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 연해주 농업협력과 한국의 중장기 비전 및 전략 연구 = A Study of Russianness and Ethnographic Expedition During the Time of the Great Refor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024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경지면적 감소와 농촌 노동력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농업생산량이 점점 감소하고 대외의존도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곡물 자주율을 높이기 위해 해외농업개...

      우리나라는 경지면적 감소와 농촌 노동력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농업생산량이 점점 감소하고 대외의존도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곡물 자주율을 높이기 위해 해외농업개발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의 안정된 식량자원 확보를 위한 해외공급기지로서 러시아 남부, 연해주, 우크라이나, 동남아, 중국, 남미 등이 고려되고 있지만, 한반도 통일 후 안정된 식량자원 확보를 위한 해외공급기지로서 연해주의 넓은 농지는 더 없이 적합하다. 다라서 연해주에서 한국과 러시아가 성공적인 농업협력을 이루기 위해서 다음의 몇 가지를 반드시 추진해야 한다. 첫째, 연해주 진출 농기업들에게 투자자금 지원에 대한 우선권을 부여하여 투자자금 조달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둘째, 북한의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 극동 지역의 러시아 농장들은 북한의 농업노동자들을 초청하여 농작물 경작에 이용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도 북한 당국과의 농업협력을 통해 연해주에서 북한 노동자들을 이용한 농작물 생산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현지 근로자에 대한 철저한 노무관리가 필요하다. 현지진출 기업은 과거 농장에 소속되어 있던 모든 근로자들을 승계함과 동시에 복지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 그리고 임금수준도 근로자들이 영농에 전념할 수 있는 수준의 임금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reduction in arable land and aging labor force, agricultural production in Korea has decelerated rapidly, and become more dependent on foreign imports. Korean authority is promoting plans for offshore agriculture development in order to increas...

      Due to reduction in arable land and aging labor force, agricultural production in Korea has decelerated rapidly, and become more dependent on foreign imports. Korean authority is promoting plans for offshore agriculture development in order to increase self-sufficiency ratio. While many regions including southern province of Russia, Primorsky Kray of Russia, Ukraine, South Asia, China and South America are considered as candidates,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is the best fit for producing stable food supply even after the unification of Korea.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agricultur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following measures must be carried out. Firstly, top priority should be given to agricultural companies in financing in order to help them fund their projects in the Primorsky Kray of Russia. Secondly, Korean authority should make efforts to make use of North Korean labor force. Russian farms in far east has been inviting North Korean workers for cultivating crops. Through coordination with North Korean authority, Korean authority should make North Korean labor forces available for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maritime province of Russ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명구,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투자매력도 분석과 한국의 진출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2 강명구, "시베리아ㆍ극동 농업의 현황과 우리의 진출 방안" 배제대학교 11 (11): 2007

      3 농촌진흥청, "북방국가에 대한 해외농업 진출방안 연구" 서울대학교농업개발연구소 2011

      4 성원용, "러시아의 극동지역 개발전략과 한∙중·일의 극동진출정책 비교연구" 한국비교경제학회 16 (16): 151-207, 2009

      5 정여천,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개발과 한국의 선택: 극동지역 농업 진출현황과 가능성"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

      1 강명구,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투자매력도 분석과 한국의 진출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2 강명구, "시베리아ㆍ극동 농업의 현황과 우리의 진출 방안" 배제대학교 11 (11): 2007

      3 농촌진흥청, "북방국가에 대한 해외농업 진출방안 연구" 서울대학교농업개발연구소 2011

      4 성원용, "러시아의 극동지역 개발전략과 한∙중·일의 극동진출정책 비교연구" 한국비교경제학회 16 (16): 151-207, 2009

      5 정여천,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개발과 한국의 선택: 극동지역 농업 진출현황과 가능성"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9-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KCI등재
      2009-09-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슬라브연구 -> 슬라브硏究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84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