, 2006

      4 하주용,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콘텐츠와 채널운영" 한국콘텐츠학회 8 (8): 176-183, 2008

      5 한운영, "지상파 MMS 무엇이 문제인가"

      6 이창형, "지상파 MMS 기술 논쟁에 대한 이해" (536) : 35-39, 2006

      7 이창형, "지상파 DTV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모델 연구" 방송문화진흥회 2008

      8 김평호, "쌍방향성 구현 최적 서비스" 86-89, 2006

      9 김대호, "방송 서비스의 보편적 서비스 정책 연구" 정보통신정책학회 16 (16): 1-28, 2009

      10 최성진, "방송 매체별 유형별발전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08

      11 강명현, "미국 지상파 다채널 방송(MMS)의 채널 운용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공사 21 (21): 115-142, 2009

      12 이창형, "디지털방송기술 총람" 커뮤니케이션북스 310-312, 2011

      13 정용준, "디지털 전환에 따른 향후 정책적 과제: 의무재송신제도와 MMS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73) : 94-115, 2011

      14 이병섭, "다채널방송의 채널구성 및 운용에 관한 정책 연구" 언론정보연구소 47 (47): 204-241, 2010

      15 김광호, "공영방송 다양성을 위한 비전"

      16 정두남, "공공서비스강화" 36-, 2007

      17 "ttp://www.atsc.org/standards,A/53"

      18 "http://www.hdtvprimer.com/ISSUES/what_is_ ATSC.html"

      19 "http://www.dtvkorea.org/11_news/newss5_01.asp"

      20 김재영, "MMS의 의미와 과제, 언개련발제집"

      21 방송위원회, "MMS시험방송결과 평가연구" 2006

      22 김서중, "MMS도입은 공공성 보호정책" 4-11,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