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카테고리별 모바일 앱 색채사용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Color in Different Categories of Mobile Ap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8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모바일 앱 시장의 확대로, 기업들은 브랜드와 컨텐츠의 이미지를 작은 아이콘 하나에 담아 소비자의 시선을 끌어 내고 있다. 색채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강력한 수단이며, 소비자의 ...

      최근 모바일 앱 시장의 확대로, 기업들은 브랜드와 컨텐츠의 이미지를 작은 아이콘 하나에 담아 소비자의 시선을 끌어 내고 있다. 색채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강력한 수단이며, 소비자의 감성과 요구에 대응하는 색채를 사용하여 구매를 자극하고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색채에 담아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현재 모바일 앱의 색채사용을 5개의 카테고리(사진 및 비디오, 생산성, 소셜네트워크, 엔터테인먼트, 유틸리티)로 분류하여 색채사용과 색채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색채조사 분석 결과 각각의 카테고리별 특성이 갖는 이미지와는 별개의 색상, 명도, 채도톤이 사용되어 있었고, 카테고리가 가진 성격과 기능에 대한 이미지, 느낌, 상징, 연상 등에 대한 고려가 없이 색채디자인 되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카테고리마다 다양한 이미지가 종합적으로 섞여있어서 뚜렷한 이미지 방향을 보이는 경우가 없었으며, 주조색과 보조색 간의 색채 이미지가 상반되는 경향이 있어, 색채 배색에 있어서도 조화롭지 못하다는 느낌을 주고 있었다. 이렇게 색채가 주는 시지각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색채계획으로 다양성 보다는 복잡함이 느껴지며, 앱의 내용 및 성격을 고려하지 않은 색채 사용으로 소비자와 기업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장애가 생겨, 마케팅에 있어서도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 못해 구매 욕구를 이끌어 내기엔 부족함이 있다고 보여졌다. 이에 색채의 적용과 방향성에 대한 2차적 연구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days, companies try to draw attention from consumers by condensing the images of their brands and contents into a small icon as the mobile app market has been extended. A color is one of powerful vehicles of communication, and it"s important...

      In recent days, companies try to draw attention from consumers by condensing the images of their brands and contents into a small icon as the mobile app market has been extended. A color is one of powerful vehicles of communication, and it"s important to make use of the best color in response to the sensitivity and needs of consumers to stir up their purchase and ensure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In this study, mobile apps we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photo and video, productivity, social networks, entertainment and utility. And the use and image of color in each category was analyzed. As a result, it"s concluded that the hue, brightness and chroma of the colors used had nothing to do with the unique images of the categories, and that the nature, function, impression, symbols and association of the categories weren"t taken into account when the color design was made. Multiple kinds of images were mixed in every category, and there wasn"t any marked trend in that regard. Furthermore,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image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colors run counter to each other, which made viewers feel the color arrangement was inharmonious. The colors of the apps looked complicated rather than diverse due to such a color planning that didn"t consider the visual and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colors, and the use of colors that didn"t allow for the contents and nature of the apps resulted in hindering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and was of little help for marketing. Thus, the colors of the apps weren"t good enough to stimulate the purchasing needs of consumers, and mo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the use and direction of col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카테고리별 모바일 앱 색채사용 분석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카테고리별 모바일 앱 색채사용 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연선, "인터렉티브 기호로서 링크아이콘의 형태와 색채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 16 (16): 47-59, 2002

      2 방송통신위원회, "이동통신 요금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방안" 2011

      3 곽진민, "앱스토어 도입과 모바일 서비스의 진화" KT경제경영연구소 2010

      4 권해영, "아이폰사용자 만족도70%, 안드로이드폰은 60%"

      5 KT경제경영연구소, "아이폰고객의 어플리케이션 이용행태 및 성향분석" 2010

      6 권영걸, "쉬운 색채학" 날마다 2011

      7 박은주, "색채조형의 기초" 미진사 1989

      8 조진경, "색채의 기호학적 접근방법을 통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컬러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33 : 97-107, 2010

      9 김용훈, "색채 메카니즘" 법문사 1998

      10 김교완, "모바일 폰에서 감성적인 USER INTERFACE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4 (4): 41-58, 2006

      1 박연선, "인터렉티브 기호로서 링크아이콘의 형태와 색채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 16 (16): 47-59, 2002

      2 방송통신위원회, "이동통신 요금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방안" 2011

      3 곽진민, "앱스토어 도입과 모바일 서비스의 진화" KT경제경영연구소 2010

      4 권해영, "아이폰사용자 만족도70%, 안드로이드폰은 60%"

      5 KT경제경영연구소, "아이폰고객의 어플리케이션 이용행태 및 성향분석" 2010

      6 권영걸, "쉬운 색채학" 날마다 2011

      7 박은주, "색채조형의 기초" 미진사 1989

      8 조진경, "색채의 기호학적 접근방법을 통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컬러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33 : 97-107, 2010

      9 김용훈, "색채 메카니즘" 법문사 1998

      10 김교완, "모바일 폰에서 감성적인 USER INTERFACE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4 (4): 41-5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